• 제목/요약/키워드: singers

검색결과 141건 처리시간 0.031초

저작법에 의한 성대결절환자의 치험 (Three Vocal Nodule Cases Treated by Chewing Method)

  • 문영일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3년도 제17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0.3-10
    • /
    • 1983
  • 성악인, 무대예술인, 교사 등 음성직업인에 빈발하는 성대결절에 의한 음성장애는 공포의 대상이 될 뿐 아니라 수술적 제거에도 많은 신경을 쓰게 된다. 성대결절 수술제거의 적응을 결정하기에 앞서 음성치료의 일환으로 저작법을 시행하여 좋은 성과를 얻는 경우가 있다. 최근 성대결절 환자인 성악인 두명(남녀가 1명)과 교사 1명에게 저작법을 시행하여 좋은 효과를 얻었기에 문헌적 고찰과 아울러 보고하는 바이다.

  • PDF

A Study on the Hair style by Occupation - Focused on Korean Entertainers -

  • Sea, Yun-Kyeong;Kim, Seong-Nam
    • 패션비즈니스
    • /
    • 제11권3호
    • /
    • pp.124-132
    • /
    • 2007
  • This study aims at inquiring into the image and characteristics of suitable hair style by occupation between movie actresses, TV talents, fashion models, singers and MCs who undergo the biggest influence on the management of international image and the inclination of appearance. For this, it made a survey of the image and characteristics on 177 women in their twenties to thirties living in Seoul city, providing photos of entertainers' six hair styles by im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showed that movie stars or TV talents shone into one work of movie or TV become accustomed to natural, casual and romantic image. Second, it showed that singers or fashion models become accustomed to ethnic and unique style, as they follow an occupation that adjusts to their concept to show their clothes.

창극 <메디아>의 절충주의 음악어법 (Eclectic Music Idiom in Changgeuk "Medea")

  • 신사빈;이우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659-671
    • /
    • 2013
  • 작곡가 황호준은 창극 <메디아>를 통하여 ▲작창의 오선 기보 및 모음보표의 배치 ▲성-쓰루(Sung-through) 형식의 도입 ▲다양한 독창 선율의 시도 ▲코러스장과 남녀 코러스에 의한 도창의 극대화 ▲불협화음과 협화음을 통한 긴장과 이완의 추구 ▲전조와 차용화음에 의한 길바꿈 효과 달성 등의 절충주의 음악어법을 선보였다. 기악부는 창자(唱者)의 소리를 방해하지 않는 수성반주를 하였다. 창자가 이면(裏面)을 그리는 방식 또한 노래 아니리 발림 중 노래에 치중하였고, 극 전체를 하나의 음악으로 이끄는 성-쓰루 형식을 도입하였다. 자주 통곡 한탄 환호 조소 비명 등과 같은 구음(口音)이 활용되었고, 분창(分唱)의 형식답게 배역의 성격에 따라 다양한 독창 선율이 효과적으로 시도되었다. 불협화음과 협화음이 극의 전개와 분위기에 따라 적합하게 사용되었다. 그리고 전통적인 조바꿈을 하지 않고, 서양음악의 전조와 차용화음을 과감하게 시도하여 길바꿈의 효과를 무난히 달성하였다.

아이돌 우상화의 요인 및 아이돌 우상화가 아이돌 광고 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 10대와 20대 여성을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Idol Worship and Idol Worship's Mediation Effect to Purchase the Merchandises Advertised by Idol - Focusing on Women in Their Teens and Twenties)

  • 이승목;신재권;이상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328-338
    • /
    • 2014
  • 최근 들어 우리나라의 음반시장과 광고시장에서 아이돌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이돌 팬들이 아이돌을 우상화하는 요인들을 살펴보았고, 이러한 요인들이 10대 팬과 20대팬 간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아이돌 우상화의 요인들이 아이돌 우상화를 매개로 하여 아이돌이 광고하는 상품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아이돌 팬들은 아이돌 가수들의 목소리가 좋고 공연무대에 매력을 느낄수록 아이돌을 우상화하는 경향이 있었고, 아이돌에 대한 주위의 평가와 아이돌의 노래, 춤, 화술 등 아이돌의 표현방법이 좋을수록 우상화하는 경향이 높았다. 한편 20대 팬들은 10대 팬들에 비해 아이돌의 표현방법이 좋을수록 아이돌을 우상화하는 경향이 더욱 높았다. 또한 팬들은 아이돌을 허구의 연애상대로 상상할 수 있을 때 더 우상화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아이돌 우상화의 요인들은 아이돌 광고상품 구매의도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남성성악가의 Vocal Register Transition(Passaggio)시 공기역학적 변화와 EGG의 변화 연구 (Analysis of Phonatory Aerodynamic & E.G.G. during Passaggio of the Trained Male Singers)

  • 남도현;최성희;최재남;최홍식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1-26
    • /
    • 2004
  • Vocal Register Transition(Passaggio)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vocal technique for classically trined male singers(tenor). Passaggio is that it bridges the chest register to head register without a noticeable voice break. Vocalist gest the feeling that voice is not locked a particular regis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difference between easy($B_3$) tone and non passaggio(F#_4$) & passaggio(F#_4$). We selected 6 trained singers(tenor), who had more than 12.6 years of experience and were well trained in passaggio technique. Simulataneous measurement was performed frequency(F0), mean flow rate(MFR), intensity(I), and subglottal pressure(Psub) using a phonatory function analyzer(Nagashima) and Closed Quotient(CQ), Jitter, Shimmer, NHR a Electro-glottography(EGG) of Lx. Speech Studio(Laryngogrph Lt, London, UK) and vocal efficiency was calculated by Carroll's method. For the tenor, target tone/a/was measured in three conditions : 1) easy phonation : $B_3$, 2) high tone without passaggio : F#_4$, 3) high tone with passaggio : F#_4$). The results revealed that F0 of the target tones between non-passaggio group and passaggio group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ough higher is F0, higher is subglottal pressure. And also CQ, MFR, Psub were increased in passagio than nonpssagio but these values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This study concluded that passaggio is the vocal technique to make the same quality of tone between chest register and head register in tenor.

  • PDF

성악과 실용음악 보컬 전공 대학생들의 주관적 음성평가 비교 예비연구 (Preliminary Study for Comparison of Subjective Voice Evaluations among Vocal and Applied Music Major Students)

  • 이다혜;황영진;김재옥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6권2호
    • /
    • pp.37-45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Korean Singing Voice Handicap Index (K-SVHI) was suitable for singers in other genres than vocal music to assess their vocal problems subjectively. Twenty six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vocal music and twenty six students majoring in applied music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y were divided into G0 and G1 in voice quality using the GRBAS scale during the tasks of singing. K-SVHI was divided into three sub-areas (Physical, Functional, and Emotional). In the singing task, both group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K-SVHI scores by G scale. In the reading task, the vocal music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K-SVHI in G0 than in G1 in K-SVHIs by G scale, while the applied vocal music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K-SVHI in G1 than in G0. Also, the two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G0, G1 in the singing task while the vocal music group showed higher K-SVHI than the applied vocal music group in G0 in the reading task. In addition, the vocal music group had higher K-SVHI than the applied vocal music group in G1 in both tasks. As comparing by groups in three sub-areas of K-SVHI,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Emotional and Functional area. Those results showed that singers felt their voice problems differently by musical genres, which means that K-SVHI may not be a proper tool for evaluating voice handicap of singers in diverse voice music genres.

Long Term Average Spectrum을 이용한 성악가들의 Speaking Voice 분석 (Long Term Average Spectrum Characteristics of Speaking Voice of Western Operatic Singers)

  • 이경철;홍석진;진성민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22-127
    • /
    • 2004
  • Background and Objectives : Many studies have described and analyzed singer's formant and it has been shown that the epilaryngeal tube in the human airway is responsible for vocal ring, or the singer's formant. A similar phenomenon produced by trained singers in their speech led some authors to examine the speaker's ring.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speaking voice of the singers and speaker's ring. Baterials and Methods : Ten tenors, fifteen baritones, fifteen sopranos and ten mezzo sopranos attending the music college, department of vocal music were chosen for this study. Fifteen male and fifteen female untrained normal speakers were chosen for control group. Each subject was asked to produce a sample of a sustained spoken vowel /ah/ sound for at least five seconds and read sentence 'Kaeul'. The soun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Fast Fourier Transform(FFT) - based power spectrum, Long term average(LTA) power spectrum using the FFT algorithm of the Computerized Speech Lab(CSL, Kay elemetrics, Model 4300B, USA).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Mann-Whitney test of the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s(SPSS). Results : For LTA Power spectrum of/ah/ sound, a significant increase was seen in the 2,500-3,500Hz region(p<0.01) in four trained singer group compared with untrained speaker group, an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9,000-10,000Hz region(p<0.01) in soparano group. Similarly, in sentence 'Kaeul',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energy in the tenor, baritone, mezzo soprano group compared with the untrained speaker group in the 2,500-3,500Hz region(p<0.01), and a significant increase in all frequency region(p<0.01) in the soprano group. Conclusions : The LTA power spectrum suggests that trained singers group show more energy concentration in the 'singer's formant' region in the speaking voice, and authors believe this region to be the 'speaker's ring'. Further research is needed on the effect of singing training on the resonance of the speaking voice.

  • PDF

대중가요 발성법 연구: 조용필의창밖의 여자중심으로 (Research on Vocalization for Korean Pop Song: Case Foom The YongPhil Cho's "A Lady out of Window")

  • 조태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3004-3010
    • /
    • 2009
  • 현재 우리가 듣고 즐기는 대중음악의 거의 대부분은 외국의 팝음악에서 비롯된 것 들 있다. 따라서 역사가 짧을뿐더러 그 분야에 대한 연구도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특히 가수들의 창법 즉 호흡이나 발성과 관련된 부분은 국악의 창과 성악 발성의 중간에서 그 어느 부분에도 속하지 않는 어중간한 상태에 놓여 있었다. 팝음악이 국내에 들어오면서 우리와는 체격조건이 다른 그들의 노래를 부르기 위해 가수들은 부단히 애를 써야 했으며, 많은 시행착오를 겪었다. 때론 무리한 발성으로 인해 성대가 손상되는 경우도 비일비재 하였다. 가수 조용필은 자신의 한계를 극복하여 가창력을 최대화 시킬 수 있는 해법을 우리의 국악에서 찾았다. 그 대표적인곡이 바로 "창밖의 여자" 인데 이 노래는 조용필의 최고의 히트곡이자 가요발성에 있어 새로운 전환점을 만들어준 곡이다. 본 연구에서는 당시의 시대적, 음악적인 배경 등을 통해 가요계의 전반적인 상황이 어떠했는지를 파악하여 왜 그 노래가 당시엔 획기적인 창법이었는지 그 이유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또한 "창밖의 여자" 의 곡의 흐름과 감정처리 방법, 테크닉 등을 분석해 봄으로써 호흡과 발성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표현되었는지를 연구해 보도록 하겠다.

Resonant Voice in Singers

  • 진성민
    • 대한음성언어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언어의학회 2003년도 제19회 학술대회
    • /
    • pp.156-158
    • /
    • 2003
  • 사람의 발성 기관은 공기를 짜내어 주는 역할을 하는 호흡기관(breathing apparatus)과 소리의 원음을 만들어 내는 성대(vocal folds) 그리고 성대로부터 만들어진 원음을 공명 (resonance) 시키고 여과(filtering) 시킴으로써 특징적인 소리의 모양을 갖추는 역할을 하는 성도(vocal tract)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다.

  • PDF

Care of the Professional Voice

  • Yamaguchi, Hiroya
    • 대한음성언어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언어의학회 1998년도 제10회 학술대회 심포지움
    • /
    • pp.220-221
    • /
    • 1998
  • My experience in the treatment of vocal disorders among professional singers within the past year revealed the importance of vocal hygience for the maintenance of a better quality of voice. Therefore, the importance of vocal hygiene is discussed. (omit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