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milarity coefficient

검색결과 439건 처리시간 0.041초

The inertial coefficient for fluctuating flow through a dominant opening in a building

  • Xu, Haiwei;Yu, Shice;Lou, Wenjuan
    • Wind and Structures
    • /
    • 제18권1호
    • /
    • pp.57-67
    • /
    • 2014
  • For a building with a dominant windward wall opening, the wind-induced internal pressure response can be described by a second-order non-linear differential equation. However, there are two ill-defined parameters in the governing equation: the inertial coefficient $C_I$ and the loss coefficient $C_L$. Lack of knowledge of these two parameters restricts the practical use of the governing equation. This study was primarily focused on finding an accurate reference value for $C_I$, and the paper presents a systematic investigation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ertial coefficient for a wind-tunnel model building including: opening configuration and location, wind speed and direction, approaching flow turbulence, the model material, and the installation method. A numerical model was used to simulate the volume deformation under internal pressure, and to predict the bulk modulus of an experimental model. In considering the structural flexibility, an alternative approach was proposed to ensure accurate internal volume distortions, so that similarity of internal pressure responses between model-scale and full-scale building was maintained. The research showed 0.8 to be a reasonable standard value for the inertial coefficient.

RAPD 마커를 이용한 멧누에와 집누에 계통간의 분자적 유연관계 분석 (Analysis of Molecular Relationships Between Bombyx mandarina and Bombyx mori Strains Using RAPD-Markers)

  • 황재삼;이진성;구태원;강현아;손해룡;김호락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426-430
    • /
    • 1998
  • 본 연구는 RAPD마커를 이용, 멧누에와 집누에의 분자적 유연관계를 분석하였다. 공시한 35개의 primer에서 166개의 RAPD마커를 얻었으며, 이들 마커를 UPGMA에 의해 분석한 결과, 멧누에와 분자적 유사계수가 가장 낮은 품종은 잠305였고, 가장 높은 품종은 Bibaekjam이었다. 또한, 분자적 유사계수 0.55에서 멧누에와 집누에 계통군으로 분류되고, 0.60에서 3개의 아군 그룹과 2개의 독립개체로 분류되었다. 제1아군에는 J111(일본종계),$pnd^{ps}$(일본종계), Bibaekjam(일본종계)이, 제2아군에는 Galwon(중국종계), C18(중국종계), od yujam JAM306(중국종계), C108(중국종계)이, 제3아군에는 R-hwang(중국종계)이 포함되어 있었고, zebra(유럽종계)와 JAM305(일본종게)는 독립개체로 분류되었다.

  • PDF

Cultural, Morphological and Pathological Variation in Indian Isolates of Ascochyta rabiei, the Chickpea Blight Pathogen

  • Basandrai, A.K.;Pande, S.;Kishore, G. Krishna;Crouch, J.H.;Basandrai, D.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1권3호
    • /
    • pp.207-213
    • /
    • 2005
  • Cultural, morphological and pathogenic variation in Indian isolates of Ascochyta rabiei, the causal agent of blight of chickpea, was investigated. Fungal isolates representative of seven agroclimatic regions in north western plain zones (NWPZ) of India showed variation in colony colour as mouse gray with green hue, light mouse gray with slate gray centre and gray with dark brown centre, when grown on chickpea dextrose agar (CDA). Conidiomatal color of the isolates varied from brown to slate gray and black. The number of conidiomata and conidia formed on CDA ranged from 49.7 to 90.7 and $5.5\times10^4\;to\;3\times10^5cm^{-2}$, respectively. The size of conidiomata and conidia of A. rabiei isolates varied from $274\times232{\mu}m\;to\;156\times116{\mu}m$, and from $14.0\times6.2{\mu}m\;to\;10.7\times4.6{\mu}m$, respectively. Fourteen A. rabiei isolates from the seven agroclimatic regions of NWPZ were evaluated for their virulence on 180 chickpea genotypes in controlled environment.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disease rating on a 1-9 scale indicated higher similarity coefficient (> 0.65) between isolates from different agroecological regions, while few isolates from the same region had less similarity. The 14 isolates were grouped into eight pathotypes at > 0.5 similarity coefficient. Sixteen genotypes were identified as probable differentials to distinguish A. rabiei isolates.

인구 통계 정보를 이용한 협업 여과 추천의 유사도 개선 기법 (Improvement on Similarity Calculation in Collaborative Filtering Recommendation using Demographic Information)

  • 이용준;이세훈;왕창종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9권5호
    • /
    • pp.521-529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추천시스템에서 많이 활용되는 협업 여과 방법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희소성(sparsity)으로 인한 유사도의 부정확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인구 통계 정보를 이용한 기법을 제안하였다. 두 사용자간의 유사도는 같은 항목에 동시에 평가된 점수를 기반으로 결정되며, 두 사용자가 동시에 평가하지 않은 항목은 유사도 계산에서 제외된다. 제안된 기법은 이러한 평가 점수 부족으로 인하여 유사도 계산이 정확치 못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인구 통계 정보를 이용한 가상 평가 점수를 부가하여 유사도 계산을 개선, 예측의 정확도를 향상시킨 방식으로 기존의 피어슨 상관관계를 이용한 협업여과 방식의 확장이다. 실험은 Grouplens의 영화 평가 자료를 활용하였고, 평균절대오차(MAE)와 반응자 작용특성(ROC)값을 이용하여 제안 기법과 피어슨 상관관계를 이용한 협업 여과 방식을 비교하였다. 제안한 기법이 피어슨 상관관계를 이용한 협업 여과 추천 방식에 비하여 평균절대오차는 9%, 반응자 작용 특성의 민감도는 13%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비부정 행렬 인수분해 차원 감소를 이용한 최근 인접 협력적 여과 (Nearest-Neighbor Collaborative Filtering Using Dimensionality Reduction by 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

  • 고수정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3B권6호
    • /
    • pp.625-632
    • /
    • 2006
  • 협력적 여과는 사용자 선호도를 예측하기 위해 그 사용자의 유형을 학습하는 데 목적을 둔 기술이다. 협력적 여과 시스템이 전자상거래에서 성공적인 기술일지라도 그들은 데이터의 고차원성과 희박성이라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비부정 행렬 인수분해(NNMF, 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 방법을 이용한 최근 인접 협력적 여과 방법을 제안한다. 행렬을 분해하기 위한 전처리로서 사용자 변동 계수를 이용하여 사용자-아이템 행렬의 결측치를 채우고, 이를 대상으로 비부정 분해 방식을 적용하여 행렬을 인수분해 한다. 비부정 분해 방식을 적용한 긍정 분해는 사용자들을 의미를 갖는 벡터로써 표현함으로써 사용자들을 의미 관계를 갖는 그룹으로 표현한다. 이와 같이 벡터로 표현된 사용자들은 벡터 유사도에 의해 그들간의 유사도를 계산한다. 계산된 유사도의 정도에 의해 이웃을 결정하고, 이웃들이 평가한 아이템에 대한 흥미도를 기반으로 새로운 사용자가 평가하지 않은 아이템에 대한 결측치를 예측한다.

비선형 평활화와 통계적 상관성에 기반을 둔 인식성능 개선 (An Improvement of Recognition Performance Based on Nonlinear Equalization and Statistical Correlation)

  • 신현수;조용현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555-562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영상의 비선형 평활화와 특징들의 통계적 상관성에 기반을 둔 조합형 인식성능 개선기법을 제안하였다. 여기서 비선형 평활화는 로지스틱 함수에 기반을 둔 히스토그램 재조정의 전처리 기법으로 영상의 밝기를 조정하여 화질을 개선하기 위함이다. 통계적 상관성은 정규상호상관계수에 의해 측정되며, 이는 유사도를 좀 더 빠르고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함이다. 또한 독립성분분석에 의한 국부적인 특징들을 대상으로 정규상호상관을 계산함으로써 좀 더 정확한 유사도를 통계적으로 측정하기 위함이다. 제안된 기법을 30개 40*50픽셀의 명암도 변화를 가지는 얼굴영상들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전처리를 하지 않은 기법이나 기존 및 적응적 변형히스토그램 평활화에 의한 전처리 기법에 비해 각각 영상의 속성을 잘 반영한 우수한 인식성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관 계수를 이용한 유사 모집단 기반의 분광 반사율 추정 (Spectral Reflectance Estimation based on Similar Training Set using Correlation Coefficient)

  • 유지훈;하호건;김대철;하영호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10호
    • /
    • pp.142-149
    • /
    • 2013
  • 일반적으로 영상의 색은 RGB 카메라 시스템의 red, green, blue 채널들을 사용하여 재현된다. 하지만 세 채널들의 정보만으로 실제 장면의 분광 반사율을 추정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 때문에 RGB 카메라 시스템은 색을 정확하게 재현하지 못한다. 이 한계를 극복하고 정확한 색을 재현하기 위해 다채널 카메라 시스템을 사용하여 분광 반사율을 추정하는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 분광 유사도를 사용하여 카메라 응답에 따라 기존 모집단에서 유사 모집단을 적응적으로 구성하는 분광 반사율 추정법이 소개되었다. 하지만 이 방법에는 평균 거리와 최대 거리 기반의 분광 유사도가 적용되었기 때문에 유사 모집단의 정확도가 저하된다. 본 논문에서는 유사 모집단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관 계수 기반의 분광 유사도가 적용된 분광 반사율 추정법을 제안하였다. 먼저 기존 모집단과 위너(Wiener) 추정법을 통해 획득된 분광 반사율 간의 상관 계수를 계산한다. 다음으로 상관 계수에 따라 기존 모집단에서 유사 모집단을 구성한다. 마지막으로 유사 모집단이 적용된 위너 추정법을 수행하여 분광 반사율을 추정한다. 제안된 방법과 이전의 방법들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실험 결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제안한 방법이 제일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딥러닝을 활용한 전시 정원 디자인 유사성 인지 모형 연구 (Development of Deep Recognition of Similarity in Show Garden Design Based on Deep Learning)

  • 조우윤;권진욱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96-109
    • /
    • 2024
  • 본 연구는 딥러닝 모델 중 VGG-16 및 ResNet50 모델을 활용하여 전시 정원의 유사성 평가 방법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VGG-16과 ResNet50 모델을 기반으로 전시 정원 유사성 판단을 위한 모형을 개발하였고, 이를 DRG(deep recognition of similarity in show garden design)모형이라 한다. 평가를 위한 방법으로 GAP와 피어슨 상관계수를 활용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모형을 구축하고 1순위(Top1), 3순위(Top3), 5순위(Top5)에서 원본 이미지와 유사한 이미지를 도출하는 총 개수 비교로 유사성의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DRG 모형에 활용된 이미지 데이터는 국외 쇼몽가든페스티벌 전시 정원 총 278개 작품과 국내 정원박람회인 서울정원박람회 27개 작품 및 코리아가든쇼 전시정원 이미지 17개 작품이다. DRG모형을 활용하여 동일 집단과 타 집단간의 이미지 분석을 진행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전시 정원 유사성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첫째, 전체 이미지 유사성 분석은 ResNet50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데이터 증강 기법을 적용하는 것이 유사성 도출에 적합하였다. 둘째, 내부 구조와 외곽형태에 중점을 둔 이미지 분석에서는 형태에 집중하기 위한 일정한 크기의 필터(16cm × 16cm)를 적용하여 이미지를 생성하고 VGG-16 모델을 적용하여 유사성을 비교하는 방법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때, 이미지 크기는 448 × 448 픽셀이 효과적이며, 유채색의 원본 이미지를 기본으로 설정함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전시 정원 유사성 판단에 대한 정량적 방법을 제안하고, 향후 다양한 분야와의 융합 연구를 통해 정원 문화의 지속적인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대표 속성을 이용한 최적 연관 이웃 마이닝 (Optimal Associative Neighborhood Mining using Representative Attribute)

  • 정경용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3권4호
    • /
    • pp.50-57
    • /
    • 2006
  • 최근 정보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하고 폭넓은 정보들이 디지털 형태로 빠르게 생산 및 배포되고 있다. 사용자가 이러한 정보과잉 속에서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단시간 내에 검색하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따라서 유비쿼터스 상거래에서 사용자가 정보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필터링하는 일을 도와주는 개인화된 추천 시스템이 등장하였으며, 더 나아가 사용자가 원하는 아이템을 예측하고 추천해주고 있으며 이를 위해 협력적 필터링을 적용하고 있다. 이는 사용자의 성향에 맞는 아이템을 예측하고 추천하기 위하여 비슷한 선호도를 가지는 사용자들간의 유사도 가중치를 계산한다. 본 연구는 정보의 속성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를 고려하지 않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연관 이웃 마이닝을 사용하여 대표속성에 대한 연관 사용자의 선호도를 협력적 필터링에 반영하였다. 연관 이웃 마이닝은 선호도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속성을 추출하여 유사한 성향을 가진 연관 사용자를 군집한다. 제안된 방법은 사용자가 아이템에 대해서 평가한 MovieLens 데이터 집합을 대상으로 평가되었으며, 기존의 nearest neighbor model과 K-means 군집보다 그 성능이 우수함을 보인다.

군집분석을 이용한 방목초지 식물군락의 유사성 비교 (Comparison of the Similarity Among the Plant Communities of the Grazing Pasture by the Cluster-Analysis)

  • 박근재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93-300
    • /
    • 2004
  • 방목초지 식물군학에 대한 생태적 특성을 결정하고 군집분석을 이용하여 군락간의 유사성을검정하고자, 1998년 8월부터 10월까지 독일의 중부지역인 Witzenhausen 근교에서 조사한 초지 식물군락을 Kassel 대학교 초지생태 연구소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6개 지역의 초지에서 조사한 식생을 군강(Class)으로 분류한 식물군락은 대부분 Molinio-Arrhenatheretea 및 Festuco-Brometea 초지군락 이었으며, 반건조지 식물군락을 제외한 초지 식물군락의 생태적 반응과 사료가는 군락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조사료 생산에 적당하였다. 식물군락간 정의 상관은 14과 12번 군락이 가장 높았고, 7번과 9번 군락간에는 상관이 없었으며, 반건조지 식물군락은 다른 군락과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완전연관법에 의한 군집분석의 유사성 검정 측도는 유클러드 거리계수를 이용하는 것이 좋았으며, 식생구성이 비슷한 군락이 서로 군집을 형성하였다. 유사성이 높은 중소집단은 교란된 식물군락 (16, 15), 반건조지 초지군락 (14, 12, 11, 13), 중상급초지군락 (8, 7, 6) 중하급초지군락 (10, 9, 5), 중급 (4, 3), 상급초지군락 (2, 1) 등 6개 집단으로 분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