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lk product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18초

Quali-Quantitative Analysis of Flavonoids for Mulberry Leaf and Fruit of 'Suhyang'

  • Ju, Wan-Taek;Kwon, O-Chul;Lee, Min-Ki;Kim, Hyun-Bok;Sung, Gyoo-Byung;Kim, Yong-Soon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49-255
    • /
    • 2017
  • BACKGROUND: Globally, mulberry (Morus sp.) is exploited for feeding leaf to silkworms in order to obtain silk fiber or for animal feedstock production. Also, mulberry fruit is known to a by-product that was produced from mulberry tree after harvesting leaves for silkworm rearing, as a yield and consumption of mulberry fruit was increased, it has been fixing to a newincome crop. Mulberry leaves and fruits are used for the health benefits of human beings. Mulberry contains various bioactive components, such as alkaloids and flavonoids. Mulberry flavonoids are an important part of the diet because of their effects on human nutrition. The flavonoids in mulberry leaf and fruit of 'Suhyang'(Morus alba L.) were determined. METHODS AND RESULTS: Flavonoids for mulberry leaf and fruit of 'Suhyang' were analysed using ultra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diode array detection and quadrupole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UPLC-DAD-QTOF/MS)technique. An UPLC-DAD-QTOF/MS system was used, and identification of mulberry leaves constituents was carried out on the basis of the complementary information obtained from LC spectra, MS ions, and MS/MS fragments. The mulberry leaf (16 flavonoids) and fruit (9 flavonoids) were isolated and analyzed from Suhyang using UPLC-DAD-QTOF/MS chromatogram.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Quercetin 3-O-(6"-O-malonyl) glucoside and quercetin 3-O-rutinoside (rutin) was detected on the highest content in leaf and fruit, respectively and further research will be devoted to evaluate their biological activity. CONCLUSION: Ob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concentration of functional materials in mulberry leaves c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and promotion of processed, functional products and offer possible industrial use of 'Suhyang', holding promises to enhance the overall profitability of sericulture.

청송심씨 묘에서 출토된 금직물의 비파괴 과학적 분석 (Non-Destructive Scientific Analysis of the Gold Fabric Excavated of Cheongsong Shim's Grave)

  • 이황조;위광철
    • 보존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43-253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청송심씨묘 출토 금직물 유물 2점(부금 원삼, 직금 치마)에 대한 비파괴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유물 상태, 섬유 재질, 표면 오구(汚垢), 금속사에 대한 재료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출토 당시 유물의 상태는 모두 갈변되어 본래의 색상을 확인할 수 없으며, 섬유재질은 SEM과 FT-IR의 Amide I, II, III, IV 피크와 정색 반응 결과들로 누에고치로부터 얻은 견 섬유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면 오염물인 흰색 오구와 검정색 오구는 FT-IR, XRF 분석결과 시신의 부패와 미생물 분해로 나타난 지방질, 단백질 등의 가수분해 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금속사의 금박층을 XRF로 분석한 결과 금(Au)으로 확인되었으며, 금속사 배지에 대한 FT-IR, 정색 반응 결과 배지의 접착제 성분은 Amide I, II, III와 3000 cm-1 전·후의 Amide A, B의 결과로 동물성 교(膠)로 확인되었고, 배지는 정색 반응 결과 국내에서 생산된 닥나무 인피 섬유인 한지로 확인할 수 있었다.

옥수수 부산물을 이용한 주름 개선 기능성 소재 활용 가능성 연구 (Research on the Possibility of Using Wrinkle-improving Functional Materials from Corn By-products)

  • 김혜진;최우석;이준섭;김자영;김무한;이창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07-116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활용되지 못하고 폐기 되는 옥수수 부산물을 이용하여 주름 개선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초당 및 찰옥수수 10 개 품종에 대해 부위별 유효성분 탐색 및 정량분석을 통하여 업사이클링(upcycling) 소재로의 활용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초당 및 대학찰옥수수의 부위별(알곡, 속대, 포엽, 수염) 추출물의 콜라겐 생성량 측정으로 주름 개선 효능평가 결과, 속대가 100 ㎍/mL의 농도에서 각각 176.5, 140.0%로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속대에서 LC-MS/MS 정성분석으로 18 개 성분이 검색되었으며, 이 중 N,N'-diferuloylputrescine (DFP)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품종 및 부위별 정량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속대 및 알곡에서만 DFP가 확인되었으며, 속대에서는 초당옥수수의 골드슈가(39.6 ㎍/g), 찰옥수수의 대학찰(38.4 ㎍/g) 품종에서 가장 높게 검출되었다. 속대는 알곡을 탈립 후 남은 부산물로써 콜라겐 생성 촉진 소재로서 부가가치를 새롭게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본 연구를 통해 버려지는 속대의 주름 개선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왕실 보자기의 운보문을 활용한 포장용 패턴디자인 개발 (Pattern Design Development for Package Using Cloud-Treasure Pattern in Royal Wrapping Cloth)

  • 김지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5호
    • /
    • pp.261-268
    • /
    • 2024
  • 본 논문은 조선 후기의 왕실 보자기에 나타난 운보문(雲寶紋) 양식을 고찰하고, 이를 재해석하여 현대의 문화콘텐츠 산업에서 활용도가 높은 패턴디자인으로 개발한 것이다. 디자인의 원천은 서울공예박물관 소장 명안공주(明安公主)의 유물로 알려진 운보문단 보자기이다. 운보문은 운문(雲紋)과 보문(寶紋)이 조화되어 상서로운 의미를 지니는데, 왕실 보자기에 사용되어 귀한 예물을 소중하게 전달한다는 의미가 더해진 것으로 보인다. 왕실의 전통문화는 고품격을 지향하는 다양한 문화상품 개발에 활용될 수 있는 미적, 조형적 요소가 풍부하기 때문에 현대적으로도 활용가치가 매우 높다. 우리는 희소성 있는 왕실 보자기 유물을 고찰하고, 무늬와 조형을 가지고 대중적인 패키지 디자인으로 개발하여 전통문화와 디자인 융합에 있어서 또 다른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특히 보자기의 문양을 단순 차용한 것이 아니라, 이를 해체하여 2024년 패션 트렌드와 적극적으로 접목함으로써 독창적이면서 대중성을 높이는 패턴디자인을 개발하였다. 우선 디자인의 정확한 원형을 얻기 위하여 서울공예박물관에서 왕실 보자기 유물을 직접 조사하여 무늬의 형태와 특성에 관한 상세한 자료를 확보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운문 1종, 보문 9종 안에서 총 14개의 디자인 모티프를 추출하였다. 이것을 가지고 2024년 패션 트렌드 중 도트 및 리본 패턴과 융합하고 재구성하여 총 6종의 패턴을 개발하였으며, 보자기로 물건을 포장한 모습과 유사한 디자인의 박스 형태에 패턴을 맵핑하여, 패턴디자인이 적용된 실제 패키지의 모습을 가상 구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