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lica gel

검색결과 1,512건 처리시간 0.029초

고정화 산성 이온성 액체 촉매와 금속염화물 촉매를 이용한 셀룰로우스의 5-HMF로의 직접 전환 연구 (Direct Conversion for the Production of 5-HMF from Cellulose over Immobilized Acidic Ionic Liquid Catalyst with Metal Chloride)

  • 박용범;최재형;임한권;우희철
    • 청정기술
    • /
    • 제20권2호
    • /
    • pp.108-115
    • /
    • 2014
  • 셀룰로우스(cellulose)를 5-히드록시메틸푸르푸랄(5-hydroxymethylfurfural, 5-HMF)로 직접 전환하기 위해 이온성 액체 용매하에서 다양한 금속염화물과 산 촉매를 비교 연구하였다. 사용한 금속염화물은 Sn(II), Zn(II), Al(III), Fe(III), Cu(II), Cr(III)를 포함한 염화물을 비교하였으며 산 촉매는 산성 이온성 액체를 고정화하여 사용하였다. 비교를 위하여 $H_2SO_4$, HCl, Amberlyst-15와 DOWEX50x8을 사용하였다. 제조한 촉매의 산도와 산 밀도 특성은 Hammett Indicator 지시약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5-HMF의 선택도 및 수율은 반응온도, 반응시간과 촉매 비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사용한 촉매들 중에서 5-HMF의 선택도는 $CrCl_3-6H_2O$$SiO_2-[ASBI]HSO_4$를 사용하였을 때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상용화 고체 산인 Amberlyst-15와 DOWEX50x8에 비하여 활성이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5-HMF의 선택도는 산 촉매의 산도와 반응에 사용된 촉매비에 영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반응 중 재수화 반응이 일어나 레불린산(levulinic acid)이 생성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N-Triethoxy silyl propyl quinine urethane을 도입한 유-무기 복합 코팅제의 내후성 (Weatherability of Organic-Inorganic Hybrid Coating Agents with N-Triethoxy silyl propyl quinine urethane)

  • 이만성;조남주
    • 접착 및 계면
    • /
    • 제2권2호
    • /
    • pp.20-27
    • /
    • 2001
  • 투명 플라스틱 중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재료의 하나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알려져 있다. 이 수지는 투명 플라스틱 중에서도 굴절률이 1.584로 유리의 굴절률에 상응하는 수치를 가지고 있어 렌즈, 창소재 등 광학적 용도에 있어서 유리의 대체품으로서 호응이 크다. 그러나 장점에 반하여 표면 경도가 낮기 때문에 마찰에 의해 긁히기 쉽고 용제 등에 대한 내성도 나쁜 편이다. 특히 옥외 창 재료로 사용할 경우에는 자외선의 흡수에 따른 표면의 황변이 심각한 문제가 되어 사용상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리콘 하드 코팅제의 우수한 내마모성 및 광학 특성을 가지며 또한, 무기 실록산 네트워크에 자외선 흡수 능력을 가진 유기 실란을 도입시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취약한 표면을 효율적으로 보호하면서 내후성 또한 뛰어난 표면 보호 코팅제를 제공하기 위하여 quinine과 3-isocyanato propyl triethoxy silane(3-IPTES) 으로부터 N-triethoxy silyl propyl quinine urethane (TESPQU)을 합성하였다. 이 물질을 methyl triethoxy silane(MTES) 과 공가수분해 후 축합시켜 실록산 네트워크 속으로 도입시켰다. 또한 benzophenone 계통의 자외선 흡수제를 유가실란 축합물에 단순 배합한 경우와 비교하였다. 주사슬에 UV에 안정한 형태의 유가 실란, TESPQU를 도입한 경우 좋은 내후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산거울 추출물의 Elastase 활성 저해 및 Matrix Metalloproteinase-1 발현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Carex humilis Extract on Elastase Activity and Matrix Metalloproteinase-1 Expression)

  • 박선희;이강혁;한창성;김기호;김영희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29-13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산거울 추출물의 항주름 활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항산화, 엘라스타제 활성 억제, 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 mRNA 발현 및 단백질의 생성 억제 관련 실험을 진행하였다. 산거울의 뿌리부분을 95 % 에탄올로 추출하고 유기 용매로 분획하여 각 추출물 분획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과 엘라스타제 억제 효능을 측정한 결과, EtOAc 분획이 각각 SC50=4.89 ${\mu}g/mL$, IC50=23.5 ${\mu}g/mL$ 로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활성이 가장 좋은 EtOAc 분획물로 부터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활성물질을 분리하고, 분리된 물질이 ${\alpha}$-viniferin임을 분광학적 분석결과로 확인하였다. RT-PCR을 이용한 MMP-1 mRNA 발현능 평가에서 EtOAc 분획물과 ${\alpha}$-viniferin은 각각 50 ~ 60 % (10 ~ 100 ${\mu}g/mL$), 약 60 ~ 75 % (0.5 ~ 2 ${\mu}g/mL$)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Western-blot을 이용한 MMP-1 단백질 생성을 평가한 결과에서 역시 EtOAc 분획물과 ${\alpha}$-viniferin은 같은 농도에서 각각 50 ~ 65 %와 55 ~ 65 %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alpha}$-viniferin을 함유한 산거울의 EtOAc 분획층의 주름 개선용 기능성 화장품 개발을 위한 소재로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인삼의 Polyacetylene 화합물 (Polyacetylene Compounds from Panax ginseng C.A. Meyer)

  • 심상철;장석구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1988년도 학술대회지
    • /
    • pp.122-128
    • /
    • 1988
  • 폴리아세칠랜계 화합물이 함유된 인삼의 석유 에텔 추출물은 시험관내 실험에서 Sarcoma 180, Walker carcinosarcoma 256, $L_{1210}leukemic$ lympocyte의 성장을 억제한다. 우리는 석유 ether 추출물로 부터 몇가지 포리아세틸렌계 화합물을 분리하여 화학구조를 밝혔다. UV, IR $^{1}H$ NMR, $^{13}C$ NMR, EI mass, CI mas, 원소분석과 산화 또는 산촉매 가수분해와 같은 화학적인 방법으로 얻어진 자료에 근거하여 이들은 heptadeca-1,9-dien-4,6-diyn-3-ol, hepatadeca-l-en-4.6-diyn-9,10-epoxy-3-ol 및 hepatadeca-1,8-dien-4,6-diyn-3,10-diol로 밝혀 졌다.

  • PDF

고려인삼의 항암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titumor Activity of Panax ginseng)

  • Hwang, Woo-lk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7권1호
    • /
    • pp.52-60
    • /
    • 1993
  • Panax ginseng has been extensively used in the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as a restorative, tonic and Prophylactic agent. Recently, several reports regarding to anticancer effects of Panax ginseng has accumulated. These studies emphasized the fact that the anticancer activities might be due to a glycoside group called ginsenoside or pan.u saponin which has a water soluble characteristic. However, the authors and collaborates demonstrated that a highly lipid soluble component in extract of Panax ginseng roots contains a considerable cytotoxic activities against marine leukemic cells (L1210, P388) and human censer cells (HRT-18, HT-29, HCT48). This study was devised to observe the cytotoxic activities of Petroleum-ether extract of Panax giuseng roots (crude GBD and its Partially Purified fraction from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 (7 : 3 GX) against sarcoma-180 (5-180) and Walker carcinosar- coma 256 (Walker 256) in vivo, and murine leukemic Lymphocytes (L1210) and human rectal cancer cells (HRT-18) and human colon cancer cells (HT-29 and HCT48) in vitro. Each cell-line was cultured in medium containing serial concentration of the crude GX or 7 : 3 GX in vitro. A highly lipid soluble compound in the extract of Panax ginseng root was cytocidal to murine leukemic cells and human colon and rectal cancer cells in vitro. In the meantime, ginseng saponin derivatives did not have cytotoxic effects at its corresponding concentration. The growth rates of the cancer cells in medium containing ginseng extracts were inhibited gradually to a significant degree roughly in proportion to the increase of the extract concentration. The cytotoxic activity of 7 : 3 GX was about 3 times more potent than that of crude GX, one unit of cytotoxic activity against L1210 cells being equivalent to 2.54 Ug and 058 Ug for the crude GX and 7 : 3 GX, respectively. The Ri value of the active compound on silica- gel thin layer chromatography with petroleum-ether/ethyl ether/acetic acid mixture (90 : 10 : 1, v/v/v) as a developing so lvent was 053. While, the Panaxydol and Panaxynol as active compounds were purified from Petroleum-ether extract of Panax ginseng root by Drs. Ahn and Kim, and author found out that the one unit of cytotoxic activity of the Panaxydol and Panaxynol against L1210 cells being equivalent to 056 Ug and 0.3918 respectively. The survival times of mice inoculated with S-180 cells were extended about 1.5 to 2 times by the 7 : 3 GX treatment compared with their control group. The significantly decreased hemoglobin values of rats after inoculation with Walker 256 were recovered to normal range by oral administration of the crude Gt The synthetic levels of protein, DNA and RNA in human colon and rectal cancer cells were significantly diminished by treatment with the crude GX, which can explain a part of the origin of its anticancer activity.

  • PDF

비파 잎의 추출용매별 항산화성 검증과 활성물질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nt Compounds of Various Solvents Extracted from Eriobotrya japonica Leaves)

  • 함현숙;이세열;이동완;성종환;김한수;김동섭;이영근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9호
    • /
    • pp.1166-1172
    • /
    • 2012
  • 비파 잎의 항산화 활성을 탐색하고 활성물질을 분리하여 규명하기 위하여, 동결 건조한 비파 잎을 마쇄하여 n-hexane, ethyl acetate (EtOAc)와 methanol (MeOH)로 용매 분획하였다. 각 추출물에 대하여 정량적으로 DPPH 소거활성, SOD 유사활성을 측정하고, 페놀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각 용매에 따른 추출물 중 비교적 활성이 강한 EtOAc 추출물과 MeOH 추출물에 대하여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얻은 분획물들 중 강한 활성을 보인 각 1개의 분획물에서 3개의 화합물을 분리하였으며, GC/MS 분석에서 phytol, ${\beta}$-sitosterol 및 (-)-Loliolide으로 동정하였다.

바위솔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및 암세포 증식억제 (The activity of antioxidants and suppression of cancer cell proliferation in extracts of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 김충현;박재호;임종국;이건주;정규영;정형진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1-39
    • /
    • 2003
  • 바위솔의 추출물로부터 항산화 활성 및 동물 항암세포를 이용한 생물학적 특성을 조사 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육지별 DPPH 프리라디칼 소거 및 xanthine/xanthine oxidase 억제 활성비교에서 재배지에서 수확한 시료의 활성이 $6.07(IC_{50}:{\mu}g/m{\ell})$로 가장 높았다 생육시기별 DPPH 프리라디칼 소거 및 xanthine/xanthine oxidase 억제의 활성은 9월 수확물이 가장 활성이 높았다.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항산화물질 분리결과에서 S-4 분획물의 DPPH와 xanthine oxidase 억제활성이 $5.02(IC_{50}\;:\;{\mu}g/m{\ell})$$6.18(IC_{50}:{\mu}g/m{\ell})$을 나타냄으로써 높은 분리효율를 보였다. 항산화활성이 가장 높았던 LH-4 분획물의 주요화합물은 GC/MS에 의하여 지방산, 폴리페놀화합물 및 페놀유도체로 동정되었으며 alpha-androsta-7,14-diene과 1,2,3-benzenetriol이 주 물질이었다. POD 및 SOD 활성은 생육지간에 재배지, 산, 바닷가 순으로, 생육시기간에는 시기가 늦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SOD 동위효소의 밴드수는 전 생육지, 전 생육시기에서 공히 2개의 밴드가 나타났으나, 그 세기는 재배지와 9월의 수확물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정제된 LH-4 분획물은 HL-60 세포의 종양증식을 억제시켰으며 종양유발유전자와 IPTG로 콜로니 형성을 유도한 암세포(2-12 cells)에서 분획물 400ppm 처리와 negative control 처리간의 colony형성은 유의차가 없었다.

토양중(토양중) Phorate의 분해(분해)와 대사(대사) (Degradation and Metabolism of Phorate in Soil)

  • 이해근;홍종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6권2호
    • /
    • pp.97-103
    • /
    • 1983
  • 토양중(土壤中) phorate의 행동(行動)에 관(關)한 보다 많은 정보(情報)를 얻기 위(爲)하여, phorate입제(粒劑)(10%)를 40kg a.i./ha의 비율(比率)로 토양혼화처리(土壤混和處理)한 후 15일(15日) 간격(間隔)으로 90일(90日)까지 토양중(土壤中) phorate의 행동(行動)을 GLC와 TLC로 조사(調査)하였다. 토양중(土壤中) phorate는 phorate sulfoxide와 phorate sulfone으로 신속(迅速)히 산화(酸化)되었으며, 토양중(土壤中) phorate의 주요대사경로(主要代射經路)는 측류(測류)의 sulfide가 phorate sulfoxide와 phorate sulfone으로 산화(酸化)되는 과정(過程)임이 확인(確認)되었다. phorate sulfoxide와 phorate sulfone의 잔류성(殘留性)은 비교적(比較的) 길었던 반면(反面), phoratoxon은 시험초기(試驗初期)에만 미량(微量)으로 검출(檢出)되었다. phoratoxon sulfoxide와 phoratoxon sulfone은 시험전기간(試驗全期間)동안 어느 시료(試料)에서도 검출(檢出)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토양(土壤)에서 검출(檢出)된 농약(農藥)은 주(主)로 phorate와 그의 sulfoxide 및 sulfone으로 구성(構成)되었으며, 이들을 합(合)친 전체잔류량(全體殘留量)의 반감기(半減期)는 60일(60日) 정도(程度)이었다. 한편 토양중(土壤中) phorate와 그 대사산물(代謝産物)들의 하부(下部)로의 이동(移動)은 별(別)로 없었으며 대부분(大部分)의 농약(農藥)이 처리(處理)후 $(0{\sim}10cm)$에 잔류(殘留)하였다. GLC의 분석결과(分析結果)를 확인(確認)하기 위(爲)하여 TLC를 이용(利用)하였는데, toluene-acetonitrile-nitromethane(40 : 30 : 30, v/v/v)은 silica gel TLC plate상(上)에서 phorate와 그 대사산물(代謝産物)들을 만족(滿足)스럽게 분리(分離)하였으며, 토양시료(土壤試料)로부터 얻은 TLC chromatogram은 GLC의 결과(結果)와 잘 일치(一致)하였다.

  • PDF

천마(Gastrodia elata)로부터 분리한 VHR DS-PTPase 저해 물질 (The VHR Dual-Specificity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DS-PTPase) Inhibitor Isolated from Gastrodia elata)

  • 이명선;오원근;배은영;안순철;손천배;히로유키 오사다;안종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505-509
    • /
    • 2002
  • 천마의 methanol 추출물로부터 VHR DS-PTPase 저해 물질을 분리하여 이를 HREI-MS와 $^1H-NMR$, $^{13}C-NMR$, DEPT 등의 기기 분석 자료에 의하여 baicalein으로 구조를 동정 하였다. 이 물질은 VHR에 대하여 $2.4{\mu}M$$IC_{50}$값을 나타내었고 T-cell PTPase나 PPase 1과 같은 다른 단백질 탈인산화 효소에 대하여는 저해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7종류의 인간 암세포주(흑색종 세포주인 LOX-IMVI, 폐암 세포주인 NCI H23과 A549, 대장암 세포주인 HCT 116와 SW 620, 전립선암 세포주인 PC-3와 백혈병 세포주인 MOLT 4F)에 대한 세포독성을 조사하여 본 결과 $5.26{\sim}12.93\;{\mu}g/mL$에서 $GI_{50}$값을 나타내었다.

가열산화 대두유의 돌연변이원성 (Mutagenicity of Thermally Oxidized Soybean Oil)

  • 이진영;안명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1213-1220
    • /
    • 2000
  • 가열산화된 유지의 산패도와 돌연변이원성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대두유를 $180{\pm}3^{\circ}C$에서 48시간 동안 가열산화시키면서 0, 8, 16, 24, 32, 40, 48시간 후의 유지시료와 여기서 분획한 산화물 및 비산화물을 대상으로 Salmonella typimurium 변이균주 중 구조이동형(frame shift) 변이균주인 TA98, TA1537과 염기치환형(base-pair substituent) 변이균주인 TA100, TA1535 및 TA102를 사용하여 Ames test를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80{\pm}3^{\circ}C$에서 48시간 가열산화된 대두유의 가열시간에 따른 돌연변이원성을 조사했을 때 직접법 [-S9] 및 대사활성화법 [+S9] 모두에서 돌연변이원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또한 $180{\pm}3^{\circ}C$에서 가열산화된 대두유를 산화물 및 비산화물로 분리하여 돌연변이원성을 조사한 결과 가열 16시간 및 24시간 후의 산화 물질에서 돌연변이 활성이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