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lage maize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35초

Manipulation of the Rumen Ecosystem to Support High-Performance Beef Cattle - Review -

  • Jouany, J.P.;Michalet-Doreau, B.;Doreau, 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1호
    • /
    • pp.96-114
    • /
    • 2000
  • Genetically selected beef cattle are fed high-energy diets in intensive production systems developed in industrial countries. This type of feeding can induce rumen dysfunctions that have to be corrected by farmers to optimise cost-effectiveness. The risk of rumen acidosis can be reduced by using slowly degradable starch, which partly escapes rumen fermentation and goes on to be digested in the small intestine. Additives are proposed to stabilise the rumen pH and restrict lactate accumulation, thus favouring the growth of cellulolytic bacteria and stimulating the digestion of the dietary plant cell wall fraction. This enhances the energy value of feeds when animals are fed maize silage for example. Supplementation of lipids to increase energy intake is known to influence the population of rumen protozoa and some associated rumen functions such as cellulolysis and proteolysis. The end products of rumen fermentation are also changed. Lipolysis and hydrogenation by rumen microbes alter the form of fatty acids supplied to animals. This effect is discussed in relation with the quality of lipids in beef and the implications for human health. Conditions for optimising the amount of amino acids from microbial proteins and dietary by-pass proteins flowing to the duodenum of ruminants, and their impact on beef production, are also examined.

Effects of Varying Levels of Whole Cottonseed on Blood, Milk and Rumen Parameters of Dairy Cows

  • Oguz, F. Karakas;Oguz, M.N.;Buyukoglu, T.;Sahinduran, 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6호
    • /
    • pp.852-856
    • /
    • 2006
  • Four lactating Holstein cows were used in a $4{\times}4$ Latin-square design to determine the effects of various levels of whole cottonseed (WCS) in diets on parameters including milk (yield and fat content), rumen fluid (pH, ammonia and TVFA) and blood (${\beta}$-carotene, vit. A, vit. E, urea, $NH_3$, Ca, P and Mg levels). Cows consumed 0, 1, 2 or 3 kg WCS per day.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among the groups on analysed parameters except plasma vitamin E concentration. In addition, when the amount of cottonseed was increased, milk yield and milk fat content also tended to increase but this increas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nclusion, feeding of WCS up to 3 kg per day with ad libitum maize silage did not cause negative effects on milk yield, milk fat and blood vitamin levels in the short term in dairy cows.

Evaluation of Forage Production of Maize with Different Sowing Dates and Ridge Shape for Silage at Paddy Field in the Central Region of Korea

  • Youngchul Yoo;Dae-Woo Lee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00-100
    • /
    • 2022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2021 using Kwangpyeongok and Gangdaok, that showed good yield performance both under upland and lowland conditions in the previous year.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by sowing on April 22, May 14, May 30, June 19, and July 10, with aim to determine optimum sowing date in central region of Korea. The growing degree days (GDD) required to read the flowering stage were 1375.5-1725.3℃ for upland and 1582.7-1982.4℃ for lowland condition. The lowest GDD was observed in July 10 sowing regardless of ridge formation both under lowland and upland conditions for Kwangpyeongok. However, Gangdaok showed the lowest GDD under no-ridge in lowland and high-ridge in upland, both of which were sown on June 19. The difference in GDD between no-ridge and high-ridge treatment was little depending on the sowing date. In both lowland and upl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o-ridge and high-ridge treatments in stover dry matter, ear dry matter, and TDN between no-ridge and high-ridge treatments. Under upland condition,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iomass and TDN was observed among sowing date treatments and between varieties. Under lowland condition, biomass production was severely reduced in May 30 sowing treatment, whereas no varietal difference was observed. Reduced biomass in May 30 sowing treatment may be due to excess waterlogging and lodging by rainfall.

  • PDF

재래종 옥수수 수집종에 대한 특성조사 제5보 다수다벽 재래종 옥수수계통의 특성변이 (Investigation on Korean Local Maize Lines V. Variabilities of Plant Characters of Multi-eared and Tillered Lines(MET))

  • 최봉호;박종성;김영래;박근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56-68
    • /
    • 1981
  • 재래종의 수집종 가운데서 선접된 다종다벽계통 (약칭 : MET)의 일반적 대성을 분석하여 청예용 옥수수의 육종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져 수행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주요 특성들의 환경변이와 유전변이를 추정하였던 바 MET계통의 분벽성, 개체당 이삭수(수수)는 환경변이보다도 유전변이가 큰 것으로 추정되었다. 개체당 건물중 및 건엽중 등도 유전변이가 커 MET 계통의 유전적 특성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건기중, 입중 등은 환경변이가 컸었다. 2. 몇가지 특성의 평균치를 두 품종간에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가. 분벽기수 및 이삭수 : 수원 19호는 환경변이 (파종기, 재식밀도)에 관계없이 분벽기이 없고 이삭수도 변하지 않았으나 MET계통은 분벽기수 및 이삭수가 크게 달라졌다. 나. 개체당 건물중, 건엽중 및 건기중 : 파종기나 재식밀도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MET계통의 개체당 건물이 수원 19호보다 비교적 높았으며 건엽중은 월등히 높았고(1.5-2.5)배 개체당 건기중도 비교적 높았다. 다. 개체당 입중 및 입중 대 건기엽중비 : MET계통의 개체당 입중은 수원 19호보다 5~40% 낮았다. 따라서 MET계통의 입중 대 건기엽중비가 평균 35%였고 수원 19호는 41%로서 높았다. 3. MET계통은 파종 2주 후부터 분벽하기 시작하여 3 ~ 5일간격으로 다음 분벽이 되었으며 생육초기에 왕성하여 최고 6~7개에 이르나 2~3개만이 유효기으로 신장되였다. 유효기비율은 소식일수록 높았다. 분벽의 발생은 주기의 최하절읍부터 시작되는 데 하부절위가 짧아 한절위에서 분벽이 여러개 발생하는 것처럼 보였다. 제 1, 2분벽기의 기장은 주기의 것에 비하여 10cm 정도씩 짧았으며 재식밀도에 따라 주기 및 제일, 이분벽기의 기장은 소식(60$\times$60cm)한 경우 밀식(60$\times$20cm)한 경우와 같이 분벽들에 의한 밀식의 효과가 있었고 중간재식밀도(60$\times$40cm)인 경우에는 소ㆍ밀도의 중간되는 기장을 보였다. 4. MET계통은 개체당 이삭수가 많은 것에 반하여 이삭의 크기는 수원 19호의 \frac{1}{3}도 못되었다. 각분벽기에 달리는 이삭수는 소식의 경우 주기에 4개, 제일, 이분벽기에 2~3개씩 달렸다. MET계통의 입은 경입종이며 황색입이 주가되고 백색입이 약간 섞여 있었으며 100입중은 14~15gr. 의 소입종이었다. MET계통은 착수고가 수원 19호보다 훨씬 높았다. 5. 주요 특성간의 상간 : 수원 19호에 비하여 MET 계통은 주요 특성간에 높은 상관계수를 보여 유전상관도 높을 것이라는 것을 간접적으로 나타내주었다. 6. MET계통은 생장속도가 수원 19호보다 훨씬 늦었으며 개화기도 2~3주나 늦었다. 7. 흑조위축병 : 수원 19호와 같이 MET계통도 흑조위축병에 대해 이병성이었다. 이병성은 늦게 파종하거나 밀식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 PDF

재래종 옥수수 수집종에 대한 특성조사 제6보 청예를 위한 재래종 옥수수의 이용에 관한 연구 (Investigation on Korean Local Maize Lines VI. Use of a Korean Local Maize Line for Silage Production)

  • 최봉호;박종성;김영래;정승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51-256
    • /
    • 1981
  • 수입에 의 한 수요충족이 절대불가능한 양질다수성 싸이레지용 옥수수의 개발은 우리나라에 매우 필요한 사항이다. 양질 다수성인 싸이레지용 옥수수의 개발을 위한 육종적 재료를 확보코저 재래종 옥수수의 수집종 가운데서 선발된 다약다수성인 계통을 가지고 재배환경이 다양한 조건하에서 싸이레지용으로서의 가부시험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싸이레지용 주요특성의 하나인 단위면적당 총건물중 생산양에 있어서 파종기나 재배밀도에 관계없이 수원 19호 교잡종보다 다약다종성인 MET 계통이 평균 10% 더 높았다. 2. 식물체의 부입별 특성을 비교하면 MET 계통은 건엽중이 수원 19호보다 월등히 높아 MET 계통의 건물중 증가에 기여하였다. 3. MET 계통의 건엽중이 수원 19호보다 높았던 것은 MET계통의 분벽에 의한 엽수의 증가 때문이었으며, 4. 기타 곡실수량에 관련된 이삭의 무게라든가 입중, 이확속중 등은 수원 19호가 높았다. 다만 포엽중만은 MET 계통이 다수성으로 인해 더 높았다. 5. TDN의 증감과 관계가 있는 100a당 배의 생산은 소입성인 MET 계통이 수원 19호보다 10$\sim$15% 더 높았다. 6. MET 계통이 다약다수성이고 수원 19호가 무약일수성인데도 불구하고 분산분석결과 품종$\times$재배환경(파종기 또는 재식밀도)라는 유의적인 상호작용이 없이 다 같이 밀식함으로써 총건물중이 증가하였다. 7. 싸이레지로 만들었을 때 MET 계통과 수원 19호의 일반조성분 TDN 등을 비교한 결과 일반 조성분에 있어서는 두 품종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TDN에 있어서는 MET 계통이 더 높았고 DCP에 있어서는 수원 19호가 더 높았다. 8. 아미노산의 분석결과 두 품종간에 큰 차이는 없었다.

  • PDF

수 처리 방법이 근적외선분광법을 이용한 옥수수 사일리지의 화학적 조성분 및 발효품질의 예측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 (Mathematical Transformation Influencing Accuracy of Near Infrared Spectroscopy (NIRS) Calibrations for the Prediction of Chemical Composition and Fermentation Parameters in Corn Silage)

  • 박형수;김지혜;최기춘;김현섭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50-57
    • /
    • 2016
  • 본 연구는 국내산 원물 옥수수 사일리지의 품질을 신속하게 분석 평가하기 위한 NIRS DB 구축과 원물시료의 분석 예측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근적외선 스펙트라의 적정 수 처리 방법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옥수수 사일리지는 전국 사료작물 사일리지 품질경연대회에 출품된 시료와 2014년부터 2015년까지 전국 조사료 품질검사 시범사업에 참여한 조사료 생산경영체, 농축협 TMR회사 및 생산농가에서 407점을 수집하였다. 옥수수 사일리지의 품질평가를 위한 NIRS DB 구축을 위해 수집된 시료를 근적외선 분광기를 이용하여 스펙트라를 측정하고 측정된 시료는 실험실에서 화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양한 수 처리 방법에 따른 사료가치 및 발효품질의 예측정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원시 스펙트라를 미분처리하여 최적의 수처리 방법을 구명하였다. 옥수수 원물 사일리지의 수분함량 예측능력은 1차 미분처리(1, 16, 16)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NDF와 ADF의 최적 수 처리는 두 성분 모두에서 2, 16, 16 처리가 예측 정확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조단백질 함량의 예측능력은 1차 미분처리(1, 4, 4)가 SECV 0.51과 $R^2{_{cv}}$ 0.72로 가장 우수한 예측능력을 나타내었다. 옥수수 사일리지의 발효산물인 산도(pH) 예측 정확성은 원물 스펙트라를 1차 미분처리(1, 8, 8)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젖산과 초산의 예측능력은 2차 미분처리(2, 16, 16)에서 각각 SECV 0.81% 및 0.71%의 분석오차로 높게 나타났다.

사료용 옥수수 신품종 '양안옥'의 생육특성 및 수량성 (Growth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of Single Cross Maize New Hybrid for Silage and Grain, 'Yanganok')

  • 손범영;백성범;김정태;이진석;구자환;김선림;정건호;권영업;지희정;허창석;박종열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94-99
    • /
    • 2013
  • 양안옥은 다수성 사료용 옥수수 품종 개발을 목표로 2012년에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자식계통 KS164과 KS163을 교잡하여 육성한 다수성 단교잡종이다. 양안옥의 종피색은 황오렌지색이며 입질은 중간종이다. 양안옥은 2007~2008년 동안 생산력검정시험을 거쳐, 2009~2012년까지 3년간 4지역에서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우수성이 인정되어 2012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으로 결정되었고 양안옥으로 명명하였다. 양안옥의 출사일수는 대비 품종인 광평옥보다 2일 빠르다. 간장은 광평옥과 유의한 차이는 없으나 착수고율은 광평옥보다 높고 도복은 광평옥과 비슷한 정도로 강하며 후기녹체성과 이삭비율도 광평옥과 유의한 차이는 없다. 양안옥의 깨씨무늬병은 광평옥과 비슷한 중강의 저항성을 보이며, 그을음무늬병도 광평옥과 같이 강한 편이다. 검은줄오갈병, 이삭썩음병 및 조명나방도 광평옥과 같이 중 정도의 저항성을 보인다. 양안옥의 건물수량은 17.45 톤/ha이며, TDN수량은 11.96 톤/ha로 광평옥과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양안옥의 종실수량은 8.32 톤/ha로 장다옥과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 : 1 (모본 : 부본) 재식비율로 동시 파종하여 채종 시험한 결과 모본의 출사기와 부본의 화분비산기간이 일치하며 채종수량은 1.79 톤/ha이었다. 양안옥은 전국적으로 재배가 가능하다.

내도복 다수성 종실 및 사일리지 옥수수 신품종 '평강옥' (A New Single Cross Maize Hybrid for Grain and Silage, 'Pyeongangok')

  • 손범영;백성범;김정태;이진석;황종진;권영업;지희정;허창석;박종열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03-208
    • /
    • 2012
  • 평강옥은 자식계통 KS160과 KS155의 교잡으로 육성된 다수성인 단교잡종이다. 2007~2008년 생산력검정시험을 거쳐, 2009~2011년 3년 동안 4지역에서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2011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선정위원회에서 신규 우량품종으로 결정되었다. 이 품종의 주요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평강옥의 종피색은 황색이며 입질은 마치종이다. 출사일수는 종실용 옥수수 대비품종인 장다옥 보다 2일 빠르며 사일리지용 옥수수 대비품종인 광평옥과 같다. 간장은 장다옥 보다 길며 광평옥과 비슷하였다. 100주당 이삭수는 장다옥 보다 많았다. 이삭길이는 장다옥과 비슷하였으며, 100립 중은 장다옥 보다 가벼웠다. 이삭비율은 광평옥 보다 낮았다. 후기녹체성은 광평옥과 비슷하였다. 깨씨무늬병, 흑조위축병 및 조명나방에 중정도의 저항성을 보이며, 그을음무늬병에는 강한 편이다. 도복에는 광평옥과 비슷한 정도로 강하였다. 종실수량은 7.66톤/ha로 장다옥 보다 많았고, 건물수량은 19.80톤/ha로 광평옥과 비슷하였다. TDN 수량은 13.32톤/ha로 광평옥과 비슷하였다. 4 1 (모본 : 부본) 재식비율에서 동시 파종하여 채종한 결과 모본의 출사기와 부본의 화분비산기간이 잘 일치하였다.

Substituting oat hay or maize silage for portion of alfalfa hay affects growth performance, ruminal fermentation, and nutrient digestibility of weaned calves

  • Zou, Yang;Zou, XinPing;Li, XiZhi;Guo, Gang;Ji, Peng;Wang, Yan;Li, ShengLi;Wang, YaJing;Cao, ZhiJu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3호
    • /
    • pp.369-378
    • /
    • 2018
  • Objective: The impact of forage feeding strategy on growth performance, ruminal fermentation and nutrient digestibility in post-weaning calves was investigated. Methods: Forty-five female Holstein calves (body weight [BW] = $79.79{\pm}0.38kg$) were enrolled in the 35-d study at one week after weaning and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ree dietary treatments. All diets were fed as total mixed ration containing 60% (dry matter [DM] basis) of basal starter feed and 40% (DM basis) of forage, but varied in composition of forage source including i) alfalfa (40% DM, AH); ii) alfalfa hay (26.7% DM)+oat hay (13.3% DM; OH); iii) alfalfa hay (26.7% DM)+corn silage (13.3% DM; WS). Results: Dry matter intake was not different among treatment groups (p>0.05). However, BW (p<0.05) and average daily gain (p<0.05) of calves fed AH and OH were greater than WS-fed calves, whereas heart girth was greater in OH-fed calves than those fed AH and WS (p<0.05). Ruminal fermentation parameters including proportion of butyric acid, acetated-to-propionate ratio, concentration of total volatile fatty acid, protozoal protein, bacterial protein, and microbial protein in rumen were the highest in OH (p<0.05) and the lowest in WS. Compared with the AH and WS, feeding oat hay to postweaning calves increased crude protein digestibility (p<0.05), and decreased duration of diarrhea (p<0.05) and fecal index (p<0.05).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ed that partially replacing alfalfa hay with oat hay improved ruminal fermentation, nitrogen utilization, and reduced incidence of diarrhea in post-weaning dairy calves.

다수.다얼성 옥수수(NET)의 세포질적 유전 (Cytoplasmic Inheritance of High Tillering and Earing Characters of a Korean Local Maize Line(MET))

  • Han, C.H.;Lee, I.S.;Choe, B.H.;Park, K.Y.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55-61
    • /
    • 1984
  • 1981년부터 최 등이 재래종 옥수수의 수집종 가운데서 병발한 한계통(MET)을 분얼이 많이되고 또한 개체당 이삭(수)수도 많아서 사료용 옥수수의 육종재료로 가치가 있다고 생각되었으나 이 옥수수에 대한 유전적 분석이 확실히 되어 있지를 않았다. 따라서 본연구에서는 MET와 비분얼성이며 이삭도 하나 밖에 달리지 않는 수원 19호 (Mo17$\times$B68) 교잡종을 이용하여 F$_1$, F$_2$, BC$_1$, 세대를 양성하고 Mather의 세대평균분석법에 의하여 분석한 결과 MET 계통의 다수.다얼성은 염색체상의 유전인자에 의한 다기 보다 세포질적 유전인자에 의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같은 결론은 MET계통을 모계로 하여 교잡한 려잡종 세대에서 확실히 얻을 수가 있었다. 즉 MET 계통을 모계로 이용했을 때의 평균분얼과 이삭수는 MET를 부계로 이용했을 때의 분얼수와 이삭수 보다 많았는데 이는 이같은 특성들이 모계유전을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같은 특성들이 F$_1$이나 F$_2$에서 나타나지 않은 것은 F$_1$에서 특히 보여주는 잡종강세현상 때문에 옥수수의 정부우세성이 매우커서 상반적으로 분얼이나 이삭의 발달이 억제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분얼이나 이삭의 절대수가 모계로 이용했던 MET에서 보다 잡종세대가 진전될수록 적어지는 것은 잡종강세외에도 MET계통의 세포질약 내지 유전인자적 축적량(Dose)이 적어지기 때문이라고 생각되어진다. 이같은 MET계통의 특성은 려교잡에 의한 MET계통의 세포질을 유지하거나 축적하므로써 사료용 옥수수의 육종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