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de-polished fiber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8초

팔라듐 코팅된 편광 유지 광섬유를 이용한 편광 상이 배치 구조 기반 광섬유 수소 센서의 개발 (Development of Optical Fiber Hydrogen Sensor Based on Polarization-Diversity Loop Configuration Using Pd-Coated Polarization-Maintaining Fiber)

  • 노태규;김영호;이용욱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7권3호
    • /
    • pp.1-6
    • /
    • 2013
  • In this study, we propose a fiber-optic hydrogen sensor using a polarization-diversity loop configuration composed of a polarization beam splitter, two quarter-wave plates, and a polarization-maintaining fiber coated with palladium whose thickness is ~400nm. One transmission dip of the output interference spectrum of the proposed sensor, chosen as a sensor indicator, was observed to spectrally shift with the increase of the hydrogen concentration, and the sensing indicator showed a wavelength shift of ~2.48nm at a hydrogen concentration of 4%. Except for a hydrogen concentration of 4%, the response time of the proposed sensor was measured as less than 12.5s and did not show significant dependence on the hydrogen concentration. In particular, the proposed fiber hydrogen sensor is more durable and highly resistant to external stress applied on a transverse axis of an optical fiber, compared with other hydrogen sensors based on side-polished fibers or fiber gratings.

Passively Q-switched Erbium Doped All-fiber Laser with High Pulse Energy Based on Evanescent Field Interaction with Single-walled Carbon Nanotube Saturable Absorber

  • Jeong, Hwanseong;Yeom, Dong-Il
    •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 /
    • 제1권3호
    • /
    • pp.203-206
    • /
    • 2017
  • We report a passive Q-switching of an all-fiber erbium-doped fiber laser delivering high pulse energy by using a high quality single-walled carbon nanotube saturable absorber (SWCNT-SA). A side-polished fiber coated with the SWCNT is employed as an in-line SA for evanescent wave interaction between the incident light and the SWCNT. This lateral interaction scheme enables a stable Q-switched fiber laser that generates high pulse energy. The central wavelength of the Q-switched pulse laser was measured as 1560 nm. A repetition rate frequency of the Q-switched laser is controlled from 78 kHz to 190 kHz by adjusting the applied pump power from 124 mW to 790 mW. The variation of pulse energy from 51 nJ to 270 nJ is also observed as increasing the pump power. The pulse energy of 270 nJ achieved at maximum pump power is 3 times larger than those reported in Q-switched all-fiber lasers using a SWCNT-SA. The tunable behaviors in pulse duration, pulse repetition rate, and pulse energy as a function of pump power are reported, and are well matched with theoretical expectation.

광기능성 폴리머의 소산장 결합을 이용한 측면연마 광섬유형 자외선 센서 (Side Polished Fiber Optic UV Sensor Using Evanescent Coupling of Photo-Functional Polymer)

  • 김상우;서규원;윤종국;장수원;유윤식;이승하;강신원
    • 센서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335-341
    • /
    • 2002
  • 측면연마된 광섬유와 광기능성 색소가 분산된 평면도파로 결합기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자외선 센서를 제작하여 그 특성을 측정하였다. 자외선 조사에 의해 유효굴절률이 변화하는 광변색성 색소가 분산된 폴리머를 평면 도파로 재료로 사용하였다. 박막 광도파로는 광변색성 색소인 스파이록사진을 사용하였다. 자외선 조사시간을 20초, 30초, 40초로 증가시켰을 경우 센서의 파장응답은 1.44nm/mW, 1.64nm/mW, 1.78nm/mW였고 1550nm 파장에서 센서의 90% 복귀시간은 100초로 나타났다.

측면연마 광섬유형 자외선센서의 광강도 변화에 따른 감도특성 (Sensitivity Characteristics of Side-Polished Fiber Optic UV Sensor with Optical Intensity Variation)

  • 이동록;서규원;윤종국;조강민;강신원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1권6호
    • /
    • pp.53-58
    • /
    • 2004
  • 광기능성 색소가 분산된 평면도파로 결합기와 측면연마된 광섬유를 이용한 자외선 센서를 제작하여 광강도 변화에 따른 감도특성을 측정하였다. 광변색성 색소인 스파이록사진이 분간된 폴리머를 평면도파로로 사용하였다. 조사되는 자외선의 강도와 시간에 의해 유효굴절률이 변화하는 성질을 이용하였다. 자외선 조사시간을 3 초와 5 초로 고정한 상태에서 자외선 조사강도를 점차 증가시켰을 때 센서감도가 자각 $1.21{\mu}W/mw$$2.75{\mu}W/mw$로 나타났다. 자외선 조사 강도에 따른 출력 광강도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자외선 강도가 클수록 출력 광강도도 증가하고 포화시간은 단축됨을 알 수 있었다.

광섬유-평면도파로 결합기의 편광선택성 분석 (Analysis on the polarization selectivity of fiber-to-planar waveguide coupler)

  • 김광택;권형우;장명희;이종훈;손경락;이소영;송재원;정웅규;강신원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2000년도 제11회 정기총회 및 00년 동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00-101
    • /
    • 2000
  • 편광기는 광변조기나 스위치 등과 같이 구동을 위해 하나의 편광성분을 요구하는 소자를 동작시킬 때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소자이다. 편광기를 구현하는 기법에 따라 벌크형, 집적광학형 그리고 광섬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광섬유형은 광섬유를 절단하지 않고 제작이 가능하여 삽입손실이 작고 높은 기계적 신뢰성을 가진다. 측면 연마된 광섬유(side-polished fiber)위에 복굴절 크리스탈$^{(1)}$ , 액정크리스탈$^{(2)}$ , 금속막$^{(3)}$ , 그리고 복굴절을 가지는 평면도파로$^{(4)}$ 를 결합한 구조가 잘 알려져 있다. 특히 광섬유-평면도파로 결합 구조는 원하는 파장에서 TE혹은 TM 편광성분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평면도파로 물질선택이 용이한 구조이기 때문에 많은 주목을 받아 왔다. 하지만 지금 까지 알려진 광섬유-평면도파로 결합기를 이용한 편광기는 편광선택 작용이 발생하는 파장범위가 좁아 범용적으로 사용하는데 적합하지 않는 점이 있다. (중략)

  • PDF

측면연마된 광섬유와 열광학 평면도파로 결합기에서 광통신 파장영역의 광세기변화를 이용한 광섬유형 온도센서 (Fiber optic temperature sensor using optical intensity variation at optical communication wavelength range in side-polished fiber to thermo-optic polymer planar waveguide couplers)

  • 정웅규;김시홍;박형준;김광택;송재원;강신원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2000년도 제11회 정기총회 및 00년 동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52-253
    • /
    • 2000
  • 본 논문은 광통신 파장(1.3$mu extrm{m}$)에서 측면 연마된 광섬유와 열광학 평면도파로 결합기의 온도변화에 따른 광의 세기변화를 이용한 광섬유형 온도센서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소자는 광통신영역에서 변화를 가지기 때문에 원거리 측정이 가능하고 열광학 평면도파로의 물질의 선택과 소자의 구조에 따라 넓은 온도감지 범위와 높은 분해능을 가지는 소자의 구현이 가능하다. (중략)

  • PDF

프리즘과 광섬유-평면도파로의 소산장 결합을 이용한 자외선 센서 (UV Sensor using Evanescent Field Coupling of Prism and Fiber-to-Planar Waveguide Coupler)

  • 조강민;윤정현;김응수;이승하;강신원
    • 센서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350-355
    • /
    • 2004
  • A novel UV sensor was manufactured and characterized using the evanescentfield coupling between fiber-planar waveguide (PWG) coupler and prism. A spiroxazine dye was chosen as planar waveguide because its photochromic isomerization induced by UV irradiation. A novel UV sensor was proposed to measure the variation of refractive index and absorption coefficient simultaneously. The wavelength responses of these sensors by UV exposure times were measured 0.48 nm/sec, 0.757 nm/sec, and ATR output power variations were measured $-0.424{\mu}W$/sec and $-0.62{\mu}W$/sec when UV exposure power were 3 mW and 5 mW, respectively.

광섬유-평면도파로 광 결합기를 이용한 광 필터 제작과 특성 측정 (Fabrication and optical properties measurement of the optical filters utilizing fiber-to-planar waveguide coupler)

  • 김광택;이소영;손경락;이종훈;송재원;이상재;김시홍;강신원
    • 한국광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419-423
    • /
    • 1999
  • 측면 연마된 단일모드 광섬유와 다중모드 폴리머 평면도파로 사이의 소산장 결합을 이용한 광필터를 제작하고 그 특성을 측정하였다. 소자의 편광의존성을 줄일 수 있는 방법 제안하였으며 실험으로 검증하였다. 그리고 광필터의 공진파장과 여과 깊이는 평면도파로의 두께와 연마깊이로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음을 실험으로 보였다. 광섬유 연마과정, 폴리머 평면도파로 제작 등을 포함한 소자제작 공정을 소개하였다. 제작된 광필터의 3㏈대역폭은 15nm, 삽입손실은 0.2㏈, 편광에 따른 공진 파장의 차이는 2nm 이하였다. 그리고 주위온도에 의한 공진파장의 이동거리는 -0.35nm/$^{\circ}C$로 측정되었다.

  • PDF

측면 연마된 광섬유의 소산장 결합에 의한 광 증폭 (Optical amplification by evanescent field coupling of a side-polished fiber)

  • 손경락;김광택;이소영;송재원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2000년도 제11회 정기총회 및 00년 동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98-99
    • /
    • 2000
  • 코어 가까이 측면 연마한 광섬유를 이용하여 광 여파기, 편광기, 감쇠기등의 광통신 소자로 응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1]}$ 이 소자는 광섬유를 절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코어 가까이 측면 연마하여 광학적 기능을 가진 소자를 제작함으로서 공정이 간단하고 삽입손실이 작은 특성을 가지며 기계적 신뢰성이 우수하다. 측면 연마된 광섬유를 이용한 광 증폭의 경우 광섬유의 소산장(evanescent field)과 펌핑광에 의해서 여기되는 활성 물질과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광 이득을 얻는다. 소산장 결합에 의한 평면도파로에서의 광 증폭$^{[2]}$ 과 다중 모드 광섬유에서의 펄스 레이저 증폭, 단일 모드 광섬유에서 632.8nm He-Ne 레이저의 연속광원 증폭$^{[3]}$ 은 이미 보고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측면 연마된 다중 모드 광섬유의 연마된 부위에 색소가 첨가된 용액을 떨어뜨림으로서 발생하는 소산장 결합에 의해서 광섬유내를 진행하는 연속적인 He-Ne 레이저 광을 증폭시키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중략)

  • PDF

측면연마된 단일모드 광섬유와 열광학폴리머 평면도파로 결합기를 이용한 고감도 온도센서 (High sensitive temperature sensor using side-polished single mode fiber to thermo-optic polymer planar waveguide couplers)

  • 김상우;정웅규;장수원;강경목;이종훈;송재원;이승하;김광택;강신원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2000년도 하계학술발표회
    • /
    • pp.12-13
    • /
    • 2000
  • 광섬유형 센서는 전자기 간섭에 강하고 높은 감도와 원거리측정 등의 장점이 있어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온도센서의 경우 다양한 구조의 센서 구현이 용이하고 넓은 온도범위에서의 측정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러한 광섬유형센서는 대부분 온도변화를 물리량의 변화로 감지하기 때문에 작은 온도의 감지에는 구조적인 한계를 가지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1]}$ . 본 논문은 이러한 점을 인지한 측면연마된 광섬유와 평면도파로 결합기형 고감도 온도센서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온도의 감지를 열광학 평면도파로의 열광학계수에 의존하기 때문에 물질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온도감도 조절과 높은 분해능을 가지는 센서의 구현이 가능하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