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rinkage predictor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6초

준모수혼합모형을 이용한 축소소지역추정 (Shrinkage Small Area Estimation Using a Semiparametric Mixed Model)

  • 정석오;추만호;신기일
    • 응용통계연구
    • /
    • 제27권4호
    • /
    • pp.605-617
    • /
    • 2014
  • 소지역추정은 작은 규모의 지역 또는 도메인에 작은 크기의 표본이 배정되어 추정의 정도가 좋지 않은 경우에 이를 극복하는 통계적 기법이다. 소지역추정에 흔히 사용되고 있는 모형기반 추정량은 MSE를 기초로 얻어지나 최근 상대오차를 이용한 소지역추정법도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상대오차를 최소로 하는 소지역 추정량의 준모수적 접근법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즉 준모수혼합모형을 이용한 축소소지역추정량을 새롭게 제안하였다. 또한 Lee(1995)에서 제안된 모의실험 자료를 이용한 모의실험과 매월노동통계 자료를 이용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기존의 추정량과 제안된 추정량의 우수성을 비교하였다.

축소예측을 이용한 소지역 추정 (Shrinkage Prediction for Small Area Estimations)

  • 황희진;신기일
    • 응용통계연구
    • /
    • 제21권1호
    • /
    • pp.109-123
    • /
    • 2008
  • 많은 소지역 추정량이 제안되었으며, 국내외에서 소지역 추정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소지역 추정량의 특성과 우수성을 비교하기위한 비교통계량도 연구되고 있다. 기존의 소지역 추정량은 MSE(Mean square error)를 최소화하여 얻어지며, 이에 따라 추정량의 우수성도 MSE를 기준으로 판단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새롭게 재조명 되고 있는 MSPE(Mean square percentage error)를 최소화하는 추정량을 제안하였다. 신기일 등 (2007)에서 사용된 비교통계량과 MSE 그리고 MSPB를 이용하여 제안된 추정량과 기존의 소지역 추정량을 비교하였다.

주성분회귀와 고유값회귀에 대한 감도분석의 성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perties of sensitivity analysis in principal component regression and latent root regression)

  • 신재경;장덕준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0권2호
    • /
    • pp.321-328
    • /
    • 2009
  • 회귀분석에서 설명변수들 사이에 상관이 높으면 최소제곱추정법에서 구한 회귀계수들의 정도가 떨어진다. 다중공선성이라 불리는 이 현상은 실제 자료분석에서 심각한 문제를 야기시킨다. 이 다중공선성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이 제안되었다. 능형회귀, 축소추정량 그리고 주성분분석에 기초한 주성분회귀와 고유값회귀등이 있다. 지난 수십 년간 많은 통계학자들은 일반적인 중 회귀에서 감도분석에 관해 연구하였으며, 주성분회귀, 고유값회귀와 로지스틱 주성분회귀에 대해서도 같은 주제로 연구하였다. 이 모든 방법에서 주성분분석은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또한, 많은 통계학자들이 주성분분석과 관련된 다변량 방법에서 감도분석에 대해 연구를 하였다. 본 연구논문에서는 주성분회귀와 고유값회귀를 소개하고, 또한 주성분회귀와 고유값회귀에서 감도분석의 방법을 소개하고, 마지막으로 이들두방법에 대한 감도분석의 성질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Association of gingival biotype with the results of scaling and root planing

  • Sin, Yeon-Woo;Chang, Hee-Yung;Yun, Woo-Hyuk;Jeong, Seong-Nyum;Pi, Sung-Hee;You, Hyung-Keun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3권6호
    • /
    • pp.283-290
    • /
    • 2013
  • Purpose: The concept of gingival biotype has been used as a predictor of periodontal therapy outcomes since the 1980s. In the present study, prospective and controlled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compare periodontal pocket depth (PPD) reduction and gingival shrinkage (GSH) after scaling and root planing (SRP) according to gingival biotype. Methods: Twenty-five patients diagnosed with chronic periodontitis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The PPD and GSH of the labial side of the maxillary anterior teeth (from the right canine to the left canine) were evaluated at baseline and 3 months after SRP. Changes in the PPD following SRP were classified into 4 groups according to the gingival thickness and initial PPD. Two more groups representing normal gingival crevices were added in evaluation of the GSH.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independent t-test. Results: In the end, 16 patients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With regard to PPD reduc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ingival biotype (P>0.05). Likewise, sites with a PPD of over 3 mm failed to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SH (P>0.05). However, among the sites with a PPD of under 3 mm, those with the thin gingival biotype showed more GSH (P<0.05). Conclusions: PPD changes after SRP were not affected by gingival biotype with either shallow or deep periodontal pockets. GSH also showed equal outcomes in all the groups without normal gingival crevices. The results of SRP seem not to differ according to gingival bioty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