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rimp flavor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4초

굴과 새우를 이용한 새싹삼 페이스트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rout Ginseng Paste added Dry Oyster and Dry Shrimp)

  • 정희범;성태종;김정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3권8호
    • /
    • pp.206-215
    • /
    • 2017
  • Sprout ginseng paste were prepared with pine nut, dry oyster and dry shrimp to examine the antioxidant properties(total polyphenols, total flavonoids,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and sensory test(attribute difference and acceptance). Sprout ginseng paste were measured based on color value, pH, viscosity, total bacteria cell numbers for 0 and 20 days at $4^{\circ}C$. The higher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 of sprout ginseng paste added with pine nuts, dry oyster, and dry shrimp were higher antioxidant capacit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increased from 52.2% (SGP0) to 79.5.0 % with SGP5. The attribute test results reveal that the color intensity, bitter taste, and oily taste were decreased in SGP3 to SGP6. Taste, flavor, and coarsenes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SGP0 to SGP6. Thickness and After taste were increased in SGP4 to SGP6. The preference test results reveal that the appearance, flavor, and texture level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SGP0 to SGP6. Taste and overall preference were increased in SGP4 to SGP6. L value, pH, decrease while a value and b value show no change in sprout ginseng paste with pine nut, dry oyster and dry shrimp. Total cell number was not detected during storage.

전통 수산발효식품의 향기성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Flavor Compounds in Traditional Salt-Fermented Fishes)

  • 차용준;김진현;심진하;유대웅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59-272
    • /
    • 2020
  • Nowadays, two types, Yumhae and Sikhae methods, remained as traditional seafood fermentation methods in Korea. In this study, flavor compounds in two types of salt-fermented fishes made by Yumhae method such as anchovy Engraulidae sp., shrimp Caridea sp., squid Decapodiformes sp., big eyed herring Clupea sp., gizzard shad Dorosoma sp. and hairtail Trichiurus sp., and made by Sikhae method such as Alaska pollack Gadus Chalcogrammus and squid. Volatile compounds detected in all salt-fermented fishes were composed mainly of aldehydes (45), ketones (39), alcohols (45), acids (12), esters (47), N-containing compounds (43), aromatic hydrocarbons (37), S-containing compounds (26), furans (10), and miscellaneous compounds (40) in salt-fermented fishes made by Yumhae method. Meanwhile, alcohols (47), terpenes (38), S-containing compounds (22), carbonyl compounds (19 aldehydes, 18 ketones), esters (13), and acids (14). Aroma-active compounds were identifi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olfactometry and aroma extract dilution analysis in salt-fermented anchovy, shrimp and tuna (Thunnini sp.) sauce. Ethyl 2-methylbutanoate (candy/sweet) and 2-ethyl-3,5-dimethylpyrazine (nutty/baked potato-like) were predominant odorants in salt-fermented anchovy, whereas dimethyl trisulfide (cooked cabbage/soy sauce-like), 2-ethyl-3,5-dimethylpyrazine, and (E,E)-2,4-heptadienal (fatty/grainy) in salt-fermented shrimp, and dimethyl trisulfide, 3-methylbutanal (dark chocolate-like), and 3-methylthiopropanal (baked potato-like) in tuna sauce.

민꽃게 및 꽃새우 효소가수분해물의 풍미발현성분 (Flavor Constituents in Enzyme Hydrolysates from Shore Swimming Crab and Spotted Shrimp)

  • 오광수;강수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787-795
    • /
    • 2001
  • 인간의 기호에 바람직한 풍미를 지니고 있는 갑각류의 풍미발현성분을 살펴보기 위해 민꽃게와 꽃새우를 시료로 하여 효소가수분해물을 조제하고, 이들의 정미성분 및 자숙취성분을 분석하였다. Body effect로서 맛 및 조직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구성지방산의 조성은 민꽃게와 꽃새우 생시료의 경우 양자가 서로 비슷하여, 모두 16 : 0, 16 : 1n7, 18 : 0, 18 : 1n9, 20 : 5n3및 22 : 6n3 등이 주요 구성지방산이었고, n3계열의 고도불포화지방산의 조성비도 각각 27.75% 및 28.46%로서 서로 비슷하였다. 민꽃게와 꽃새우 효소가 수분해물의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각각 5,226.7 mg% 및 8,757.3 mg% 및 8,757.3 mg%이었고,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양 시료 모두 taurine, asparagine, glutamic acid, glycine, alanine, isoleucine, leucine, phenylalanine, lysine 및 arginine의 함량이 많았고, dipeptide인 anserine도 비교적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대부분의 아미노산이 꽃새우 쪽에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특히 asparagine, lgutamic acid 및 proline 등은 꽃새우 쪽에 2배 이상 함유되어 있었다. 그리고 수산무척추동물 엑스분의 상쾌한 맛의 주성분인 betaine 함량은 각각 850.0 mg% 및 755.9 mg%로 다량 함유되어 있었다. ATP관련물질 중 AMP의 함량이 약간 많았으나, 양시료 모두 정미발현에 큰 영향을 주지는 못할 정도였다. 무기이온성분으로는 양시료 모두 Na, K, P 및 Cl 이온이 양적으로 많았으며, 그외 Ca 이온도 비교적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민꽃게 효소가수분해물의 자숙취 성분은 acid류 6종, alcohol류 10종, aldehyde류 7종, ketone류 11종, ester류 1종, phenol류 5종, benzene류 4종, hydrocarbon류 22종, furan류 1종, 함질소화합물 21종 및 기타 11종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계수적인 측면에서 가장 많은 종류의 화합물은 alkane류를 위주로 한 hydrocarbon류 및 pyrazine류 5종, hydrocarbon류 36종, furan류 1종, 함질소화합물 14종 및 기타 8종이 동정되었다.

  • PDF

새우젓국물 첨가에 따른 알찜의 구조 및 질감에 관한 연구 (Structural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of Egg Custard with Soused Shrimp Juice)

  • 배영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03-307
    • /
    • 1993
  • 알찜의 조리시 사용되는 새우젓국물이 알찜의 구조와 질감 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1.5% 염농도에서 새우젓국물과 소금의 첨가에 의한 구조와 경도를 비교 관찰하였고, 관능검사를 통해 알찜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1. SEM에 의한 구조를 관찰한 결과, 51은 치밀한 조직감이 형성되었고 내면에 기공의 발달이 되지 않았으며 엉긴 듯한 단면을 보인 반면, $S_2$는 작고 불균형한 기공이 무수히 발달하였다. S$S_3$$_3$는 크고 둥그런 기공이 골고루 잘 발달되면서 단면이 매끄럽게 이루어졌고, $S_4$는 찌그러진 형태의 큰 기공이 많이 발달하였다. 2. 경도는 무염첨가군인 $S_1$과 끓인 새우젓국물을 첨가한 시료인 $S_4$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으며, 유의적인 차이는 없으나 새우젓국물 첨가군이 소금 첨가군에 비해 경도가 낮게 나타났다. 3. 관능검사 결과 모앙, 맛, 질감은 각 시료들간에 유의적 인 차이를 나타냈는데, 모양은 기공발달이 없는 $S_1$$S_2$가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고 맛은 새우젓국물 첨가군($S_3$이 가장 좋은 기호도를 보였으며 질감은 기공발달이 잘 안된 $S_1$$S_2$가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향 및 전체적인 수응도는 시료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새우젓국물 첨가군이 가장 높게 기호도를 보임을 관찰할 수 있다. 한편 색, 수분 함유도, 기공의 발달, 단단함, 부서짐, 부드러움 및 냄새와 같은 알찜의 세부특성을 식별검사로 평가한 결과, 수분 함유도, 부드러움 및 냄새는 색, 기공의 발달, 단단함과 서로 상대적으로 알찜의 기호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새우 부산물을 첨가한 데리야끼 소스의 제조 및 품질 평가 (Quality Evaluation of Teriyaki Sauce Processed with Shrimp Remnants and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 조은혜;김경묘;이양봉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84-196
    • /
    • 2011
  • 본 연구는 새우 육을 분리하고 남은 부산물을 주재료로 하여 제조한 데리야끼 소스에서 추출한 향기성분을 이용하여 상품 가치를 극대화하고 특별하고 독특한 맛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을 만족시키기 위한 소스개발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데리야끼 소스 제조방법인 장어뼈를 이용한 데리야끼 소스와 새우 부산물 데리야끼소스의 비교에서 주재료는 동일시하고 간장을 다르게 첨가해 제조한 데리야끼 소스의 품질 평가 비교에서는 국내산 M간장으로 제조한 소스가 일본산 G간장을 이용한 소스보다 단맛과 어취가 다소 강하게 나타났으며 짠맛, 쓴맛은 일본산 G간장을 사용한 소스가 더 강하였지만 소스의 표면 광택과 간장 자체에 대한 향과 전체적인 선호도는 국내산 M간장보다 더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저식염 수산발효식품의 가공에 관한 연구 9. 저식염 새우젓의 제조 및 풍미성분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Low Salt Fermented Sea Foods 9. Processing Conditions of Low Salt Fermented Small Shrimp and Its Flavor Components)

  • 이응호;안창범;오광수;이태헌;차용준;이근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59-468
    • /
    • 1986
  • 저식염수산발효식품의 가공에 관한 일련의 연구로서 식염의 일부를 염화칼륨으로 대체하고, 젖산, 솔비톨, 에틸알콜을 첨가하여 저식염새우젓을 담그어 식염 $20\%$인 재래식 새우젓과 숙성중 지방산조성의 변화, 정미성분 및 냄새성분등을 분석 비교하였다. 재래식 새우젓 $S_1$과 저식염새우젓 $S_2,\;S_3$ 모두 최적숙성기는 60일이었으며 최적숙성기 때의 관능검사결과로 보아 식염 $4\%$, KCl $4\%$, lactic acid $0.5\%$, sorbitol $6\%$ 및 고추가루추출물 $4\%$를 첨가하여 담근 저식염새우젓 $S_3$는 재래식 새우젓 $S_1$에 비해 손색이 없는 좋은 제품이었다. 생균수는 전 제품 모두 최적숙성기인 60일째에 가장 많았다. 숙성중 전 제품 모두 주된 구성지방산은 16:0, 20:5, 22:6, 16:1 및 18:1 등이었으며 숙성증 폴리엔산의 조성비는 약간씩 감소한 반면, 포화산은 다소 증가하였다. 폴리엔산의 감소정도는 저식염새우젓 $S_3$가 가장 적었으며 고추가루 추출물의 항산화성도 확인되었다. 최적숙성기인 60일째의 재래식 새우젓 $S_1$과 저식염새우젓 $S_3$의 정미성분의 주체는 유리아미노산이었고 betaine과 핵산 관련물질이 보조적 역할을 할 것으로 생긱되었다. 그리고 완숙기 때의 주된 유리아미노산은 제품 $S_1,\;S_3$ 모두 glutamic acid, leucine, prolinc, glycine, lysine 및 aspartic acid등이었다. 완숙기 때의 냄새성분중 휘발성지방산은 $S_1$에서는butyric acid가 $64.0\%$로써 특히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acetic acid의 순이었지만 저식염새우젓 $S_3$에서는 butyric acid, propionic acid 및 acetic acid의 순으로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6종이 동정된 휘발성카르보닐화합물중 제품 $S_1,\;S_3$ 모두2-methylpropanal이 약 $60\%$정도로써 특히 많았고 다음으로 S-methylbutanal과 pentanal의 순으로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한편, 휘발성아민은 제품 $S_1,\;S_3$ 모두 trimethylamine이 주체를 이루고 있었다.

  • PDF

새우, 게 및 바다가재의 부산물로 만든 소스의 휘발성 향기 성분 (Volatile Flavor Compounds Identified from the Sauces Made with Waste of Shrimp, Crab and Lobster)

  • 이경임;조지은;안형기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19-128
    • /
    • 2007
  • 식품의 조리과정 중에 부산물로 나오는 갑각류 폐기물을 이용하여 소스를 제조하여 canister system을 이용하여 농축한 후 GC/MSD를 이용해 휘발성 성분을 동정하였다. 그 결과 총 휘발성 성분의 개수는 72종이었으며 그 중 새우를 사용하여 만든 소스의 휘발성 성분이 45개로 가장 많았다. 새우 소스의 휘발성 성분은 10종의 alkane, 4종의 ketone, 3종의 aldehyde 및 7종의 alcohol이었으며 3-methyl-2-butanone, 2-pentanamine, isobutane, 3- methyl-butanal, furan, carbon disulfide, dimethyl sulfide가 주요한 성분이었다. 꽃게 소스에서는 18개의 휘발성 성분이 동정되었고, 4종의 alcohol류, 5종의 alkane류, 3종의 aldehyde류 및 ketone, acid와 amine이 각각 1종 검출되었으며, 2-methoxy ethanol, trimethyloxirane, 3-buten-1-ol이 꽃게 소스에서 주요한 휘발성 성분으로 나타났다. 바다가재 머리부분을 이용한 소스에서 16종의 휘발성 성분이 동정되었으며 alkane류 2종, aldehyde와 alcohol이 각각 1종씩 동정되었고 formic acid, 1-propanethiol, $\beta$-pinene, allyl sulfide가 주요한 향기 성분으로 나타났다. 바다가재 껍질을 이용한 소스에서 휘발성 성분이 18종 검출되었으며, acid류, pentane, 3-methyl 1-butanol 및 2, 4-dimethyl- 3-pentanone이 주요한 휘발성 성분인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Aroma Characteristics of Raw and Cooked Tenebrio molitor Larvae (Mealworms)

  • Seo, Hojun;Kim, Haeng Ran;Cho, In Hee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649-658
    • /
    • 2020
  • This study compared aroma compositions and sensory aroma attributes of raw and cooked Tenebrio molitor larvae (mealworms). Main sensory aroma attributes of raw mealworms were strong wet-soil-like, and less-intense oily, shrimp-like and sweet-corn-like. Quantitatively, the major aroma components of raw mealworms were hydrocarbons and aldehydes. As cooking proceeded, sweet-corn-like, roasted, and fried-oil-like sensory attributes were increasingly perceived with steaming, roasting, and frying, respectively. Some pyrazines, pyrrolidines, and carbonyls increased or appeared in roasted and fried mealworms. Partial least squares regression also showed differences in raw and cooked mealworms based on aroma components and their sensory attributes. Unlike raw mealworms, steamed mealworms had a relatively strong sweet-corn-like aroma attribute, which was related to 2,4,6-trimethyl-heptane, 2,4-dimethyl-dodecane, and 3,5-dihydroxy-6-methyl-2,3-dihydropyran-4-one. In comparison, roasted and fried mealworms exhibited roasted, shrimp-like, and fried-oil-like aroma attributes, which were associated with intermediates of the Maillard reaction and lipid oxidation, such as pyrazines, alcohols, and aldehydes. This result during thermal reactions was very similar to those of meat and/or seafood. The use of mealworms as a savory-type flavor enhancer can be expecte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eef Jerky Cured with Salted-fermented Anchovy and Shrimp

  • Kim, Gap-Don;Go, Gwang-Woong;Lim, Hyun-Jung;Jung, Eun-Young;Seo, Hyun-Woo;Jeong, Jin-Yeon;Joo, Seon-Tea;Yang, Han-Sul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99-105
    • /
    • 2014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vailability of salted and fermented fish (SFF) including salted and fermented anchovy (SFA) and shrimp (SFS) as a marinade of beef jerky. In curing solutions, half (SFA 1 and SFS 1) or whole (SFA 2 and SFS 2) salt-water was replaced with SFF juices. Higher water activity ($a_w$) was found in the beef jerky cured with SFFs than the control (C) (p<0.05). The SFFs had the effect of causing a decrease in hardness and an increase in cohesiveness (p<0.05). Among the treatment samples, springiness was the highest in SFA2 and SFS2 (p<0.05) and the lowest values of Warner-Bratzler shear force were found in SFA1 and SFA2 (p<0.05). The SFFs also had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flavor of the sensory properties; however, color measurements from both the instrumental surface color ($L^*$, $a^*$, $b^*$, chroma, and hue angle) and color of sensory evaluation were decreased by addition of SFFs (p<0.05). Therefore, we conclude the SFFs can improve the texture and sensory properties of the beef jerky. In particular, the SFS is a good ingredient for the curing solution. However, studies are still needed on improving the $a_w$, pH, and surface color of the beef jerky to apply the SFFs for making beef jerky.

새우가공부산물을 이용한 속성 멸치액젓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Accelerated Salt-fermented Anchovy Sauce Added with Shrimp Pandalus borealis, Byproducts)

  • 김진수;김혜숙;양수경;박찬호;오현석;강경태;지승길;허민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87-95
    • /
    • 2006
  • 새우가공부산물의 효율적 이용과 멸치 액젓의 영양성 및 기호성의 강화 목적으로 새우가공부산물 첨가 멸치액젓 (새우가공부산물 무첨가 및 $10\%$ 첨가 멸치액젓의 경우 270일 숙성, $20\%$$30\%$ 첨가 멸치액젓의 경우 180일 숙성)을 제조하여 엑스분 질소, 맛성분, 영양성분 및 관능검사에 대하여 분석 검토하였다. 멸치액젓의 엑스분 질소함량은 새우가 공부산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맛의 주요성분을 살펴보기 위하여 omission test를 실시한 결과, 새우가공부산물의 첨가 유무에 관계없이 맛의 주성분은 유리아미노산이었고, ATP 관련물질 및 유기산 등의 성분은 맛에 보조적으로 관여하리라 판단되었다. 새우가 공부산물 첨가 멸치액젓의 유리아미노산 및 taste value의 결과, 멸치 액젓의 맛은 모두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에 의하여 좌우됨을 알 수 있었고,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proline, valine 및 histidine의 함량과 조성비가 감소하는 경향인 반면에, methionine, isoleucine, leucine, phenylalanine 및 lysine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총 아미노산은 새우가공부산물의 첨가량에 관계없이 $9,840\~10,325$ mg/100 g 범위였으며, 무기질 함량은 새우가공부산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칼슘, 인, 철 및 칼륨 모두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새우가공부산물의 첨가에 기인함이 확인되었다. 또한 새우가공부산물 첨가 멸치액젓의 향, 맛 및 냄새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 쓴맛이 느껴지지 않으면서 새우 특유의 향을 느낄 수 있는 $20\%$ 첨가 제품이 가장 적절하였다. 멸치액젓의 제조시 새우가공부산물을 마쇄한 다음 첨가하여 숙성시키는 경우 맛, 향 및 영양 개선은 물론이고, 수산가공자원의 효율적인 이용 측면에서 의미 있는 결과를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