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ort tooth

검색결과 175건 처리시간 0.026초

韓國産 捕食線蟲(Mononchida: Nematoda)의 4 新種 기재 (Descriptions of Four New Species of Predatory Nematodes (Mononchida) From Korea)

  • 최영연;;이성민
    • 한국토양동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89-100
    • /
    • 1999
  • 捕食線蟲目 (Mononchida)의 4신종을 기재하였다; Iotonchus obtusus sp. n.는 체장이 2.8 mm, a=33, b=4.2, c=61, V=68, 口腔은 61${\times}$45 ${\mu}$m이고, 背部齒는 基部에 있고, 陰門突起가 있으며, 꼬리는 짧고 반원형이며 末端部의 표피는 두꺼운 것이 특징이다. Miconchus valvapapillatum sp. n.는 體長이 2.7-3.6 mm, a=29-36, b=4.1-4.5, c=18.4-21, V=65-69, 口腔은 53-61${\times}$29-33 ${\mu}$m, 交接刺는 132-137 ${\mu}$m, 復中央補助突起는 28-31개이며, 陰門 前後方에 5-8개의 연속적인 돌기를 가지며, 3쌍의 陰門腺이 있다. Clarkus koreanus sp. n.는 體長이 1.1-1.3 mm, a=27.5-28.8, b=3.5-3.9, c=12-14.5, V=60-64, 口腔은 24-28${\times}$13.5-15 ${\mu}$m이고, 口脣部는 잘 區劃졌고, 雙器는 背部齒에 대해서 후방에 있으며, 陰脣을 가진다. Coomansus ulsani sp. n.는 體長이 1.2-1.5 mm이고, a=23.5-26, b=3.4-3.8, c=13.6-14.8, V=65-68, 口腔은 36-39${\times}$21-23 ${\mu}$m이고, 口脣部는 잘 區劃졌고 口腔壁은 1줄의 가는 세로 隆起部가 있다.

  • PDF

과도한 치아 마모와 과개교합을 보이는 환자에서 최소한의 수직 고경 증가를 동반한 전악 구강 회복 증례 (Full-mouth rehabilitation with increasing minimum vertical dimension in the patient with severely worn dentition and deep bite)

  • 이강신;박주미;안승근;서재민;한창희;이정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4호
    • /
    • pp.431-441
    • /
    • 2021
  • 심하게 마모된 치아를 가진 환자에서 수직교합고경 거상을 동반한 전악 보철수복이 계획 될 수 있다. 하지만 치아가 심하게 마모되더라도 치조돌기가 보상 성장하여 환자의 수직 고경은 변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런 경우 수복 공간 확보를 위해서 수직고경을 변화시켜야 한다면 심미적이고 기능적인 목표를 만족하는 최소한의 수직교합고경 거상을 선택해야 한다. 본 증례에서 환자는 전반적인 치아 마모로 저작 시 어려움을 호소하였고, 마모가 심한 하악 전치부의 심미적 개선을 원하였다. 수직고경 감소의 평가 및 적절한 수직고경 결정을 위해 안모계측, 임상적 치관 길이 평가, 교합안정공극 측정, 측방 두부계측방사선사진 분석 등을 시행하였고, 체계적인 진단과 평가를 거쳐 보철 수복 공간 확보를 위해 최소한의 수직고경 거상을 동반한 전악 구강회복술을 시행하였다. 중심위에서 안정적인 교합 접촉 및 조화로운 전방, 측방 유도 부여를 통해 환자의 기능적, 심미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하악 구치 단일임플란트 수복에서 임플란트 길이에 따른 치관-임플란트 비율이 임플란트안정성 및 변연골소실에 주는 영향 (Influence of crown-to-implant ratio of short vs long implants on implant stability and marginal bone loss in the mandibular single molar implant)

  • 백연화;김봉주;김명주;권호범;임영준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4권4호
    • /
    • pp.280-289
    • /
    • 2018
  •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임플란트의 길이 및 치관-임플란트 비율(crown-to-implant (C/I) ratio)이 임플란트의 안정성과 임플란트 변연골 소실량(MBL)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연구대상자로 하악 구치부에 단일치를 상실한 46명의 환자를 선별하였다. 대조군에는 총 19개의 직경 5.0 mm, 길이 10 mm의 임플란트(CMI IS-III $active^{(R)}$ long implant)를 식립하였고, 실험군에는 직경 5.5 mm, 길이 6.6, 7.3, 8.5 mm의 임플란트 총 27개(CMI IS-III $active^{(R)}$ short implant)를 식립하였다. 각각의 임플란트는 디지털 방식으로 술 전 제작한 수술가이드를 사용하여 식립하였고 임시보철물을 장착하여 즉시부하를 시행하였다. 술 후 3개월에 CAD-CAM 방식으로 제작한 지르코니아 크라운으로 최종 수복하였다. 술 후 48주에 ISQ 값과 변연골 소실량을 측정하여 치관-임플란트 비율과 ISQ 및 변연골 소실량 간의 상관관계를 비교하였다. 결과: 두 그룹 모두 안정도 및 변연골 소실량 면에서 성공적인 결과를 나타내었다. 술 후 48주에 측정한 두 그룹간 ISQ와 변연골 소실량 값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P > 0.05). 치관-임플란트 비율과 안정성 및 치관-임플란트 비율과 변연골 소실량 간에 어떤 상관관계도 관찰되지 않았다(P > 0.05). 결론: 두 그룹의 하악 단일 임플란트에서 치관-임플란트 비율은 안정성 및 변연골 소실량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골높이가 부족한 하악에서 단일 임플란트 수복 시, 짧은 임플란트는 상대적으로 높은 치관-임플란트 비율에도 불구하고 제한된 조건 하에서 적절한 대안이 될 수 있다.

묵납자루, Acheilognathus signifer의 소화기관과 먹이생물 (Digestive Apparatus and Food of the Korean Bitterling, Acheilognathus signifer (Cyprinidae))

  • 백현민;송호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7-63
    • /
    • 2005
  • 묵납자루에서 첫 번째 새궁 (gill arch)의 새파 수는 17-21개 (평균 19개) 정도로 적은 편이었으며, 새파의 길이는 280~430 (평균 $360{\pm}35)mm$이었다. 새파 간의 간격은 130~210 (평균 $160{\pm}15)mm$이었다. 인두치의 저작면은 안쪽이 파여 있는 형태로 제1치는 저작면의 발달이 매우 미약하나 제2, 3, 4, 5치의 저작면은 발달되어 있었다. 인두치와 새파는 생활사의 초기에 완전히 형성되었다. 소화관의 길이는 체장의 $3.63{\pm}0.12$배로 매우 길었으며, 식도에서 연결되어 항문쪽으로 길게 배열되다가 한번 접히고 시계방향으로 5회 정도 감긴 후 항문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묵납자루는 주로 식물성플랑크톤의 일종인 부착조류를 주로 섭식하였으며 그 중 규조류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그 이외에 원생동물, 깔따구 유충, 식물의 씨앗, 육상곤충 등도 소화관 내용물에서 관찰되어 초식성이 강한 잡식성으로 볼 수 있었다.

Short-term improvement of masticatory function after implant restoration

  • Kang, Si-Mook;Lee, Sang-Soo;Kwon, Ho-Keun;Kim, Baek-Il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5권6호
    • /
    • pp.205-209
    • /
    • 2015
  • Purpose: Dental implants present several advantages over other tooth replacement options.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masticatory function in relation to implant treatment. Therefor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improvement of masticatory function two weeks after implant restoration. Methods: Masticatory ability was evaluated with the subjective food intake ability (FIA) and objective mixing ability index (MAI) methods. Fifty-four subjects with first and second missing molars completed the study. The subjects were asked to complete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about 30 different food items, and to chew wax samples 10 times both before and two weeks after implant restoration. A total of 108 waxes were analyzed with an image analysis program. Results: Dental implant restoration for lost molar teeth on one side increased the FIA score by 9.0% (P<0.0001). The MAI score also increased, by 14.3% after implant restoration (P<0.0001). Comparison between the good and poor mastication groups, which were subdivided based on the median MAI score before implant restoration, showed that the FIA score of the poor group was enhanced 1.1-fold while its MAI score was enhanced 2.0-fold two weeks after an implant surgery. Conclusions: Using the FIA and MAI assessment methods, this study showed that masticatory function was improved two weeks after implant restoration. In particular, the enhancement of masticatory function by implant restoration was greater in patients with relatively poor initial mastication than in those with good initial mastication.

Russell-Silver Syndrome 환아의 치과적 관리: 증례 보고 (DENTAL MANAGEMENT OF THE RUSSELL-SILVER SYNDROME: CASE REPORT)

  • 김준혁;손흥규;김승혜;최형준;이제호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99-104
    • /
    • 2010
  • 1. 러셀-실버 증후군 환아는 특징적인 소구증 및 유아기의 섭식 장애를 보이므로, 출생 후 필요시설소대 절제술을 고려해야 하며 특별히 고안된 구강위생 용품이 구강위생 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다. 2. 러셀-실버 증후군 환아의 우식 치료 시 개구량이 확보되지 않으므로 근육 이완을 위해 전신마취를 고려해야 하며, 소형의 핸드피스 및 버와 같은 기구들을 사용하여 접근하는 것이 치료를 수월케 하며 환아의 불편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 PDF

마취된 흰 쥐 시상의 복후내측핵내 유해성 뉴론의 특성 (RESPONSE CHARACTERISTICS OF VENTRAL POSTEROMEDIAL THALAMIC NOCICEPTIVE NEURONS IN THE ANESTHETIZED RAT)

  • 이형일;박수정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7권6호
    • /
    • pp.587-599
    • /
    • 2002
  • Extracellular single unit recordings were made from the ventral posteromedial thalamic (VPM) nociceptive neurons to determine mechanoreceptive field (RF) and response properties. A total of 44 VPM thalamic nociceptive neurons were isolated from rats anesthetized with urethane-chloralose. Based on responses to various mechanical stimuli including touch, pressure and pinch applied to the RF, 32 of 44 neurons were classified as nociceptive specific (NS) neuron. The other 12 neurons, classified as wide dynamic range (WDR), showed a graded response to increasingly intense stimuli, with a maximum discharge to noxious pinch. The VPM nociceptive neurons showed various spontaneous activity ranged from 0-6 Hz. They were located throughout the VPM, and had an contralateral RF including mainly intraoral (and perioral) regions. The RF size was relatively small, and very few neurons had a receptive field involving 3 trigeminal divisions. The NS neurons activated only by pressure and pinch stimuli had high mechanical thresholds compared to WDR neurons activated also by touch stimuli. The VPM nociceptive neurons were tested with suprathershold graded mechanical stimuli. Most of 21 NS and 8 WDR neurons showed a progressive increase in number of spikes as mechanical stimulus intensity was increased. In some neurons, the responses reached a peak before the highest intensity was given. Application of 5 mM $CoCl_2{\;}(10{\;}{\mu}\ell)$ solution to the trigeminal subnucleus caudalis did not produce any significant changes in the spontaneous activity, RF size, mechanical threshold, and response to suprathreshold mechanical stimuli of 9 VPM nociceptive neurons tested. 17 of 33 VPM nociceptive neurons responded to noxious heat as well as noxious mechanical stimuli applied to their RF. Application of the mustard oil, a small-fiber excitant and inflammatory irritant, to the right maxillary first molar tooth pulp induced an immediate but short-lasting neuronal discharges upto approximately 4 min in 16 of 42 VPM nociceptive neur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VPM thalamic nucleus may contribute to the sensory discriminative aspect of orofacial nociception.

한국 해산 히드라해파리 3미기록종(자포동물문: 히드라충강) (Three New Records of Marine Hydromedusae (Cnidaria: Hydrozoa) in Korea)

  • 박정희;원정혜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0권2호
    • /
    • pp.179-184
    • /
    • 2004
  • 동해, 여수 및 영광에서 2001년 11월과 2002년 12월에 채집된 히드라해파리를 동정$\cdot$분류한 결과 노란무늬지상해파리 (Proboscidactyla flavicirrata) 보야 누스두겹관해파리 (Diphyes bojani) 및 바르그만머그관해파리 (Muggiaea bargmannae)가 한국미기록종으로 밝혀져 재기재하고 보고한다. 본 연구의 결과 지금까지 밝혀진 한국 해산 히드라해파리는 5목 15과 18종이 된다.

지르코니아 강화 리튬 실리케이트 세라믹의 특성과 임상적용 (Material properties and clinical application of zirconia-reinforced lithium silicate ceramics)

  • 김종은;김지환;심준성;박영범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6권3호
    • /
    • pp.159-166
    • /
    • 2018
  • 지르코니아 강화 리튬 실리케이트 세라믹 재료는,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e.max(리튬디실리케이트 세라믹) 재료에 비하여 더 개선된 강도를 지니고 있다. 단일 크라운의 수복에 사용될 수 있으며, 1.5mm 의 두께를 확보하는 것이 예지성 있는 치료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Celtra Duo의 경우 열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강도나 마모 저항성 측면에서 도움이 될 것이다. 접착을 위해서는 불산의 처리가 도움이 되며, 너무 짧은 시간의 불산은 접착 강도의 개선에 도움을 주지 못할 수 있으므로 충분한 시간의 불산 처리가 필요하다. 지르코니아 강화 리튬 실리케이트 세라믹 재료는 실험실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출판되고 있지만, 아직 신뢰할만한 임상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추가적인 임상연구를 통해 과학적인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부분이 될 것이다.

  • PDF

일부 농촌노인의 식품안정성과 사회경제학적 특성, 식생활, 건강상태, 영양소 섭취와의 관련성 (The Associations of Household food Insecurity with Socioeconomic Status, Food Behaviors, Health Status and Nutrient Intake in the Elderly in Rural Areas)

  • 최정숙;지선미;박영희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9-32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usehold food insecurity and the associations of food insecurity with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food behaviors, health status and nutrient intake among elderly people in a rural area. This study included 191 elderly people (mean age = $72.0{\pm}7.4$) in Jeollabuk-do, Jangsu-gun. House food insecurity was measured using an adapted version of the USDA short form household food insecurity scale, and nutrient intake measured by a 24-hour dietary recall. Only 15.2% of the subjects were in food-insecure households, 84.8% of the elderly households were food-secure. The food-insecure household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number of family, frequency of shopping, and perceived health status than the food-secure households. In addition, they had serious tooth problems and NSI (Nutrition Screening Index) scores. Food-insecure household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most areas of nutrient intake (energy, protein, fat, Ca, P, Fe, K, Na, Zn, Vit. $B_2$, niacin, Vit. E), and also lower in nutrient intake compared to dietary reference intake (energy, protein, P, Fe, K, Na, Vit. $B_1$, Vit. $B_2$, niacin, Vit. 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household food insecurity measures used in this study were an important indicator of nutritional well-being among elderly persons in the rural area. Food insecurity should be considered an important issue to public health and food service programs should be expanded for food-insecure households in rural area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