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oreline change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23초

우리나라 동해안 해안선의 장기적 변화 2 -남부 동해안 (Long-term Changes of Shoreline at the East Coast in South Korea 2 - South East Coast)

  • 김대식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7-39
    • /
    • 2013
  • 본 논문은 남부 동해안의 5개 지역을 대상으로 최근 약 30년 동안 해안선의 장기적인 변화 경향을 파악하고, 중부 및 남부 동해안 연구를 종합하여, 동해안 해안선의 장기적인 변화 경향과 그 요인을 분석하였다. DSAS를 이용하여 해안선 변화량을 계산한 결과, 망양정 지역은 평균 28.9m, 조사 지역은 평균 6.4m 해안선이 후퇴하였고, 고래불 지역은 평균 25.0m, 대진 지역은 평균 10.6m, 봉길 지역은 평균 18.8m 해안선이 전진하였다. 동해안의 해안선 변화 경향을 종합하면, 1) 모든 지역 내에서 해안선은 전진과 후퇴 구역이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2) 최근에 건설되거나 증축된 방파제와 접한 남쪽 구역에서는 해안선이 전진하였는데, 이는 북류하는 연안류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3) 해수욕장으로 이용되는 구역에서는 상대적으로 큰 해안선 후퇴 경향을 보인다. 4) 하천의 하구에서는 하천 상류 지역에서의 퇴적물 공급량 변화에 따라 해안선의 전진 및 후퇴가 다양하게 나타난다.

항공사진을 이용한 방포항 인근 해빈의 장기간 해안선 변화 분석 (Analysis on the Long-Term Shoreline Changes for Beaches Near Bangpo Port Using Aerial Imagery)

  • 김백운;윤공현;이창경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477-486
    • /
    • 2013
  • 장기간 해안선 변화 자료의 구축을 통해 해안선의 시 공간적인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 이에 근거하여 해안침식의 향후 경향을 파악하는 일은 연안관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항공사진을 이용하여 방포항 인근 해안지역의 장기간(1985년 ~ 2009년) 해안선 변화 탐지를 위해 항공삼각측량, 지상기준점측량, 수치도화, 그리고 해안선 변화율을 산정하였다. 그 결과 방포해빈과 꽃지해빈의 해안선은 각각 0.2 m/yr와 최대 0.8 m/yr로 침식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등고선 변화 통하여 꽃지 해빈의 북부지역에서 침식현상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표고 1 m 간격의 등고선은 최대 45 m 후퇴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변화는 다양하고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주된 요인은 1990년대 말에 설치된 해변 옹벽이 해안침식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으로서 추정되고 있다.

한국 영일만 송도 해수욕장의 해안선변화 및 표사이동율에 관한 수직 시뮬레이션 (A Numerical Simulation of the Shoreline Change and Sediment Transport with Shore Structures at Songdo Beach Youngil Bay, Korea)

  • 이중우
    • 한국항해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77-106
    • /
    • 1989
  • Two numerical models of the shoreline change and sediment transport rates, explicit and implicit, are simulated with shore structures such as breakwaters, a jetty, groins and a seawall. The applied study area is songdo Beach, Youngil bay, Korea since it has all the shore structures mentinoed above. The two models investigate the beach line changes and sedimen transport rates for the beach before design of three groins with and without an offshore breakwater. In order to estimate the shoreline changes after three groins were built, the beach response inside the three groin compartiments and the offshore barrier are also investigated. The simulation based on the initial shoreline conditions surveyed by the Hydrographic office, Koreai 1979 and 1984. The breaking wave characteristics are introduced into the models by calculation from the empirical equations and modification from the numerical and hydraulic model test results developed for waves behind an offshore breakwater. The numerical simulation describes well the tendencies of the sand transport and shoreline changes affected by wave diffraction behind a detached breakwater and by interruption of sand transport at three groins.

  • PDF

항공사진측량에 의한 해안선 변화 조사 (Investigation of Shoreline Change by Photogrammetric Method)

  • 이창경;김백운;김남용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5권2호통권40호
    • /
    • pp.15-23
    • /
    • 2007
  • 본 논문은 해안매립 이전과 이후에 촬영한 한 쌍의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매립지에 대한 해안선 변화 분석을 제시한다. 해석도화기와 수치도화기의 두 가지 방법으로 조위, 즉 약최고고조면으로 정의된 해안선을 도화하였다. 과거의 해안선을 수치지적도에 중첩하여 포락지와 해안빈지의 면적을 계산하였고, 과거와 현재의 해안선 사이의 면적을 측정함으로써 해안선 변화량을 추정하였다. 면적에 근거한 해안선 변화 비교 결과, 두 사진측량 방법은 대체로 일치함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수치사진측량에 있어서 복잡한 지형을 보이는 하구지역의 해안선 도화는 1200dpi보다 높은 해상력의 수치영상이 요구된다.

  • PDF

잠제설치에 따른 만성리해빈에서 해안선의 장기변화 예측 (Predicting Long-Term Shoreline Change Due to the Construction of Submerged Breakwaters in Manseongri Beach)

  • 박일흠;강성욱;강태순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27-535
    • /
    • 2016
  • 만성리 해안은 중조차 해빈으로 조립한 해저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외해에 대해 남동쪽으로 열려있어 조석 조류보다 파랑에 의한 해빈변형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파랑은 춘계와 하계에 강하여 유의파고가 2~3m에 달하는 폭풍파가 자주 출현하였으나 추계와 동계는 고파랑이 출현하지 않는 정온한 해상상태를 보였다. 관측된 해안선변화의 계절적 특징은 입사파와 깊은 관계를 나타내었다. 춘계와 하계의 고파랑시에 해안선이 침식하였고 추계과 동계의 정온시에 침식을 회복하였다. 이런 현장자료를 바탕으로 실측해안선자료를 사용하여 해안선변화의 검증수치실험을 수행하였는데, 검증매개변수 $C_1=0.2$$C_2=1C_1$일 때 사후예측된 해안선은 실측해안선과의 RMS 오차가 1.26 m 정도로 만족스러웠다. 이 값을 사용하여 잠제와 도류제 등이 완공된 10년 후 만성리 해빈의 해안선을 예측한 결과, 잠제배후역에서 5~15 m 정도 해안선이 전진하며, 잠제배후역 북측에서 5~15 m 정도 해안선이 후퇴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거제 고현만 주변해역의 지형 및 해안선 변화 특성 (Coastal Topography and Shoreline Change in Gohyun Bay, Geojedo)

  • 김종규;김명원;이문옥;이연규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지
    • /
    • pp.137-142
    • /
    • 2004
  • There has been considerable controversy over the change of coastal topography and shoreline by coastal erosion in Gohyun Bay, Geojedo. In this study, we analyzed aerial photographs and surveyed coastal topography and shoreline. Changes between years were identified using a GIS overlay analysis and field surveys with DGPS, Total Station and Echo Sounder. As a result, we were able to identify changes by coastal erosion in the area of Gohyun Bay, Geojedo.

  • PDF

해안선 변형 예측에 대한 수치모델 연구 (A Study on the Numerical Model for Predicting Shoreline Changes)

  • 박정철;한건모;김재중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56-161
    • /
    • 1993
  • Structures built in the coastal area often cause unexpectedly severe shoreline change on the adjacent beaches. Therefore, beach evolu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blem in the coastal engineering. Beach evolution in the coastal area consisted of wave transform model and sediment transport model. Ebersoale's elliptic mild slope equation which considered the effect of combind wave refraction and perline and Dean's one line theory for the sediment transport model were used in this study. Kwangan beach was selected as study area and field observations were done. Numerical simulation for beach evolution in the Kwangan beach was performed and shoreline change predictions were suggested as results.

  • PDF

동해 파랑관측 자료를 활용한 포물선형 평형해안선 식의 타당성 조사 (Performance Test of Parabolic Type Equilibrium Shoreline Formula Using Wave Data Observed in East Sea)

  • 임창빈;이정렬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23-130
    • /
    • 2018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validity of an equilibrium shoreline empirical formula for real phenomena. Among three types of equilibrium shoreline formulas, Hsu's parabolic type static formula was employed, which is well-known and the most practical for shoreline estimation after coastal or harbor structure construction. The wave data observed at Maengbang beach and the CERC formula on longshore sediment transport were used in the present investigation. A comparison study was only conducted for the case of a shoreline change after the construction of a groyne. Reasonable agreement was seen between the observed wave data and the data obtained under a wave angle spreading function S = 3.5. However,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when S increased. Thus, careful application is required when using Hsu's formula.

부산 송도해수욕장의 해안선변화 특성 분석 (Characteristic Analysys of Songdo Beach, Busan, Shoreline Changes)

  • 김명규;윤종성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3-59
    • /
    • 2010
  • In this study, an investigation of the shoreline changes at Song-do beach in Busan was carried out for a coastal improvement project to prevent damage from coastal disasters. From the results of the observed data, it is seen that the shoreline moves seaward under extreme wave conditions and moves leeward under normal wave conditions. The reason for this is wave run-up when wave conditions are extreme in summer. In addition, nourishment sand is moved seaward by wave run-up. Thus, the shoreline's slope is gently decreased. Therefore, the shoreline is moved seaward.

중국 요하 하류부 고대 요택의 공간 분포와 Holocene 중기 이후 해안선 변화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Ancient Liaoze in the Lower Reach of Liao River and Shoreline Change Since the Middle Holocene in China)

  • 윤순옥;김효선;지아지엔칭;복기대;황상일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1-62
    • /
    • 2017
  • Liao River with the largest basin area in the northeastern part of China has constructed huge floodplain along the lower reach. Especially a vast marsh was developed around estuaries and coastline near Liaodong Bay. The marsh was called as Yotaek(or Liaoze) before the modern time, which is meaningful for understanding human life since prehistorian times. By the analysis of historical documents and geomorphic data, it can be assumed that the height of Yotaek of landward boundary reached 20~30m from Heishan to Liaoyang during Han dynasty. The shoreline of 7,000 yr BP is estimated to coincide with the contour line between 20m and 30m at present. And the ancient shoreline during Christ era indicates 10m.a.s.l., which is corresponding to the seaside boundary of the Yotaek. The shoreline of Liaodong Bay was progressed seaward 30km/ka during 1000~1100 AD, while 10~40km/ka during late 19 century ~ early 20 centu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