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ell fish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31초

다양한 원료의 사료첨가제가 전복의 성장, 체조성 및 패각 색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Various Sources of Dietary Additives on Growth, Body Composition and Shell Color of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 조성환;박정은;김충일;유진형;이상민;최철영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75-280
    • /
    • 2006
  • 카제인과 덱스트린 및 대두유와 어유의 혼합유를 주요 단백질과 탄수화물 및 지질원으로 구성한 전복용 배합사료에 다양한 microalgae (Haeatococccus, Isochrysis galbana, Shizochytrium)와 갑각류성 기원의 첨가제(krill meal, shrimp head meal, red crab meal) 및 녹차부산물을 각각 2% 첨가한 실험사료를 준비하여 16주간 전복에게 공급하여 주었다. 그리고 다시마를 공급한 실험구를 대조구로 두었다. 실험 종료시 전복의 생존율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사료 첨가제를 첨가한 모든 실험사료에서 전복의 체중증가량은 다시마를 공급한 실험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우수하였다. 전복의 체중 증가량은 Spirulina, Shizochytrium 및 Isochrysis의 순으로 우수하였다. 전복의 체장 및 체중에 대한 가식부의 중량 비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체폭은 다시마를 공급한 실험구에 비하여 첨가제를 첨가한 모든 실험구에서 유의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복 패각의 색채 개선효과는 Spirulina 첨가구에서 가장 뚜렷하였다. 실험사료내 다양한 microalge와 갑각류성 기원의 사료첨가제는 전복의 성장을 효율적으로 개선시켰으며, 사료내 Spirulina의 첨가는 전복 패각 색채 개선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한국 연안 이매패류에 잔류하는 PBDEs 및 OCs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olybrominated Diphenyl Ethers and Organochlorine Compounds Residues Persistent in Korean Coastal Bivalves)

  • 민병윤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18-127
    • /
    • 2010
  • Bivalve samples from 30 locations Korean coastal waters were analyzed to characterize the contamination with and distribution of polybrominated diphenyl ethers (PBDEs), polychlorinated biphenyls (PCBs) and organochlorine pesticides (OCPs). The congeners of PBDE in 30 bivalve samples were analyzed by high resolution gas chromatography with a high resolution mass detector. The levels of PBDEs in bivalve samples ranged from 0.092 to 13.5 ng/g wet weight. These values for PBDEs concentrations in bivalves from Korea were higher than or comparable to available values for bivalves from other countries. In the congener profiles, BDE-47 (mean contribution=42.2%) was predominant, followed by BDE-99 (23.1%), BDE-100 (11.9%) and BDE-154 (3.5%). Among the OCs analyzed, $\Sigma$PCBs and $\Sigma$DDTs levels were highest, followed by $\Sigma$HCHs, $\Sigma$CHLs and HCB. The wet weight based $\Sigma$PCBs and $\Sigma$DDTs ranged from 0.28 ng/g to 19.4 ng/g, and from 0.19 ng/g to 4.86 ng/g, respectively. The $\Sigma$PCBs and $\Sigma$DDT slevels in bivalves along the entire Korean coast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USA, and below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USA. FDA) limits for fish and shell fish. However, the human health criteria and wild life criteria of the USA.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A. EPA) were exceeded for DDE and $\Sigma$HCHs at most of the sampling points.

Clostridium botulinum의 분포 및 수종 식품에서의 botulinum toxin 생성능 비교연구 (Incidence of Clostridium botulinum in Natural Reservoirs and Toxin Production in some foodservice)

  • 권내영;박명호;민봉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55-61
    • /
    • 1993
  • 토양을 비롯하여 어류, 패류, 조류, 포유류의 소화기관으로부터 Clostridium botulinum 분리를 시도하였다. 총 158개 분리원을 screening한 결과 10개 시료로부터 Clostridium botulinum 분포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6개 시료로부터 Clostridium botulinum을 순수 분리하여 3.8% 분리율을 나타내었다. 분리 균주의 형태적 특징, 배양상의 특성 및 생화학적 특성 등을 표준 균주의 특성과 비교하고 항혈청에 의한 중화시험을 실시하여 분리균주를 동정하였다. Egg york agar에서의 opalescence 생성, 탄수화물 이용성, Egg york GAM 배지상에서의 pearly layer 생성 등으로부터 Clostridium botulinum으로 동정할 수 있었으며 trypsin에 의한 toxicity 활성화, type E 항혈청에 의한 opalescence 생성억제 및 mouse 방어효과가 인정되어 type E 로 동정하였다.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수 종의 식품을 대상으로 Clostridium botulinum 의 toxin 생성능을 비교하였던 바 식품의 종류, 사용균주에 따라 toxin 생성량에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분리균주 type E 의 경우 어패류통조림, ham 식품에서 많은 양의 toxin 이 생성되었으며 sausage, 과일통조림 식품에서는 비교적 적었다. 그러나 type A 의 경우에는 어패류, ham , sausage 식품에서 상당량의 toxin 이 생성되었으며 과일통조림에서도 비교적 맣은 양의 toxin이 생성되었다 .

  • PDF

Glochidium larva의 부착으로 인한 숙주어류의 피양형성과정에 관한 주사전자현미경적 연구 (2)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tudy of the Glochidial Encystment on the Host Fish (2))

  • Jeong, Kye-Heon;Oh, Young-Sook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76-86
    • /
    • 1991
  •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tuey on the glochidial encystment study on the golchidal encystment and excystment of Anodonta fukudai on Acheilognathus yamatsutae, a common natural hostfish, was conducted. The glochidium easily attached to the unscaled surfaces of the host fish such as the fins, lips, and the wall of the buccal cavity. For this study, the fins infected with the glochidia wer mainly observed in a series. The process of encystment was slowly progressed, for 21-25 hours for the early cyst and for 2-4 days for the thick walled cyst. The process of excystmint was visually detected on the 12th day since the attachmint was occurred. The first visible sign was a little tear of the cyst wall covering the hinge and marginal zones of the juvenile clam and once the little sign was appeared the progress of emerging and dettachmint of the juvenile clam from the host was finished relatively in short time. During the process of the encystmint, the cells participationg in covering the attached glochidirm were seened mainly supplied by migration from the surroundings. the shapes of the cells migrating and covering the glochidium were considerably changed and the surface structures of the cells lost their normal pattern of the surface ridges. The unstable forms of the cells were observed almost all throughout the period of the glochidial attachment. No cells of the host epithelium, which were still attached to the juvenile clam energing from the cyst, were observed. The most juvenile clams escaped from the cysts were a little bigger than the glochidia and they were still possessed of the golchidial hooks even though much degenerated. The first growth line was appeared on the shell valves of the juvenild clam when observed right after dettachment.

  • PDF

수온과 염분농도가 Vibrio vulnificus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emparature and salinity on the multiplication of Vibrio vulnificus)

  • 김명석;정현도;김대희;김광석;조지영;전려진;김재훈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5-43
    • /
    • 2006
  • V. vulnificus 오염으로부터 패류의 안전성을 조사하기 위해 굴을 V. vulnificus에 인위감염시키고 4℃와 25℃에서 패각 유무에 따른 V. vulnificus 균수 변화를 조사하였다. V. vulnificus가 있는 인공해수에 침지시킨 굴에서 분리된 V. vulnificus 균수는 인공해수 속의 균수보다 많았다. 굴을 4℃에 보관하는 경우는 실험기간 동안 V. vulnificus 균수의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지만 25℃에 보관하는 경우는 빠른 균수의 증가가 관찰되어 보관온도가 균수 변화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여러 염분농도, 5, 15 및 35 ‰의 인공해수에서 V. vulnificus 균수는 25℃와 4℃에서 모두 감소하였다. 그러나 4℃에서 균수의 감소율은 25℃에서 보다 빨랐고 4℃에서 염분도 V. vulnificus 균수 감소율에 영향을 주어 35 ‰의 인공해수에서 가장 높은 감소율을 보였다.

초음파를 이용한 해저면 판독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abed Interpretation System Using Supersonic Waves)

  • 김재갑;김원중;황두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385-391
    • /
    • 2001
  • 본 연구는 해저면의 뻘, 모래, 자갈, 패류 등을 초음파를 이용하여 형태별로 신호패턴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 후, 바다 현장에서 어군탐지기에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A/D변환기를 사용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이 신호를 컴퓨터에서 가공, 분석한 후 DB에 있는 신호패턴과 실시간으로 비교하여 해저면 목표물을 인식할 수 있는 판독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연구한 결과를 바탕으로 많은 실험을 거친 후(수조 및 현장 실험 등) 침전물의 데이터를 세밀히 샘플링하여 분석하면 해저면의 저질 상태 및 침전물들의 정확한 정보를 알아낼 수 있다. 또한, 수중에서 어종별로 어체에서 반사되는 초음파 특성과, 해저면에서 뻘과 딱딱한 패류 껍질, 모래, 자갈 등에서 반사되는 초음파 특성 등을 1차 신호와 2차, 3차 신호들에 대한 성분을 분석하여, 해저 목표물을 나타내는 1차 신호의 필요한 값은 추출하고, 그 외의 2차, 3차 신호는 필터링 시키는 해저면 판독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 PDF

피조개, Scaphara broughtonii 부착치패의 중간양성시 보호망 형태와 유실방지망 종류에 따른 성장과 생존 (Growth and Survival of the Spat of Arkshell, Scapharca broughtonii in Intermediate Culture with Different Shape of Protective Net and Type of Preventive Net of Spat Loss)

  • 김병학;신윤경;박기열;최낙중;오봉세;민병희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31-136
    • /
    • 2008
  • 피조개 부착치패의 중간양성시 생존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보호망의 형태 및 유실 방지망의 종류에 따른 부착치패의 성장 및 생존을 조사하였다. 보호망의 형태별로 60일간 중간양성한 부착치패의 성장은 노출형이 평균 각장 $12.8{\pm}3.2$ mm로 가장 빨랐으며(P<0.05), 통발형이 $12.2{\pm}3.5$ mm, 원통형이 $11.9{\pm}3.8$ mm, 직사각형이 $10.9{\pm}3.7$ mm순으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생존율은 통발형이 43.7%, 원통형이 41.2%, 직사각형이 31.6%로 보호망의 형태에 따라 통발형 및 원통형이 직사각형보다 높았으며, 노출형이 5.4%로 매우 낮았다(P<0.05). 유실 방지망 종류별로 163일간 중간양성한 부착치패의 성장은 차광막이 평균 각장 $13.9{\pm}3.1$ mm로 가장 빨랐고(P<0.05), 여자망이 $12.9{\pm}3.0$ mm, PE망이 $11.8{\pm}3.1$ mm 및 대조구가 $12.6{\pm}3.3$ mm 순으로 나타났으며, 생존율은 차광막이 91.5%, PB망이 90.1%, 여자망이 88.5%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유실 방지망을 설치하지 않은 대조구에서는 61.5%로 설치한 시험구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피조개 부착치패의 중간양성시 보호망은 통발형 및 원통형을 사용하면 채묘망과 보호망 간의 공간이 확보되어 마찰에 의한 탈락을 방지하고, 해수의 소통이 원활하여 높은 생존율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보호망목의 크기는 2 mm 내외를 사용하여 해수의 유통이 비교적 원활히 되도록 하였으며, 일시적으로 탈락하는 개체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착치패 채묘망과 직각으로 설치한 결과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유실 방지망 종류별 중간양성시험 결과는 시험기간이 겨울철이여서 태풍 등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았고, 보호망에 부착물질이 거의 없어 생존율이 매우 높았다. 겨울철 중간양성이 여름철 중간양성 보다 생존율에서는 월등히 높은 결과를 나타내어 산업화를 위해서는 유리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피조개 부착치패 중간양성 시기는 태풍 등의 위험한 시기를 피하여 조절하고, 피조개 부착치패의 중간양성시 통발형 및 원통형의 보호망과 유실 방지망을 병행하여 사용하면 높은 생존율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어패류를 이용한 조미료 소재 개발에 관한 연구 -1. 패류 자숙액즙의 성분조성- (A Study of Exploiting Raw Material of Seasoning by Using Fish and Shells -1. On Composition of Seasoning Material in Cooking By-product-)

  • 김우준;배태진;최종덕;최지현;안명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59-264
    • /
    • 1994
  • 굴, 키조개, 새조개, 진주담치 등을 가공할때에 부산되는 자숙액을 조미료 자원으로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한 일환으로 정미성분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가공과정에서 생산되는 자숙액은 굴 21,790톤, 키조개 604톤, 진주담치 1,395톤이었다. 2. 일반성분은 수분이 $95.2{\sim}97.4\%$로 높고 단백질이 $1.0{\sim}l.5\%$로 낮았다. 3. 유리아미노산 가운데 taurine이 $40{\sim}56\%$로 가장 많고 glycine이 $10.4{\sim}36\%$, alanine이 $4.8{\sim}8.6\%$, glutamic acid가 $3.1{\sim}5.3\%$로 많았다. 4. 핵산관련물질은 ADP, AMP가 높았다. 5. glycinebetaine은 굴이 139.3mg/100g이었으나 키조개, 진주담치, 새조개는 각각 45.2, 52.1, 66.9mg/100g로 적었다. 6. Total creatinine과 trimethylamine oxide는$30.4{\sim}59.1mg/100g,\;0.8{\sim}47.2mg/100g$로 적었다.

  • PDF

Inclusion effect of soybean meal, fermented soybean meal, and Saccharina japonica in extruded pellet for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Reeve 1846)

  • Yun, Ahyeong;Kim, June;Jeong, Hae Seung;Lee, Ki Wook;Kim, Hee Sung;Kim, Pil Youn;Cho, Sung Hwoa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1권9호
    • /
    • pp.26.1-26.8
    • /
    • 2018
  • Inclusion effect of soybean meal (SBM) and fermented SBM (FSM) in extruded pellet for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was compared in abalone farm. Dietary inclusion effect of the combined macroalgae (MA) (Undaria pinnatifida and Hizikia fusiforme) and a single Saccharina japonica on abalone was also compared. Three thousand six hundred juvenile abalone were purchased from a private hatchery and acclimated to the experimental conditions for 2 weeks. Six 5-ton flow-through raceway tanks were used, and abalone were randomly distributed into tanks (n = 600 per tank). Three experimental diets were prepared in duplicate. Fish meal, FSM, corn gluten meal, and shrimp meal and wheat flour and dextrin were used as the protein and carbohydrate sources, respectively, in the FSM diet. MA was also included in the FSM diet. FSM and MA in the FSM diet were substituted with SBM at the expense of wheat flour and S. japonica, referred to as the SBM and SJ diets. The experimental diets were pelletized by an extruded pelleter. Water stability of nutrients in the experimental diets was monitored at 12, 24, and 48 h after seawater immersion. The experimental diets were fed to abalone once a day to satiation with a little leftover for 120 days. The retained crude protein and lipid and ash content of the extruded pellets were changed over all period of time. Weight gain and specific growth rate (SGR) of abalone fed the SBM diet were greater than those of abalone fed the FSM and SJ diets. Weight gain and SGR of abalone fed the SJ diet were also greater than those of abalone fed the FSM diet. The longest shell length, widest shell width, highest shell height, and greatest soft body weight were obtained in abalone fed the SBM diet, followed by the SJ and FSM diets. Proximates of the soft body of abalone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experimental diets. In conclusion, SBM was a superior protein source to FSM in extruded pellet for growth performance of abalone. Dietary inclusion of a single S. japonica was superior to the combined inclusion of U. pinnatifida and H. fusiforme in the production of abalone.

명치시대(明治時代) 일본의 조선(朝鮮) 바다 조사 (On the Japanese Investigations for the Korean Sea during Meiji Period)

  • 이근우
    • 수산경영론집
    • /
    • 제43권3호
    • /
    • pp.1-22
    • /
    • 2012
  • This study is to survey the Japanese investigations for Korean sea during Meiji period. Meiji government was eager to develop new fishing ground to provide the marine products to their people, to offer the job for their people and to accumulate the starting capital. They found that the Korean sea was abundant in shark, sea cucumber and ear shell. These products were valuable for Chinese foods. From 1870's, Japan Navy investigated Korean sea for military purpose and subsequently for fishery. The first investigation for Korean maritime products was The Circumstances for Catching Fish in Korean Sea by Sekizawa Akikiyo in 1893. He was the most famous specialist in fishery and insisted that Japanese fishermen must go to Korean sea and catch fishes. Meiji government accepted his opinion and pushed the policy sending fishermen to Korean sea. Meiji government enlarged the investigations and backed up the activities of fisherman and the organization for fishery in Korean sea. Especially, the investigations by The Association for Korean Sea Fishery were repeated and detailed(1897~1900). The Association intervened the conflict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fishermen. At the same time, The Association investigated the attitudes of Korean people to Japanese. The Guidelines for Fishery in Korean Sea by Kuzuu Syuzo was also very detail, especially in the kinds of fishes in Korean sea. These investigations were supported by Meiji government or organizations helped by gover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