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ell fish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2초

일본 Shikoku, Ikata지역 인공어초 주변의 해양생물 군집 (Marine Communities around Artificial Reefs Located in Ikata, Shikoku, Japan)

  • 최창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08-214
    • /
    • 2008
  • This study monitored a variety of marine communities during monthly or bimonthly censuses from February 1999 to August 2000. The communities investigated included artificial reefs composed of various substrates, which were placed on an area of sandy bottom at 8, 10, and 13m depths in Muronohana, Ikata, Shikoku, Japan. Economically important shell fishes, such as the turban shell and abalone, appeared on the artificial reefs after 1 month of construction. Shell fishes were recorded at levels of five to 20 individuals per reef. A total of 37 species (4 orders, 19 families) were identified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Apagon semilineatus, Trachurus japonicus, Pteragogus sp., and Pterogobius elapoides accumulated over an average of 100 individuals during the study period. Apagon semilineatus, Pteragogus sp., and P. elapoides accumulated over 1,000 individuals on all artificial reefs in May 1999. Trachurus japonicus reached well over 500 individuals in the artificial iron reef during June and July 2000. Higher monthly variation in fish abundance occurred during periods of high temperature, as compared to periods of low temperature between December 1999 and March 2000. More fish were observed in the artificial iron reef than in the artificial concrete reef, because the former offered a broader inner space and the shadows of the roofs served as a shelter for fish.

날치 난소막 추출물의 물리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Extract from Flying Fish Roe Shell)

  • 장부식;이미진;정노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87-393
    • /
    • 2014
  • 본 연구는 날치 난소막에서 추출한 날치 난소막 추출물(Flying fish Roe Shell Extract, 이하 FRSE라 명함)의 물리화학적인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해양성 원료인 날치 난소막에서 FRSE를 제조하여 물리화학적인 특성을 분석하였다. 영양성분 조성을 분석한 결과 FRSE는 81.00%의 단백질과 9.12%의 회분, 그리고 4.48%의 수분으로 구성되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미노산 조성분석결과 FRSE는 콜라겐 펩타이드의 특징인 OH-proline과 glycine이 검출되었으며, 포도당과 지방 대사에 관여하는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 함량이 높게 검출되었다. 또한 열량분석 결과에서는 100g의 FRSE가 347 kcal의 열량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FRSE의 분자량 분석 결과에서는 약 1,300 Da정도의 평균분자량 분포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국연안의 해양미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1. 충무연안의 분포에 관하여 (STUDIES ON MARINE BACTERIA IN KOREAN COASTAL WATERS 1. On the distribution of marine bacteria in the Coast of Chung-Mu)

  • 이원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1-36
    • /
    • 1977
  • 우리나라 충무연안의 해양 미생물의 월별 분포를 파악하고 이에 따라 효과적인 양식업 대책수립은 물론, 어패류로 인한 식중독 발생 예방 재료를 얻고자 1976년 4월부터 1977년 3월까지 매월 해수, 이토, 어류 및 패류등을 수집하여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해수, 이토, 어류 및 패류 732 시료에서 1,426 균주를 분리 하였다. 분리된 균종은 Pseudomonas fluorescens가 450균주, Achromobacter liquifacience 422 균주 Vibrio Parahaemolyticus가 72균주, V. alginolyticus 234균주, Proteus vulgaris가 248 균주였다. 2. V. parohaemolyticus는 732 시료중 72 균주로서 $9.84\%$ 였으며 이들중에도 해수, 이토에서 $52\%$이상을 차지하였다. 또 넓게 분포되어 있음을 알았다. 3. 양식장(뗏목)의 이토를 채취 했을 때 이토속에서 많은 Gas가 발생함을 알았고 이것은 대부분 패류의 분비물 퇴적으로 추정되었다.. (부패가 일어남) 또한 이러할 곳은 용존산소량이 적을뿐 아니라, 패류에 산소가 부족되면 신진대사가 잘 안되므로 비만도(肥滿度)가 저하한다. 이러한 해역에서 폐사된 패류를 많이 볼 수 있었다. 4. 조사지역별 분포를 보면 Station 10, 9, 8, 11, 1의 순이였다. (Fig. 1)특히 St. 10은 여객선이 많이 출입하는 충무항이며 Station 9는 주위 매축공사로 인하여 분포율이 컸고 St. 8은 분뇨처리 탱크가 가까이 있기 때문에 영향이 크다고 느껴진다. 본 연구는 1976년도 문교부 학술연구 조성비로 이루어졌다. 통영수전 한학수 교장님과 문교부에 감사를 드리며 본 실험을 도운 이정태 조교님, 재료 학명등에 협조하여 주신 김무상 교수님, 가공과 신영호, 강숙희양께 사의를 표한다.

  • PDF

마산시 가포동의 영양섭취 실태조사 (The Nutritional Survey of Gapoe-Dong in Masan City)

  • 윤현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1권2호
    • /
    • pp.122-128
    • /
    • 1988
  • This nutritional surve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7 to October 6, 1984,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tate of the nutritional intakes of perple living Gapoe-Dong, coastal area of Korea. This survey covered a total of forty houses. The method of this research was based on the interiview-survey with questinaires. All of the food taken daily by the people are all weighed before cooking ; the rest of food after mealing are also weighed. Thus the amount of food taken by people can be come out.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average intake of all nutrients were below the RDA, especially calorie, vitamin B2, calcium and iron were insufficient. The protein intake was only 55.2g but the contribution of animal protein to total protein was adequate(38%). It was provided mostly by fish and shell-fish. 2) Chief food sources were rice, vegetables, fish and shell-fish, and milk, eggs, oil, potato, and fruits were insufficient. 3) The level of education and the number of family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to the nutrientintake, especially correlation between family-size and colorie, calcium intake were significant.

  • PDF

Oyster reef에서 black sea bass, Centropristis striata 치어의 행동 (Behavior of Juvenile Black Sea Bass, Centropristis striata (Linnaeus) on Oyster Reefs)

  • 곽우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73-178
    • /
    • 2008
  • black sea bass 치어(이하 치어라 칭함)의 기질 선택성을 수조 내부의 바닥을 굴 껍질 관련 기질과 모래 기질을 덮어 이등분 한 원형수조(1.5 m 직경${\times}$0.4 m 깊이)에서 조사하였다. 실험어는 1개체를 수조에 넣는 단독수용과 5개체를 넣는 그룹으로 하였다. 모든 치어의 기질 선택행동 실험은 20분간 비디오에 녹화하여 모니터 상에서 관찰하였고 수조 내에서 치어의 위치와 각 기질에서 체류한 시간을 기록하였다. 굴 껍질 관련 기질에서 치어가 보낸 평균시간은 1개체 수용구에서 $18.1{\pm}2.0$분과 5개체 수용구에서 $17.5{\pm}1.7$분으로 나타났다. 한편, 모래기질 위에서는 1개체 수용구에서 $2.0{\pm}1.0$분과 5개체 수용구에서 $2.5{\pm}1.7$분으로 나타났다. 1개체와 5개체의 치어로 수행한 실험 모두에서 모래 기질보다는 굴 껍질 관련 기질에 대해 유의한 선택성을 나타냈다(paired t-test, P<0.05). 굴 껍질 관련 기질 아래 체제시간은 1개체 수용구에서 $16.6{\pm}2.0$분과 5개체 수용구에서 $10.7{\pm}2.3$분으로 나타났다. 굴 껍질 관련 기질 사이를 이동한 횟수는 1개체 수용구에서 $1.1{\pm}1.0$회와 5개체 수용구에서 $11.5{\pm}3.1$회로 나타났다. 치어는 1개체 수용구보다는 5개체 수용구에서 굴 껍질 관련 기질 아래 머무는 시간이 유의하게 적고, 또한 움직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aired t-test, P<0.05). 은신처 확보를 위한 치열한 경쟁으로 인해 5개체 수용구의 치어가 굴 껍질 관련 기질 아래 머무는 시간이 적고 움직임이 많은 것으로 추측된다.

어피 젤라틴 펩티드와 결합한 굴껍질 유래 칼슘 화합물이 칼슘 결핍 흰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lcium Compounds from Oyster Shell Bouind Fish Skin Gelatin Peptide in Calcium Deficient Rats)

  • 김규형;전유진;변희국;이연숙;이응호;김세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49-159
    • /
    • 1998
  • 매년 막대한 양이 폐기되어져 환경오염 문제를 유발시키는 굴껍질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칼슘 성분을 체내 칼슘 공급원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굴껍질을 $1200^{\circ}C$로 소성 가공시켜 $98.6\%$의 수율로 산화칼슘을 만들었고, 이로부터 $CaCl_2$$CaHPO_4$ 등과 같은 칼슘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여러 가지 효소로 가수분해시켜 얻은 어피 젤라틴 유래 펩티드를 굴껍질 유래 칼슘화합물들에 대한 칼슘 흡수 촉진제로 사용하였는데, in vitro 실험 결과 참치 유문 수 유래 조효소인 TPCCE를 사용하여 4시간 동안 가수분해시켜 얻은 어피 젤라틴 펩티드가 가장 뛰어난 $CaHPO_4$ 침전 저지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무첨가와 비교했을 때 $70\%$의 상승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칼슘을 결핍시킨 수컷 흰쥐(SD-Dawley male rats)를 이용하여 in vivo에서 칼슘 흡수 촉진 실험을 실시한 결과, 칼슘 흡수 촉진제로 어피 젤라틴 펩티드가 첨가된 굴껍질 유래 칼슘화합물을 섭취시킨 군들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칼슘 및 회분량을 나타내었으며, $1\%$보다는 $3\%$의 펩티드를 섭취시킨 군들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aCl_2$ 섭취군 보다는 $CaHPO_4$ 섭취군들에게서 더 뛰어난 촉진 효과를 볼 수 있었다. 또한 분으로의 칼슘 배출은 대조군의 약 $50\%$이하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소장내 불용화 칼슘의 형성에 매우 뛰어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어패육추출물(魚貝肉抽出物)이 지질산화(脂質酸化)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Muscle Extracts of Fish and Shell-fish on the Oxidation of Methyl Linoleate)

  • 이강호;정인학;이종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44-450
    • /
    • 1984
  • Effects of muscle extracts of five species of fish and shell-fish, mackerel, jack mackerel, yellow corvenia, shrimp and baby-neck clam, on lipid oxidation were investigated using a model system consisting of methyl linoleate absorbed in micro crystalline cellulose and extracts of fishes. Ethanol extracts of both mackerel and jack mackerel apparently showed inhibitory effect on the oxidation of methyl linoleate, while the extract of yellow corvenia, and baby-neck clam showed a slight catalyzed effect on contrary. The ethanol extract of shrimp, however, revealed no effect on the oxidation of methyl linoleate. When the ethanol extracts were dialyzed, the outer fractions of dark fleshed fish had a strong inhibitory effect on the oxidation of methyl linoleate, while the inner fractions did not. The outer fraction of yellow corvenia showed catalyzed effect, but the inner fraction inhibited the oxidation slightly. The outer fraction of shrimp had a strong inhibitory action, but the inner fraction showed no effect. The methanol-water fraction of chloroform-methanol extract of shrimp showed a quite strong inhibitory effect on the oxidation, whereas that of four other samples did the same levels of effect as ethanol extracts.

  • PDF

양식산 참전복(Haliotis discus hannai)에 대한 리도카인 및 MS-222의 박리효과 (Anaesthetic Effect of MS-222 and Lidocaine on Abalones, Haliotis discus hannai)

  • 최상덕;김호진;서해립;서호영;양문호;황성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5-41
    • /
    • 1998
  • 참전복 인공종묘 생산후 박리시 패각 파손 및 연체부 손상 등을 방지하고자 여러 가지 마취제가 사용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전복 마취제는 전복에 대하여 비교적 강한 독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무해하다고 인정되어 인체의 마취에 사용되는 lidocaine과 FDA에서 유일하게 수산용 어류 마취제로 인정한 MS-222를 참전복의 마취제로 사용하고자 각장 크기별로 마취 실험을 실시하였다. 각장 1 cm인 전복에 대한 lidocaine과 MS-222의 박리효과는 각장 3 cm인 공시패에서보다 훨씬 우수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각장 1 cm인 공시패에서 lidocaine과 MS-222의 적정마취농도는 각각 200 ppm과 100 ppm이었다. 전복 크기에 따라 박리 효과의 차이는 있었으나 우수한 박리 효과가 인정되었고, 더욱이 싼 가격, 안정성 및 취급 효과가 용이한 점 등을 고려할 때 기존의 전복 마취제를 대신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목편살수여상 침출액비와 어분, 골분, 게껍질 혼합액을 이용한 상추의 수경재배 (Hydroponic Culture of Leaf Lettuce Using Mixtures of Fish Meal, Bone Meal, Crab Shell and the Pig Slurry Leachate of Woodchip Trickling Filter)

  • 류종원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15-226
    • /
    • 2010
  • 본 연구는 목편살수여상 pilot 장치를 설치하여 스크레파 축사에서 배출되는 뇨오수를 원수로 사용하여 가동한 후 침출액비를 공시재료로 하여 상추 양액재배 시험을 실시하였다. 처리구는 침출액비 (SL) 단독처리구, 침출 액비+어분 (SL+FM), 침출액비+골분 (SL+BM), 침출액비+게껍질 (SL+CS) 혼합처리구. 침출 액비+부산물 (SL+FM+BM+CS) 혼합처리구, 대조구로 원예연 상추양액 (NS) 처리구 등 6개 처리구를 두었다. 침출액비와 부산물 혼합처리 후 전기전도도와 pH를 조정하여 상추의 양액재배를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목편살수여상 처리 과정중 pH는 처리 시작전 7.3에서 처리 후 8.5로 상승하였다. 전기전도도 (EC)는 처리전 17.05 mS/cm에서 처리 후 30일에는 9.7 mS/cm로 낮아졌다. 2. 침출액비는 부유물질 (SS)이 낮아 수경 재배시 관배수의 막힘문제 없이 활용이 가능하였다. 침출액비는 양분조성에서 칼륨함량이 높고 인산 함량이 낮았다. 3. 침출액비시용구 (SL)의 상추수량은 원예 연 표준양액재배 대비 75%를 나타내어 25% 수량저하를 나타내었다. 침출액비을 어분. 골분. 게껍질을 혼합한 처리구는 대조구 대비 85%. 79%. 80% 수량을 나타내어 어분의 첨가 효과가 가장 높았다. 침출액비와 어분 혼합액은 침출액비 단독처리구 보다 10% 증수를 나타내어 유기양액의 대체 원료로 사용이 가능 할 것으로 보인다.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tudy on the Glochidial Encystment of a Freshwater Clam, Anodonta arcaeformis on the Host Fish, Carassius auratus

  • Lee, Yong-Seok;Min, Byung-Jun;Kang, Se-Won;Jo, Yong-Hun;Kim, Tae-Yun;Kho, Weon-Gyu;Han, Yeon-Soo;Park, Hong-Seog;Jeong, Kye-Heon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81-187
    • /
    • 2007
  •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tudy on the glochidium and glochidial encystment of Anodonta arcaeformis on the host fish Carassius auratus was conducted. The shape of the glochidium was apparently subtriangular and its average size was $270\;{\mu}m\;\times\;260\;{\mu}m\;\times\;145\;{\mu}m$. The glochidial shell valves were of the same size, kept together by a ligament that is 50.4 ${\mu}m$ in length and 5.5 ${\mu}m$ in width. Each of the glochidial shell valve had a long hook studded with many spines on the superior face. A large area of at the apex of the valve surrounding the base of the hook was provided with numerous small spines which became progressively smaller toward the periphery of the area. The glochidial shell valve consisted of two layers. The mantle cells line the glochidial shell valves and some of hair cells were observed. A larval thread was 2.3 ${\mu}m$ in diameter. In the artificial infection of the glochidia to one of the natural hosts, Carassius auratus, it took about three to four hours to encyst the glochidia with epithelial cells of the fish fins. The encystment method was the cell migration from the neighboring epithelial cel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