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ape variability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24초

Evaluation of mode-shape linearization for HFBB analysis of real tall buildings

  • Tse, K.T.;Yu, X.J.;Hitchcock, P.A.
    • Wind and Structures
    • /
    • 제18권4호
    • /
    • pp.423-441
    • /
    • 2014
  • The high frequency base balance (HFBB) technique is a convenient and relatively fast wind tunnel testing technique for predicting wind-induced forces for tall building design. While modern tall building design has seen a number architecturally remarkable buildings constructed recently,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building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to those that were common when the HFBB technique was originally developed. In particular, the prediction of generalized forces for buildings with 3-dimensional mode shapes has a number of inherent uncertainties and challenges that need to be overcome to accurately predict building loads and responses. As an alternative to the more conventional application of general mode shape correction factors, an analysis methodology, referred to as the linear-mode-shape (LMS) method, has been recently developed to allow better estimates of the generalized forces by establishing a new set of centers at which the translational mode shapes are linear. The LMS method was initially evaluated and compared with the methods using mode shape correction factors for a rectangular building, which was wind tunnel tested in isolation in an open terrain for five incident wind angles at $22.5^{\circ}$ increments from $0^{\circ}$ to $90^{\circ}$.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LMS method provides more accurate predictions of the wind-induced loads and building responses than the application of mode shape correction factors. The LMS method was subsequently applied to a tall building project in Hong Kong. The building considered in the current study is located in a heavily developed business district and surrounded by tall buildings and mixed terrain. The HFBB results validated the versatility of the LMS method for the structural design of an actual tall building subjected to the varied wind characteristics caused by the surroundings. In comparison, the application of mode shape correction factors in the HFBB analysis did not directly take into account the influence of the site specific characteristics on the actual wind loads, hence their estimates of the building responses have a higher variability.

우리나라 해역별 해양환경에 최적화된 확률모형 개발 (Development of Probabilistic Models Optimized for Korean Marine Environment Varying from Sea to Sea Based on the Three-parameter Weibull Distribution)

  • 조용준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36권1호
    • /
    • pp.20-36
    • /
    • 2024
  • 요 지 : 본 연구에서는 먼저 우리나라 해역별 해양환경 특성이 담긴 장기 파랑 관측자료로부터 Goda 모형을 활용하여 파력과 양력 시계열자료를 생성하였다. 이어 이렇게 생성된 시계열자료부터 Three-parameter Weibull distribution에 기반한 파력과 양력 확률모형을 개발하였다. 해역별로 다른 우리나라 해양환경은 파력과 양력 확률모형 모수에서도 그 차이를 확연하게 드러내었다. 충분히 발달한 풍성 파가 우월한 남해안의 경우 큰 Scale Coefficient, 작은 Location Coefficient, 1.3 전후의 Shape Coefficient로 특정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비해 파랑의 성장이 취송거리에 의해 제한되는 서해를 마주하고 있는 군산의 경우 작은 Scale Coefficient, 큰 Location Coefficient, 2.0 전후의 Shape Coefficient로 특정되었다. 서해와 남해가 만나는 해역을 마주하고 있는 목포의 경우 작은 Scale Coefficient, 큰 Location Coefficient, 제일 작은 Shape Coefficient를 지녀 남해와 서해의 해양환경이 혼재한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었다.

예비교사들의 통계적 표집에 대한 이해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Statistical Sampling)

  • 고은성;이경화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1권1호
    • /
    • pp.17-3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사들의 통계적 표집에 대한 이해를 조사하였다. 먼저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표집의 이해와 관련된 주요 주제를 표본의 대표성, 표집 변이성, 표집분포로 구분하고, 각각의 주요 주제에 대한 세부 개념 요소들을 선정하였다. 이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이해를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이 편의를 일으키지 않는 무작위 추출이 표집방법으로 적절함을 이해하고 있었으나 약 64%의 예비교사들만이 표본을 모집단의 준비례적 축소버전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표집에서 표본이 모집단에서 차지하는 비율보다 표본의 크기 자체가 중요함을 인식하는 예비교사는 극소수에 불과했으며, 조사 대상의 절반에 해당하는 예비교사들만이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전체 표본의 크기가 아니라 표집 횟수가 중요함을 인식하였다. 그리고 표집분포는 모집단 분포의 형태와 무관하게 모집단의 평균을 중심으로 대칭적인 형태를 나타낸다는 것을 이해하는 예비교사는 매우 적었다.

  • PDF

A new species of Parastenocaris from Korea, with a redescription of the closely related P. biwae from Japan (Copepoda: Harpacticoida: Parastenocarididae)

  • Karanovic, Tomislav;Lee, Wonchoel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권1호
    • /
    • pp.4-34
    • /
    • 2012
  • Parastenocaris koreana sp. nov. is described based on examination of numerous adult specimens of both sexes from several localities in Korea. Scanning electron micrographs are used to examine intra- and interpopulation variability of micro-characters, in addition to light microscopy. The new species is most closely related to the Japanese P. biwae Miura, 1969, which we redescribe based on newly collected material from the Lake Biwa drainage area. The two species differ in size, relative length of the caudal rami, shape of the anal operculum, shape of the genital double somite, relative length of the inner distal process on the female fifth leg, as well as relative length of the apical setae on the second, third, and fourth legs exopods in both sexes. Detailed examinations of three disjunct populations of P. koreana reveal also some geographical variation, especially in the surface ornamentation of somites, which may indicate some population structuring or even cryptic speciation. Lack of intraspecific variability in the number and position of sensilla on somites, as well as their potential phylogenetic significance, is a novel discovery. Both species examined here belong to the brevipes group, which we redefine to include 20 species from India (including Sri Lanka), Australia, East Asia, Northern Europe, and North America. A key to species of this group is also provided. In order to test the monophyly of the redefined brevipes group with highly disjunct distribution, as well as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species, a cladistics analysis is performed based on 39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with help of three outgroup taxa. Six equally parsimonious cladograms are generated, all of which show that the ingroup is well defined by at least three synapomorphies. Reconstructed phylogeny questions the previously suggested hypothesis about the origin of this group in South East Asia, with one Australian species showing the most basal position. We speculate that the present distribution of this group may be a combination of ancient vicariance and subsequent dispersal, with a possible origin in the Gondwanaland, in the rift valley between Australia and India.

임상적인 적용에 기반한 후구치삼각융기 형태와 분류의 포괄적인 이해 (Comprehensive understandings in the shape of retromolar pad and its classification based on clinical application)

  • 박찬진;고경호;허윤혁;조리라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5권2호
    • /
    • pp.64-71
    • /
    • 2019
  • 무치악 환자의 교합평면 수준을 결정할 때 후구치삼각융기는 흔하게 이용하는 해부학적 지표 중 하나로 연조직 덩어리이며 의치의 의해 피개 되어야 한다. 후구치삼각융기의 형태는 다양성을 보이며 이는 최후방 치아 발거에 따른 치유과정을 통해 형성되는 변화는 필연적이기 때문이다. 본 문헌고찰은 후구치삼각융기의 형태에 있어서 해부학적 관계와 임상적인 가치를 고려하고 형태적인 분류에 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재료 물성치의 공간적 임의성에 대한 역추정 방법 및 지반구조 형상의 위상 최적화 적용 (Inverse Estimation Method for Spatial Randomness of Material Properties and Its Application to Topology Optimization on Shape of Geotechnical Structures)

  • 김대영;송명관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1-10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지반 구조물의 재료 물성치에 대한 추계장 세트를 이용하여 재료 물성치의 공간적 임의성 및 확률 특성을 역추정한다. 이러한 추정된 재료 물성치의 확률분포 및 확률특성을 이용하여 구조 형상에 대한 위상 최적화를 수행하고, 기존의 결정론적 위상 최적화 결과와 비교한다. 재료 물성치에 대한 한 세트의 추계장들을 생성하고, 각 추계장에서 재료 물성치의 공간적 임의성을 모사한다. 각 추계장에서 재료 물성치의 부분값들을 이용하여 실제 재료 물성치의 확률분포와 확률 특성을 추정한다. 추정된 실제 재료 물성치의 확률특성을 추계장 세트의 확률 특성과 비교한다. 또한, 임의성을 가진 재료탄성계수를 가지는 지반구조물의 최적화 응답변화도와 임의성이 없는 재료탄성계수를 가지는 지반구조의 응답변화도를 비교한다. 따라서, 실제 재료 물성치의 공간적 임의성을 고려한 정량화된 확률론적 위상 최적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Identification of High Frequency Peakers with long-term monitoring observation at 22 and 43 GHz

  • Jeong, Yongjin;Sohn, Bong Won;Chung, Aeree
    • 천문학회보
    • /
    • 제39권2호
    • /
    • pp.68.2-68.2
    • /
    • 2014
  • High Frequency Peakers (HFPs) are radio-loud Active Galactic Nuclei (AGN), which are regarded as being in the earliest evolutionary phase (102-103 years) of radio galaxies. They are expected to be small in size (< ~1 kpc) compared to their host galaxies (~a few 10s kpc), and have convex spectra, which are peaking at high radio frequency (> 5 GHz). Their size and spectral shape are the most obvious supporting evidence of extremely young ages. HFPs are therefore ideal targets to probe the earliest stage of radio sources. To date however, the young radio source classification has been relying mainly on the spectral shape which usually does not cover high enough frequencies where the true peak flux is located. Hence HFPs are often confused with blazars which may show a similar spectral shape and apparent compactness but are a somewhat evolved form of AGNs. Therefore, we have been challenging to identify HFPs among the sample of 19 candidates using the Korean VLBI Network (KVN) which enables us to extend the radio spectrum baseline up to 22 and 43 GHz. These are higher than the frequencies used in most previous studies of HFPs, allowing us to select genuine HFPs. By long-term monitoring of 18 epochs, we have also inspected the variability of the sample to select out blazars which are highly variable yet with a similar radio spectrum. In this work, we present the light curves and spectral properties of the HFP candidates. We discuss the results of our re-identification of HFPs.

  • PDF

프린지 투영법을 이용한 실시간 3D 구강 내 스캐너의 개발 (Development of a Real-time 3D Intraoral Scanner Based on Fringe-Projection Technique)

  • ;이건수;박강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156-163
    • /
    • 2012
  • Real-time three-dimensional shape measurement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in various fields, including medical sciences, high-technology industry, and microscale measurements. However, there are not so many 3D profile tools specially designed for specifically narrow space, for example, to scan the tooth shape of a human jaw. In this paper, a real-time 3D intraoral scanner is proposed for the measurement of tooth profile in the mouth cavity. The proposed system comprises a laser diode beam, a micro charge-coupled device, a graticule, a piezoelectric transducer, a set of optical lenses, and a polhemus device sensor. The phase-shifting technique is used along with an accurate calibration method for the measurement of the tooth profile.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inspection of the phase-to-coordinate relation is presented. In addition, a nonlinear system model is developed for collimating illumination that gives the more accurate mathematical representation of the system, thus improves the shape measurement accuracy. Experiment results are presented to verify the feasibility and performance of the developed system. Th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overall measurement error accuracy can be controlled within 0.4 mm with a variability of ${\pm}0.01$.

농촌 유역 상단부의 소하천에서 수질예측모형의 개발 (Development of a Water Quality Model for Streams in an Upland Agricultural Watershed)

  • 최혜숙;오광중;김상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3권1호
    • /
    • pp.73-85
    • /
    • 2000
  • 농촌 소하천의 수리학적 및 수질특성을 반영한 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구조 설계시 제어체적 기법을 활용하여 하천 형상, 수질 및 유량의 변화가 심한 농촌 유역의 소하천에 대한 수질의 모의하였다. 개발한 모형에 난수발생기법을 도입하여 최적 반응계수와 모형구조를 추정하였다. 또한 모형 보정기준의 일반화를 위해 동의지표와 효율계수를 도입하여 매개변수추정의 신뢰성 향상을 도모했다. 모형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경남 김해시 한림면 용덕천에서 수질을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관측된 자료와 개발된 모형의 비교연구를 통해 대상유역의 소하천에서 일어나는 수질 반응계수들과 그 변동성을 추정하였다.

  • PDF

계단보행 시 계단 너비가 지면반력 파라미터에 미치는 영향 -비대칭 지수 및 일관성 지수- (The Effect of Stair Depth on Ground Reaction Force Parameters - Asymmetric and Variability Indices -)

  • 윤석훈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69-178
    • /
    • 2008
  • 본 연구는 계단 보행 중 연속적인 두 스텝의 3차원적 지면반력 파라미터를 제공하고, 계단의 너비에 따른 지면 반력 파라미터의 차이 및 비대칭성과 일관성을 규명하는데 있다. 10명의 성인 대상자가 본 실험에 참여하였으며, 각 10번의 평지, 상향 및 하향보행을 3가지의 다른 너비의 계단에서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계단의 너비는 대부분의 지면반력 파라미터들의 패턴이나 일관성, 비대칭지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평지 보행과 계단보행은 지면반력 파라미터의 패턴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평지보행과 상향보행은 Fz1, Fz2, 그리고 Fz3로 구성되는 "M" 형태를 보인 반면에 하향보행에서는 Fz2가 거의 없고 큰 Fz1과 작은 Fz3로 구성된 패턴을 보였다. 또한 계단 보행은 평지보행과 매우 다른 전 후 지면반력 패턴을 보였다. 즉 상향보행은 Fy1이 존재하지 않는 패턴을, 하향보행은 Fy2가 존재하나 매우 작은 크기를 보였다. 셋째, 계단보행의 수직 지면반력 파라미터들은 적용가능한 일관성 지수 및 비대칭 지수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