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ape functions

검색결과 1,031건 처리시간 0.026초

통합형 구조의 감시정찰 영상장비에서 자북의 위치 정확도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ing the Position Accuracy of the Magnetic North used in Surveillance Imaging Equipments)

  • 신영돈;이재천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4호
    • /
    • pp.219-228
    • /
    • 2013
  • 감시정찰용 영상장비는 표적의 형상을 실시간으로 관측하거나, 표적의 위치를 정밀하게 측정하여 신뢰성 있는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장비로서 정보 지식 기반의 현대 무기체계에서 필수적인 장비로 발전하고 있다. 운용 방식도 고정형, 차량형, 복합형 등으로 운용되고 있고, 또한 운용 개념에 따라 다양한 센서들이 여러 형태의 기구 구조로 제작되어 장/탈착이 용이한 분리형 일체형 기구 구조로 형상화된 통합형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 통합형 구조에 사용되는 다양한 센서들의 핵심부품 들은 자성을 띠고 있기 때문에 위치 측정에 사용되는 디지털 나침반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정확한 기준점 산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물리적 자성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차폐제 사용이 제안되었지만, 선호도가 높은 통합형 구조에서는 장비의 무게, 휴대성 때문에 차폐제의 활용이 제약을 받는다. 본 논문에서는 통합형 구조에서 디지털 나침반을 사용할 경우의 정확한 위치측정 알고리즘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구체적으로, 부품의 장착 위치에 따른 선행 모델링을 통해 차폐제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의 사례에 대해 연구하였다. 또한 시스템이 PAN & Tilt와 같이 이용된다는 점에도 착안하여, 수동으로 수행하는 기존의 정치 방식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결과적으로 기존의 방위각 중심의 6지점 정치를 방위각과 고각에 따라 12지점을 측정함으로써 측정 범위는 넓히고, 측정시간은 줄이고, 운용자가 측정 중 발생 할 수 있는 영향성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기법임을 확인하였다.

경관메트릭스를 이용한 금호강 유역 산림경관의 시·공간적 변화탐지 (Spatio-temporal Change Detection of Forest Landscape in the Geumho River Watershed using Landscape Metrics)

  • 오정학;박경훈;정성관;이종원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81-94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각종 환경적 교란이 야기되고 있는 금호강 유역의 경관구조를 정량화, 모니터링하기 위한 경관메트릭스의 적용가능성을 평가하는데 있다. 경관메트릭스는 토지피복지도(1985년, 1999년)의 산림패취만을 대상으로 계산하였다. 최초 사용된 12개 메트릭스는 인자분석을 통해서 전체 변량의 91% 이상 설명하는 3개의 공통인자로 축소되었다. 또한,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토지개발이 산림경관구조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산림패치에서 도시지역과 농경지로의 전환은 파편화의 증가를 초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도시지역으로의 전환은 패치면적과 패치크기를 감소시키고, 패치밀도는 증가시켰다($R^2=0.696$, p<0.01). 패치크기의 이질성과 패치모양의 복잡성은 농경지로의 전환에 의해서 감소하였다($R^2=0.405$, p<0.01). 핵심구역과 가장자리의 밀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산림의 도시지역과 농경지로의 전환과는 뚜렷한 상호관계를 가지지 않았다. 향후에는 경관구조와 특정한 환경적, 사회경제적 경관기능 사이의 상호관계성을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PDF

강교량의 손상감지를 위한 주파수 영역 패턴인식 기법 (Frequency Domain Pattern Recognition Method for Damage Detection of a Steel Bridge)

  • 이정휘;김성곤;장승필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7권1호통권74호
    • /
    • pp.1-11
    • /
    • 2005
  • 이 논문에서는 구조물의 동적응답을 입력으로 하고, 패턴인식을 위해 신경망기법(Neural Network, NN)을 사용하는 손상감지기법을 제시하였다. 입력된 동적응답, 즉 주파수응답함수(FRF) 또는 변형률 주파수응답함수(SFRF)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신호변형지수(Signal Anomaly Index, SAI)를 고안하여 사용하였으며, 이 신호변형지수는 손상 전 및 손상 후의 구조물로부터 측정된 가속도 또는 동적 변형률 신호를 사용하여 계산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2단계로 구성되며, 1단계에서는 신호변형지수 값의 크기 변화를 사용하여 구조물의 손상발생 유무를 판별하고, 여기서 구조물에 손상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면 2단계에서 신경망기법을 사용한 패턴인식을 통해 손상의 위치를 찾아낸다. 이 방법의 타당성 및 적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강교량 축소모형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신경망의 학습에는 수치해석을 통해 생성한 가상 신호를 사용하였으며, 학습이 완료된 신경망과 실험을 통해 측정한 실제 신호를 사용하여 손상발견을 수행하였다. 모형 교량에 대한 적용 결과로부터 이 알고리즘의 타당성이 검증되었으며, 향후 실 교량에 대한 적용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GIS를 이용한 수문학적 지형인자 산정에 대한 비교검토 (Comparison and Examination of the Calculating Hydrological Geographic Parameters Using GIS)

  • 김경탁;최윤석;이효정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3권1호
    • /
    • pp.25-39
    • /
    • 2010
  • 최근 들어 WMS와 ArcHydro 및 HyGIS와 같이 수문학적 지형인자를 생성할 수 있는 GIS 프로그램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에서는 격자형 고도자료인 DEM (Digital Elevation Model)을 이용하여 수자원에서 필요로 하는 다양한 지형인자를 계산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HyGIS로부터 산정된 수문학적 지형인자의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국내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WMS와 ArcHydro를 이용하여 수문학적 지형인자를 산정하고 그 결과를 HyGIS의 계산 결과와 비교 검토하였다. 연구 대상유역으로는 보청천, 위천, 평창강, 경안천, 내린천, 임진강 유역을 선정하였으며, 각 유역에 대해서 추출된 유역의 형태와 함께 유역 면적, 유역 경사, 유역평균고도, 최대유하거리, 최대유하거리 경사, 주하천 길이, 주하천 경사에 대한 산정결과를 비교검토 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유역에 대한 7개의 지형인자의 평균 상대오차는 4.77 %를 나타내었으며, 각 유역에 대해서 추출된 유역 경계 또한 매우 유사하게 생성되었다. 이와 같이 각각의 프로그램은 매우 유사한 지형인자 계산 결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따라서 HyGIS에서 계산된 지형인자는 기존에 국내에서 활용되어 왔던 WMS 및 ArcHydro와 함께 수자원 분야에서 충분히 적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휨을 받는 L-형 평판의 적응적 세분화를 위한 선택적 p-분배 (The Selective p-Distribution for Adaptive Refinement of L-Shaped Plates Subiected to Bending)

  • 우광성;조준형;이승준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533-541
    • /
    • 2007
  • 계층적 p-세분화를 위해 Zienkiewicz-Zhu 오차평가법이 약간 수정되었으며, 이 방법의 유효성을 보이기 위해 휨을 받는 개구부를 갖는 Reinssner-Mindlin $C^{\circ}$-평판에 적용하였다. 유한요소해석상의 적응적 체눈을 결정하는 단계는 초수렴 팻취 복구기법에 기초를 둔 사후오차평가자와 연계된 p-세분화에 의해 제안되었다. 요소내의 변위장을 정의하기 위해 적분형 르장드르 고차 형상함수가 사용되는 반면 복구응력을 보간하기 위해 파스칼의 삼각수에 기초를 둔 같은 차수의 고차다항식이 사용되는 이유로 수정 Z/Z 오차평가는 종래의 방법과 다소 차이를 보여준다. 가우스 적분점에서의 응력을 최적화하기 위해 필요한 다항식으로 표현되는 응력함수를 얻기 위해 최소제곱법이 사용되었다. 고정된 요소망에 거의 최적의 형상함수 차수의 분배를 찾기 위한 전략이 논의되었는데, 허용되는 정확도를 얻을 수 있을 때까지 각 요소마다 형상함수의 차수를 불균등하게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소위 최적의 선택적 p-분배를 자동으로 결정하도록 되어있다. 위의 사항들을 L-형 평판 해석에 적용한 결과, 적응적 p-체눈설계 단계가 진행됨에 따라 자유도의 증가에 따라 오차량은 급격히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제안된 오차 지시자에 의한 적응적 p-체눈 세분화는 최적 p-분배 진행방향에 근접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한우의 임신경과에 따른 황체조직의 광학 및 전자현미경적 변화 (Light and Electron Microscopical Changes of Corpus Luteum during the Course of Pregnancy in Korean Native Cows)

  • 표병민;고필옥;양제훈;원청길;조규완;강정부;곽수동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49-359
    • /
    • 2003
  • Corpus luteum (CL) is the primary productive organ of progesterone in pregnant cows. Progesterone levels in bovine plasma depend on the volume, weight and shape of the CL. Progesterone productions during the late stages of gestation occur both in the CL and placenta, and placentas producted more progesterone than CL on progesterone prcduction. Because division of progesterone production of these two organs is impoxxible, the CL function can not be determined by plasma progesterone levels following gestation stag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histological findings on the CL spurium and CL verum, and also on the CL following the pregnant stages by histological and immunohistochemical and electron microscopical methods and then we expect to assume the functions of CL by histological findings. 1. Proliferations of luteal cells occur by day 120 of gestation, vessel hyperplasia occur by day 90 of gestation, and the walls and lumens of vessels developed by day 120 of pregnancy. 2. Sizes of CL cells increased to maximum around day 200 of gestation and similarly maintained by day 240. So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function of Cl is most active around day 200 of gestation. 3. On parturation day, the number and size of luteal cells were maintained but stain intensity of the luteal cells and vessels are declined or disappeared, and fibrosis of luteal cells increased, and the vessel lumens are emptied.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CL is inactive. 4. In immunohistochemical findings, proliferative positive cells by PCNA antibody appeared more in number during early stages of gestation but appeared less following course of pregnant stages and not nearly appeared on day 120 of gestation. Apoptotic positive cells by TUNEL methods not nearly appeared on the early pregnant stages and a few appeared at late pregnant stages. So developments of CL proceed until day 120 of gestation and regression of CL was occurred by transform of luteal cells into fibrocytes than by luteal cell apoptosis. 5. In electron microscopical findings, the size of luteal cells increased more in CL verum than in CL spurium. During gestation stages, the size of luteal cells increased, mitochondria in the luteal cell cytoplasms densely and abundantly developed and also swelled mitochondria increased. The interspace of luteal cells are also dilated, transformation of luteal cells into fibrocytes are more number. The lumens and walls of peripheral capillaries of large luteal cells more broadened and thickened, and transformation of large and small luteal cells to fibrocytes are increased. The above findings suggest that function of pregnant CL more developed by day 120 of gestation and are most active around day 200 of gestation and similarly maintained by day 240 and are promptly regressed on paturation day.

Mean Shift 분석을 이용한 그래프 컷 기반의 자동 칼라 영상 분할 (Graph Cut-based Automatic Color Image Segmentation using Mean Shift Analysis)

  • 박안진;김정환;정기철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6권11호
    • /
    • pp.936-946
    • /
    • 2009
  • 그래프 컷(graph cuts) 방법은 주어진 사전정보와 각 픽셀간의 유사도를 나타내는 데이터 항(data term)과 이웃하는 픽셀간의 유사도를 나타내는 스무드 항(smoothness term)으로 구성된 에너지 함수를 전역적으로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최근 영상 분할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기존 그래프 컷 기반의 영상 분할 방법에서 데이터 항을 설정하기 위해 GMM(Gaussian mixture model)을 주로 이용하였으며, 평균과 공분산을 각 클래스를 위한 사전정보로 이용하였다. 이 때문에 클래스의 모양이 초구(hyper-sphere) 또는 초타원(hyper-ellipsoid)일 때만 좋은 성능을 보이는 단점이 있다. 다양한 클래스의 모양에서 좋은 성능을 보이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mean shift 분석 방법을 이용한 그래프 컷 기반의 자동 영상분할 방법을 제안한다. 데이터 항을 설정하기 위해 $L^*u^*{\upsilon}^*$ 색상공간에서 임의로 선택된 초기 mean으로부터 밀도가 높은 지역인 모드(mode)로 이동하는 mean의 집합들을 사전정보로 이용한다. Mean shift 분석 방법은 군집화에서 좋은 성능을 보이지만, 오랜 수행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특징공간을 3차원 격자로 변형하였으며, mean의 이동은 격자에서 모든 픽셀이 아닌 3차원 윈도우내의 1차원 모멘트(moment)를 이용한다. 실험에서 GMM을 이용한 그래프 컷 기반의 영상분할 방법과 최근 많이 이용되고 있는 mean shift와 normalized cut기반의 영상분할 방법을 제안된 방법과 비교하였으며, Berkeley dataset을 기반으로 앞의 세 가지 방법보다 좋은 성능을 보였다.

공원녹지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추가녹지 조성 우선순위 선정 (Selection of the Priority Order for Additional Green Spaces for Urban Park and Green Network)

  • 사공정희;나정화;조현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10-21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classify areas demanding to be transformed to green spaces and evaluate their grades for urban park and green network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below; 1. The results of the classified green spaces in the research areas fall into three types including children parks, neighborhood parks, and public green spaces. The three types of green spaces were analysed with recreational indexes. The zones disturbing the green-networks were sorted out. These zones should be changed into a supplementary green spaces for improving the recreational functions in the city. 2. For urban park and green networks, distances between the parks and size of the parks were adopted as indices. Based on the index of distances between the parks, disturbing zones were evaluated with 3 grades. The first grade includes primary industrial complexes and housing complexes. The second grade was observed mostly in industrial complex areas. The third grade includes housing complexes. Based on the indexes of size of parks, disturbing zones were evaluated with 2 grades. In the case of grade I, it appeared in housing complex. In the case of grade II, it appeared in industrial complex. 3. Then, we prioritized the disturbing zones with severity in order to make supplementary green spaces. Through the process, the zones of the grade I for two each recreational index were evaluated to two grades. The analysis results of evaluated zones were that grade II appeared over industrial and housing complexes widely. Grade I appeared over housing complexes. 4. It is necessary that the grade of disturbing zones should be considered as an order to make green spaces to supplement a green-network. For this, we formed a basic frame of a green-networks in Dalsu-Gu and placed the disturbing zones on the basic frame of a green-network. Consequently, The results were that the green-networks in Dalsu-Gu was composed on four green-network axes and its shape mirrored a cruciform (+) of northwest$\leftrightarrow$southeast direction and southwest$\leftrightarrow$northeast direction.

사용자 측면에서의 디자인 변수로 작용하는 반달리즘 -Vandalism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effects of Vandalism as a design variance on Users)

  • 최성운;김경배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4호
    • /
    • pp.33-46
    • /
    • 2002
  • 현대 사회는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산업과 사회적인 모든 법규가 일반성 또는 평균성을 추구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그 평균화 속에 들어가지 못하는 사람들의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처럼 자신들이 생각하는 평균화에 들어가지 못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위치와 자신의 존재에 대하여 회의심을 가지게 되며, 이를 해소하기 위한 사회적 일탈은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공공 장소 또는 아무도 보이지 않는 곳에서 지속적으로 자행되고 있으며 이를 반달리즘이라 한다. 생활 주위에서 발생하고 있는 반달리즘의 현상에 대하여 자주 접하게 되었으며 이를 통하여 반달리즘의 발생 원인과 결과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해 디자인 과정에서 반달리즘을 대비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인간 공학적 디자인과, 단순한 형태의 디자인, 제품 의미론을 적용한 디자인, 재사용이 가능한 디자인 접근이라는 방향으로 정리하게 되었으면, 증가하고 있는 반달리즘을 방어할 수 있다는 방법으로서 제시 될 수 있었다. 다시 말해서 디자인 관점에서 반달리즘 현상은 제품을 디자인 할 때 적용되는 인간공학적 또는 유저 인터페이스 측면의 결여, 제품의 단순한 구조의 실현의 실패, 과도한 기능을 부여함으로서 발생되는 복잡성에서 비롯된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다. 또한 산업 디자인이 사회발전 기여라는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반달리즘을 방어하는 디자인의 생산은 바로 건강한 사회 발전의 중요한 역할을 하게되는 것을 의미한다.

  • PDF

관상학에 근거한 성격유형별 무대 분장디자인 모형 연구 -눈썹과 눈 디자인을 중심으로- (Model for stage make-up design by personality types based on Physiognomy - Focused on eyebrows and eyes make-up design -)

  • 전인미;이혜주
    • 디자인학연구
    • /
    • 제20권1호
    • /
    • pp.273-286
    • /
    • 2007
  • 공연예술은 다양한 영역의 예술 분야가 총체적으로 결합된 장르이다. 무대 분장은 이러한 종합 예술기능의 한 요소이며 배우의 모습을 극중 등장인물로 변화시키고 시각적으로 확대 시켜주어 관객들에게 필요한 성격적 사실을 이해시키는 중요한 의사전달 수단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극의 내용에 부응하는 극중 인물의 창조적인 분장을 위해서는 의도된 성격과 부합되는 시각적 표현을 위한 분장디자인의 입체적 연구가 필요하다. 하지만 아직도 등장인물의 성격 분장디자인 제작 시 보편적인 기준이 되는 성격 유형별 근거가 거의 없으므로 추상적 감각에 의존하거나 주관에 치우친 개인적 기술 능력으로 디자인을 하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논문에서는 특히 분장디자인에서 중요한 "눈과 눈썹디자인"을 중심으로 이론적이고 보편적인 심리학적 성격유형을 극중 인물에 적용시킬 수 있는 성격유형으로 재구성하여 제시하고, 그에 따른 관상학에 근거한 기본적인 외형적 특징을 분석하여, 인물 성격의 표현을 위한 디자인의 틀을 구축함으로써 분장디자인 시 이를 바탕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창조적이고 구체적인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분장디자인 제작 시 극중 인물의 성격을 이해하고 그 성격을 배우의 얼굴형에 맞게 표현하는 데 있어 보편적이고 체계화된 분장디자인 모형을 구축함으로써 실제 분장 디자인에 적용시키는데 그 의의를 가진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