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allow underground

검색결과 154건 처리시간 0.029초

천심도 절리 암반 중에 굴착된 지하 냉장저장 공동의 안정성 해석 (Stablility Analysis of Underground Cold Storage Openings in Shallow Jointed Rocks)

  • 김호영;박연준;한공창;박의섭;선경건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7권1호
    • /
    • pp.58-64
    • /
    • 1997
  • A pilot plant of underground cold storage for food has been excavated as a R&D program. For the stability assessment of underground cold storage opeinengs in shallow jointed rocks, three kinds of stability problems were analyzed by numerical methods. For the analysis of unstability by rock block movements, DEM was used considering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of rock joints. Concerning thermally induced cracking, FDM was used with thermomechanical stress analysis. Finally, in order to evaluate the joint failure during the thawing process, BE algorithm was applied. Numerical examples applied for the pilot plant show that the possibility of unstable failure of opeings exists but can be avoided with proper rock reinforcements provided.

  • PDF

Behaviour of Shallow Foundations Subjected to Blast Loads and Related Liquefaction

  • Ritika, Sangroya;Choudhury, Deepankar;Park, Young Jin;Shin, Eun Chul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8권10호
    • /
    • pp.5-14
    • /
    • 2017
  • In recent years, world has witnessed many man-made activities related to both above and underground blasts. Details on behaviour of shallow foundations subjected to blast loads and induced liquefaction is scarce in literature. In this paper, typical shallow strip foundation in saturated cohesionless soils subjected to both above and underground blasting have been simulated by using finite difference based numerical model FLAC3D. Peak particle velocity (PPV) has been obtained to propose critical values for which bearing capacity failure for shallow foundations with soil liquefaction can occur. Typical results for pore pressure ratio (PPR) for various scaled distances are compared to PPR values obtained by using empirical equation available in literature which shows good agreement. Critical design values obtained in the present study for PPV and PPR to estimate the scaled distance, bearing capacity failure and liquefaction susceptibility can be used effectively for design of shallow strip foundation in cohesionless soil subjected to both above and under ground blast loads.

저심도철도용 선형유도전동기의 공극 불균일 과도특성 분석 연구 (A Study on Transient Analysis of Linear Induction Motor with Ununiform Airgap for Shallow-depth Underground Train)

  • 이형우;박찬배;원성홍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2권5호
    • /
    • pp.723-729
    • /
    • 2013
  • This paper presents an parallel type Linear Induction Motor with ununiform airgap for a shallow-depth underground train with 100‰ grade and 15 m curvature. This parallel type LIM has enough gradability but has inherently ununiform airgap between center and end parts. Consequently, performance when the train passes curved section should be considered with transient analysis. Moreover, general parallel operation, 1C2M which is usually used for train operation, deteriorates LIM performance because of different line velocity between inner and outer LIMs. Transient analysis has many problems such as huge model, lots of meshes, very long calculation time, truncation error and so on. This paper has presented a novel technique using equivalent linear rotating model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nd has analyzed parallel type LIM by using the proposed technique. Finally, LIM performance according to independent operating control has been investigated.

고심도 지반환경 조사 - 비파괴 물리탐사의 적용 (2) (GEOTECHNICAL ENVIRONMENT SURVEY (2))

  • 손호웅;이승희;김형수
    • 지구물리
    • /
    • 제6권4호
    • /
    • pp.261-268
    • /
    • 2003
  • 지하의 수없이 매설된 지하매설물의 효율적인 관리는 도시의 원활한 운영을 위한 중요과제가 되어가고 있다 지하 매설물의 위치 및 깊이를 조사하기 위한 지구물리탐사방법으로서 GPR탐사 및 유도전류탐사 등이 주로 적용되고 있으나 가탐심도가 매우 낮으며 지하매질이 불균질 하거나 점토 염분 자갈 등의 지반 및 전자기적 잡음이 심한 곳에서는 조사가 안 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지반조건 및 고심도 때문에 지하매설물을 탐지할 수 없는 지역에서 지하매설물 탐지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비파괴적인 전자탐사기법으로서 고주파수대역 전자탐사법을 적용하였으며 광역상수관이 천부 및 심부에 다수 매설되어 있으나 열악한 지반환경 때문에 물리탐사방법으로 지하매설물의 탐지가 여의치 않은 지역에 고주파수대역 전자탐사법의 효용성 확인을 위해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기존의 지구물리탐사방법으로는 위치확인을 할 수 없었던 지하매설관에 대해서 고주파수대역 전자탐사법의 적용은 매우 성공적이었으며 비저항값을 함께 유추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고주파수대역 전자탐사법은 고심도 지하매설물의 정밀 지구물리탐사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문화재유물 등의 조사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철도교량 설계 지반조사를 위한 고분해능 수면 탄성파반사법의 응용 사례 (High Resolution Hydroacoustic Investigation in Shallow Water for the Engineering Design of Railroad Bridge)

  • 김중열;;김유성;김기석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1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31-238
    • /
    • 2001
  • To investigate the underground structure of shallow water, Han-river near Yangsou-Ri, high resolution hydroacoustic measurements were carried out for the engineering design of railroad bridge. The acoustic source was a Boomer with an energy of 90 to 280J and in a frequency range up to about 16KHz. The reflected signals were received by using both traditional hydrophones(passive element) and a specially devised receiver unit(active element) mainly composed of piezofilms and preamplifier. They are connected to the "SUMMIT" data acquisition system(DMT-GeoTec company), where the sampling interval was set to 1/32㎳. The source position was continuously monitored by a precision DGPS system whose positioning accuracy was on the order of loom. For the quality control purposes, two different source-receiver geometries were taken. That is to say, the measurements were repeated along the profile everytime depending on the different source energy(175J, 280J), the receiving elements(passive, active) and two different source-receiver geometries. It was shown that the data resolution derived from a proper arrangement with the active hydrophone could be greatly enhanced and hence the corresponding profile section caused by the regular data processing system "FOCUS" accounted excellently for the underground formation below the shallow water.w the shallow water.

  • PDF

굴진장을 고려한 얕은 터널파괴거동에 대한 모형실험 및 수치해석 (Model Test and Numerical Analysis for Failure Behaviour of Shallow Tunnel Considering Unsupported Tunnel Length)

  • 김영민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5권6호
    • /
    • pp.400-410
    • /
    • 2005
  • 토사지반에서 얕은 터널을 굴착하는 경우, 터널 막장부의 파괴 메카니즘이 터널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논문에서는 일련의 굴진장을 고려한 2차원 종 방향 터널 모형 실험을수행하였다. 그 결과 얕은 터널의 파괴 메카니즘은 굴진장이 길어질수록 파괴모드 1에서 파괴모드 2로 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모형실험결과와 수치해석을 비교하여 터널에 작용하는 최소 지보압과 진행성 파괴 거동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Design of initial support required for excavation of underground cavern and shaft from numerical analysis

  • Oh, Joung;Moon, Taehyun;Canbulat, Ismet;Moon, Joon-Shik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7권6호
    • /
    • pp.573-581
    • /
    • 2019
  • Excavation of underground cavern and shaft was proposed for the construction of a ventilation facility in an urban area. A shaft connects the street-level air plenum to an underground cavern, which extends down approximately 46 m below the street surface. At the project site, the rock mass was relatively strong and well-defined joint sets were present. A kinematic block stability analysis was first performed to estimate the required reinforcement system. Then a 3-D discontinuum nume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apacity of the initial support and the overall stability of the required excavation, followed by a 3-D continuum numerical analysis to complement the calculated result. This paper illustrates the application of detailed numerical analyses to the design of the required initial support system for the stability of underground hard rock mining at a relatively shallow depth.

민감도 분석을 통한 주열식벽체가 저토피 토사터널 거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Influence analysis of continuous pile walls on the behavior of a soil tunnel at the shallow depth through a parametric study)

  • 유광호;윤우진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75-89
    • /
    • 2014
  • 최근 세계 여러 나라에서는 지하공간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저심도 굴착의 경우 대부분 개착식 굴착공법을 적용하는데, 극심한 교통 체증 및 인접구조물의 불안정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저토피 토사구간에서 충분한 안정성을 확보하고 공사기간을 최소화하며 터널을 굴착할 수 있는 M-CAM공법(Modified Cellular Arch Method)이 제안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M-CAM공법 적용 시 주열식 수직연속벽체(Continuous Pile Wall, CPW)의 규격 및 지반조건이 터널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민감도분석을 수행하였다. 우선 터널의 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매개변수로는 수직연속벽체의 근입깊이, 직경, 측압계수 그리고 지반상태를 선정하였다. 한편 수치해석을 위해서, 유한차분법에 기초를 둔 FLAC 2D가 이용되었다. 본 연구결과 수직연속벽체의 규격 중 근입깊이가 터널 안정성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되었다.

천부 지열에너지로서의 지하 열에너지 저장 기술 동향 (Status of Underground Thermal Energy Storage as Shallow Geothermal Energy)

  • 심병완;이철우
    • 자원환경지질
    • /
    • 제43권2호
    • /
    • pp.197-205
    • /
    • 2010
  • 최근 급격한 기후변화가 세계적 또는 국지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지구온난화에 대한 대책으로 $CO_2$ 저감 기술들이 중요한 해결책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 기술들에 대한 한 방법으로서 대체에너지를 개발하고 있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천부 지하 열에너지 저장 (UTES: underground thermal energy storage)은 신뢰성 있는 냉난방 기술로 적용되어 왔다. 천부의 토양이나 암반, 대수층내 지하수 및 지하공간내 저장된 유체 등의 열 에너지원을 이용하는 지열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열에너지의 회복과 저장의 개념을 기반으로 한다. 아직 국내에서는 이러한 기술 개발이 기초적이지만 지속적인 연구들을 수행한다면 보다 친환경적이며 경제성 및 효율이 높은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국내 지반은 대수층이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므로 수리지열학적 특성을 활용한 고효율의 시스템 개발이 용이하다. 그러나 UTES에 대한 이해 부족 및 제도적 문제들로 다양한 시스템이 개발되지 못하고 국내에는 90% 이상이 단편적인 폐회로형 지열시스템으로 보급되고 있다. 비효율적인 지열시스템의 보급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지반의 수리 지열학적 특성을 반영한 선진화된 UTES 시스템들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개선된 시스템 보급을 위하여 국제적인 협력이 필수적이며, 지속적인 UTES 연구를 통하여 천부 지열시스템의 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고심도 지중매설물의 지하측랑을 위한 비파괴 정밀 전자측량 (Non-Destructive Precise Electromagnetic Surveying for the Deep Underground Utilities)

  • 손호웅;이강원;김형수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09-121
    • /
    • 2003
  • 지하에는 수많은 각종 시설물이 매설되어 있으며, 이러한 지하매설물의 효율적인 관리는 도시의 원활한 운영을 위한 중요과제가 되어가고 있다. 지하에 매설된 각종 시설물의 위치 및 깊이를 조사하기 위한 지하측량법으로 GPR(Ground Penetrating Radar)탐사 등이 주로 적용되고 있으나, 가탐심도가 매우 낮으며, 지하매질이 불균질하거나 점토, 염분, 자갈 등의 지반 및 전자기적 잡음이 심한 곳에서는 조사가 안 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지반조건 및 고심도 때문에 지하매설물을 측량을 할 수 없는 지역에서 지하매설물의 지하측량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비파괴적인 전자탐사기법으로서 '고주파수대역 전자탐사법'을 개발하였으며, 광역상수관이 천부 및 심부에 다수 매설되어 있으나 열악한 지반환경 때문에, 그 어느 지하측량법으로도 지하매설물을 측량할 수 없는 지역에 고주파수대역 전자탐사법의 효용성 확인을 위해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기존의 지하측량방법으로는 위치확인을 할 수 없었던 지하매설관에 대해서 고주파수대역 전자탐사법의 적용은 매우 성공적이었으며, 지반정수를 함께 유추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지하측량법은 지하매설물의 정밀 지하측량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문화재유물 등의 조사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