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ade matching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5초

광중합형 복합레진과 shade guide의 색차에 관한 연구 (A Spectrophotometric Study on Color Differences between Various Light-Cured Composite Resins and Shade Guides)

  • 임경민;이민호;송광엽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5권1호
    • /
    • pp.13-22
    • /
    • 2009
  • 심미적인 특성을 가진 복합레진은 전치부 수복용 재료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복합레진 수복 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색조의 선택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현재 대부분의 수복용 복합레진은 Vita Lumin 색조견본(shade guide)이나 각각의 회사에서 제공하는 색조견본을 사용하고 있으나, 색조 견본 사이의 색차와 수복물과 견본 사이에 색차가 예상되어 그 차이를 규명하여 임상적인 선택 시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4종의 광중합 복합레진(Gradia Direct (GD), Z250 (Z250), Clearfil AP-X (AP-X), $Esthet{\cdot}X$ ($E{\cdot}X$))과 A2와 A3의 색조 견본을 사용하였다. 각 재료마다 3개의 시편과 1개의 색조 견본을 제작하였다. Teflon 주형(깊이 1.35 mm, 직경 8 mm)에 각각의 복합레진을 채우고 응축한 후에 중합하여 젖은 사포로 연마하였다. 색조 견본을 연마용 stone과 고무를 이용하여 1.35 mm 두께로 연마하였다. 컴퓨터에 의해 조절되는 spectrophotometer(color i5, GretagMacbeth, USA)를 이용하여 시편과 색조견본의 색의 특성을 CIELAB coordinates ($L^*$, $a^*$, $b^*$)로 평가하였다. CIELAB 계측을 통하여 복합레진과 색조 견본의 색차(${\Delta}E^*ab$)를 비교 평가 하였다. 광원으로는 CIE standard D65를 사용하였다.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동일한 shade로 설계된 여러 제조회사의 복합레진 시편의 $L^*$, $a^*$, $b^*$ 값 간에 유의할 만한 수준의 차이를 나타냈다(p<0.05). 2. 동일한 shade로 설계된 여러 제조회사의 복합레진 시편 간에 대부분 육안으로 인지할 만한 색차(${\Delta}E^*ab>3.3$)값을 나타냈다. 3. 동일한 shade로 설계된 여러 제조회사의 복합레진과 제조회사에서 제공되는 shade guide 및 Vita Lumin shade guide 간에 대부분 육안으로 인지할 만한 색차(${\Delta}E^*ab>3.3$)값을 나타냈다. 4. 임상에서 보다 나은 색 조화를 얻어 심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실제 수복물로 제작한 custom shade guide의 제작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제조사에 의해 제공되는 색조 견본이나 Vita Lumin 색조 견본은 임상의에게 복합레진의 색조 선택 시에 정확한 기준을 제공하지는 않았고, 대부분의 제품에서 인지할 수 있는 색차가 있었다. 그러므로 보다 나은 색조 선택을 위해 수복용 레진으로 제작한 맞춤형 색조 견본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Comparison of different digital shade selection methodologies in terms of accuracy

  • Nursen Sahin;Cagri Ural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6권1호
    • /
    • pp.38-47
    • /
    • 2024
  • PURPOSE.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accuracy of different shade selection techniques and determine the matching success of crown restorations fabricated using digital shade selection techniques. MATERIALS AND METHODS. Teeth numbers 11 and 21 were prepared on a typodont model. For the #11 tooth, six different crowns were fabricated with randomly selected colors and set as the target crowns. The following four test groups were established: Group C, where the visual shade selection was performed using the Vita 3D Master Shade Guide and the group served as the control; Group Ph, where the shade selection was performed under the guidance of dental photography; Group S, where the shade selection was performed by measuring the target tooth color using a spectrophotometer; and Group I, where the shade selection was performed by scanning the test specimens and target crowns using an intraoral scanner. Based on the test groups, 24 crowns were fabricated using different shade selection techniques. The ΔE values wer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CIEDE2000 (2:1:1) formul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a one-way analysis of variance. RESULTS. For the four test groups (Groups C, Ph, S, and I), the following mean ΔE values were obtained: 2.74, 3.62, 2.13, and 3.5, respectively.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e test groups. CONCLUSION. Although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shade selection techniques, Group S had relatively lower ΔE values. Moreover, according to the test results, the spectrophotometer shade selection technique may provide more successful clinical results.

도재 보철물 색조의 처방에 관한 고찰 (A study on ceramic shade prescriptions for work authorizations)

  • 성환경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77-183
    • /
    • 1988
  • This paper aims to examine ceramic shade prescriptions for work authorizations in all its aspectclincal information, recording information, technical considerations, extended application, practical applicat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basic application provides essential data for ceramic veneer fabrication. 2.Three-dimensional information divides the space for body and enamel components. 3. The second body shade selection improves shade matching in the middle one-third of the tooth and enhences the appearance of the enamel component. 4. Ceramists are encouraged to recognize the influence each component has upon the total shade composition. 5. A format is established for recording clinical information. 6. The use of available ceramic systems is seemingly unlimited. The method presented provides flexisility for recording the most detailed shade information in simple graphic and verbal terms. 7. Technical simplification is a by-product of complete, precise work information.

  • PDF

육안과 분광 측정기를 이용한 자연 치아의 색조비교분석 (Shade comparative analysis of natural tooth measured by visual and spectrophotometric methods)

  • 김범석;신수연;이종혁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443-454
    • /
    • 2008
  • 도재 수복물 제작을 위해 자연치아의 색조를 분석하는 방법으로는 색견본 (shade guide)을 이용하는 시각적인 방법과 기계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중 통상적인 육안 관찰을 통해 색조를 선택하는 것은 임상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방법이기는 하나 주관적이며 일관되지 않은 결과로 신뢰성의 문제가 제기되었으며 자연치의 색조는 매우 다양하여 같은 치아라 할지라도 부위별로 다양한 색조를 가지기 때문에 단순히 shade tab을 이용한 색조 비교만으로는 정확한 치아의 색조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지속적인 기술발달로 computer color matching system, 치과용 비색계, 분광 측정기 등의 기계를 이용한 치아 색조 측정 방법이 이의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기계를 이용한 방법은 색조 선택에 있어 객관적이며, 재현성이 있는 정확한 정보를 술자에게 제공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광원, 개인, 술자의 숙련도에 따라 육안과 기계를 통한 관찰 시 치아 색조 선택의 정확성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시행하였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치과대학병원 전공의인 1명의 검사자가 10명의 피검자를 오전, 정오, 오후 각 3번의 측정을 통해 시간대별 자연광하에 육안, 기계 측정의 색조 선택 정확성을 분석하였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5명의 치과대학병원 전공의와 5명의 치과대 학생, 총 10명의 검사자가 10명의 피검자를 정오에 육안, 기계 관찰을 통해 개인차에 따른 정확성을 실험하였다. 세 번째 실험에서는 두 번째 실험의 결과를 5명의 치과대학 전공의, 5명의 치과대학생 군으로 나누어 숙련도에 따른 육안, 기계 색조 선택의 정확성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첫 번째 실험에서는 기계 측정 결과가 육안 측정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P < .05) 색조 선택의 정확성을 나타내었고, 두 번째 실험에서 역시 기계 측정시 개개인의 육안 측정에 의한 색조 선택 값에 비해 재현성 및 정확성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 < .05). 세 번째 실험에서 이전 실험의 결과를 숙련자, 비숙련자 군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군 내 기계 측정값이 육안 관찰값보다 숙련도에 상관없이 정확도가 높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 < .05). 하지만 군 간 육안, 기계 측정값을 비교 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치아 색조를 육안, 기계 측정할 때 술자의 숙련도가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기계를 이용하는 치아 색조 측정 방법이 색견본을 이용하는 시각적인 방법에 비해 더 정확하기는 하지만 어느 정도의 측색 오류를 고려해야하며 수복물 제작 시 정확한 재현과 효과적인 정보 전달을 위해 시각적인 방법과의 병행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광중합 전후 복합레진의 광학적 특성 (Optical characteristics of resin composite before and after polymerization)

  • 엄아향;김덕수;이수희;변창원;박노훈;최경규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6권3호
    • /
    • pp.219-230
    • /
    • 2011
  • 연구목적: 복합레진의 광중합 전후에 일어나는 색과 투명도 변화를 측정하고, CQ의 함량을 정량하였으며, 광중합 전후 복합 레진의 굴절률을 측정해 이들의 상관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Esthet-X, Filtek supreme, Gradia Direct, Clearfil Majesty, Beautifil II에 대하여 Colorimeter NF999를 이용하여 광중합 전후의 색과 투명도를 각각 측정하고, GC-MS를 이용해 각 복합레진의 CQ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spectroscopic ellipsometer를 이용해 광중합 전후의 굴절률을 측정하였다. 결과: 투명도는 광중합 후에 증가하였고, body shade에서 opaque shade보다 투명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모든 레진에서 body shade의 CQ 함량이 opaque shade의 CQ 함량보다 높았다. 굴절률은 광중합 후에 모든 레진에서 증가하였으며, body shade와 opaque shade간에 굴절률의 변화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광중합 후에는 복합레진의 색과 투명도가 상당한 차이를 나타낸다. 따라서 임상에서 direct shade matching을 시행할 때는 중합된 레진을 사용하여야 한다.

Shade guide의 형태가 색상 결정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SHADE GUIDE DESIGN ON COLOR HATCHING)

  • 박걸;김동준;이시은;황윤찬;오원만;황인남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0권3호
    • /
    • pp.170-177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shade guide를 이용하여 치아의 색상을 결정하는데 있어 shade guide의 형태가 미치는 영향을 평가 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8가지 서로 다른 색상 code (Al, A2, Bl, B2, B3, C2, C3, D3)를 사용하는 광중합 복합레진 (Esthet-X, Dentsply, USA)을 이용하여 각 색상마다 상악 중절치 모형, 치아형 shade guide, 도넛형 shade guide, 및 회색 shield를 포함하는 shade guide를 제작하고 무작위로 기호를 부여하였다. 제작된 치아 모형을 배열하고 전남 대학교병원 치과 진료처에 근무하는 19명의 수련의와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2, 3학년 학생 65명을 대상으로 회색 배경 판과 D$_{65}$ 표준광 하에서 각 치아의 색상과 일치하는 shade guide를 선택하게 하였다. 연구 결과 Bl 색상은 실험에 적용한 3가지 형태의 모든 shade guide에서 약 95%의 가장 높은 정확도를 보였으며 , 색상간 색차가 가장 적은 B2와 C2는 3가지 형태의 모든 shade guide에서 서로 비슷한 정도의 교차 선택율을 보였다. 또한 관찰자에 상관없이 치아 형태의 shade guide는 가장 높은 정확도를 보인 반면 (p < 0.05), 도넛 형태의 shade guide는 가장 낮은 정확도를 보였다 (p <0.05).

Color Stability and Surface Roughness of Single-Shade Composite Resin after Finishing and Polishing

  • Hyewon Shin;Haeni Kim;Minho Hong;Juhyun Lee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197-207
    • /
    • 2024
  •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color stability and surface roughness of the single-shade composite resin after finishing and polishing for primary molars. A single-shade composite resin (OM, OMNICHROMA) and two multi-shade composite resins (FT, FiltekTM Z350XT; ES, ESTELITE® SIGMA QUICK) were included. The specimens were divided into three subgroups using different polishing methods: control, Sof-Lex XT, and Sof-Lex Diamond. For color stability tests, cavities were prepared on extracted primary second molars and restored with experimental composite resins. Each specimen was immersed in the coffee solution for 48 hours. The color difference of each specimen was calculated. For surface roughness tests, cylindrical specimens were crafted with experimental composite resins. Surface roughness was analyzed using an atomic force microscope and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In the color stability tests, FT demonstrated a significantly lower ΔEab than ES among the control group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ΔEab values of OM and FT or OM and ES. Additionally,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Sof-Lex XT and Sof-Lex Diamond subgroups in the three composite groups. Moreo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rface roughness were found between the three composite groups, regardless of the polishing methods. The single-shade composite resin demonstrated comparable color stability and surface roughness to that of the multi-shade composite resins regardless of the polishing methods used in restoring primary molars. The single-shade composite resin is expected to be applicable in clinical pediatric dentistry reducing chair time due to the easy shade matching procedures.

치과 종사자간의 색조 식별 능력 (SHADE PERCEPTION ABILITY AMONG DIFFERENT DENTAL PERSONNEL)

  • 김자영;이임기;윤태호;안승근;박찬운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55-465
    • /
    • 2006
  • Statement of problem: Many factors influence shade determination in clinical practice and shade matching is highly affected by the viewing conditions. Purpose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shade perception among distinct groups of dental personnel (10 prosthodontists, 10 general practitioners, 10 last-year dental students and 10 dental technicians) Material and method: Four groups of dental personnel were investigated. They were tested to eliminate color blindness. To compare shade selection ability, they were asked to match four test tabs of shades A3, B2, C2 and D4 (VITAPAN$^{(R)}$ Classical shade guide. The identification codes of the shade tabs were masked to prevent shade memory. ) against another full set of VITA$^{(R)}$ PAN$^{(R)}$ Classical shade guide under similar lighting conditions. Shade selections were randomly repeated five times every week and then the repeatability between dental personnel was evaluated. To compare value perception ability, they were asked to arrange randomly selected five test tabs (Bl, A2, D2, C3, A4) in descending order from the brightest to the darkest. To compare hue determination ability, they were asked to divide selected eight test tabs (n, A3, B2, B3, C2, C3, D2, D3) into four groups by manufacturer as follows : Group A-Reddish brown, Group B-Reddish yellow. Group C-Grey. Group D-Reddish grey. Results and conclusion :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 1. For the value perception ability and hue determination abilit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4 groups: prosthodontists, general practitioners, dental students, dental technicians (P>.05). 2. For shade selection ability, the prosthodontists and dental technician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dental students(P<.05). 3. The repeatability of selected shade in the dental technician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general practitioners and dental students(P<.05). 4. The prosthodontists and dental technicians had significantly higher selection ability than dental students for shade B2 (P<.05).

복합 레진을 이용한 자연치 색상의 재현

  • 황인남
    • 대한치과보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치과보존학회 2004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121회) 초록집
    • /
    • pp.333-333
    • /
    • 2004
  • 복합 레진을 이용한 심미 수복 시 접하게되는 어려움 중의 하나는 한정된 색상과 일정한 광학적 특성을 가진 복합 레진을 이용하여 각각 서로 다른 광학적 특성을 보이는 다양한 치아들의 색조를 재현하는 것이다. Shade matching을 시행하는 첫 과정부터 술자의 시각적 판단에 의존해야하고 판단에 사용하는 shade guide들도 이미 제공되고 있는 한정된 색상만 비색이 가능하기 때문에 shade guide에 존재하지 않은 색은 술자의 경험과 추측에 의해 결정되어 진다. 최근 컴퓨터나 측색기를 치과 영역에 도입하여 치아의 색을 측정하고자하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기를 이용한 측색의 결과도 다양한 인자들의 영향을 받게되며, 비록 인간의 눈을 통해 이루어지는 비색보다는 일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하더라도 현재 치과계에서 사용하는 색상 표현 방법으로는 이렇게 기기를 이용해 측정된 결과값을 활용할 수 없게되는 문제점을 지닌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