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xual violence

검색결과 286건 처리시간 0.027초

한국에서의 범죄피해자 지원에 관한 연구 개관 및 방향제안 (A Critical Review of Research Studies on Crime Victim Support in Korea)

  • 강알리샤;장은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451-45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한국 내 범죄피해자 지원에 관한 연구들을 개관하고 동향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KERIS, KISS 및 NANET에 등록된 학술지를 대상으로 '범죄피해자 지원', '범죄피해자 개입', 'Victims of Crime Support'의 키워드로 검색된 논문 중 선정기준을 충족하는 최종 314개의 문헌을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물의 수는 범죄피해 관련법과 대책이 발표된 이후 사회적 논의가 활발해지는 기점을 중심으로 증가해오다가 최근 2년간 다시 감소된 양상을 보였다. 연구 방법에서는 질적 연구가 대부분이며, 연구주제로는 법률 및 정책과 관련된 연구수가 가장 많았다. 범죄피해유형에서는 성폭력, 가정폭력 관련 연구물이, 범죄피해 소수집단 연구대상으로는 아동 및 청소년이 가장 많았다. 마지막으로, 범죄피해자지원 기관에서 이루어진 연구 중, 심리적 지원과 관련된 연구들의 빈도수가 상대적으로 적었다. 본 연구는 향후 범죄피해자 지원연구 중 심리적 지원과 관련된 실증경험연구들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북미 공공도서관계 정신건강 지원서비스의 경향과 특성 (A Study on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Mental Health Services in the Public Libraries of North America)

  • 이연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51-76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북미지역을 중심으로 공공도서관의 정신건강 관련 지원서비스의 경향과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와 관련한 데이터는 문헌연구와 밴쿠버 공공도서관을 사례로 하는 관찰과 면담을 통해 수집되었다. 그 결과, 지역주민의 정신건강문제에 대한 도움요청과 이에 대한 공공도서관의 지원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공공도서관은 국가적 비극이나 자연 재난이 발생하였을 때 겪게 되는 주민들의 충격과 불안, 스트레스를 극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한시적 서비스를 비롯하여 독자상담과 정보서비스의 일환으로 지역주민의 정신건강문제를 일상적으로 지원하고 있었다. 특히 어린이청소년의 성장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문제(입양, 이혼, 재혼, 별거가족, 친구, 장애, 죽음, 자아존중, 정서, 왕따, 폭력, 학대, 자살, 질병, 중독, 성문제, 청소년임신 등)와 관련한 지원이 활발하였다. 또한 이러한 서비스에서 사서들의 핵심적 역할은 특정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적합한 책을 선정하여 추천하며, 관련 전문기관을 안내하고 연결해주는 데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청소년 성장발달자산의 건강위험행태 방어효과 (The Protective Effects of Development Assets on Health Risk Behaviors among Korean Adolescents)

  • 이명순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37-154
    • /
    • 2005
  •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ositive effects of developmental assets on the prevention of health risk behaviors among Korean adolescents. The framework of developmental assets was introduced as building blocks for healthy child and adolescent development by Benson and his colleagues. These assets represent positive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and internal personal qualities which strongly influence the quality of life of adolescents. Methods: In 2001, we administered self-reported questionnaires to 3,739 girls and boys in grade 9 at eight schools in two cities, Chinju and Suwon in South Korea. The data was compiled into a 'Korean Youth Health Related Behaviors and Developmental Assets Survey' and then analyzed Youth health risk behaviors, which we measured in terms of their frequency, included tobacco, alcohol, and substance use, sexual intercourse, anti-social behaviors, violence, feelings of social isolation at school, depression or attempted suicide, absenteeism from school, gambling. Results: Overall, with respect to developmental assets, the Korean adolescents surveyed only 12.6 of the 40 assets, and 88 percent of adolescents had 20 or fewer of the assets. Based on their number of developmental assets(DA), adolescents wer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Group I(DA 0-10): Group II(DA 11-20): Group III(DA 21-30): Group IV(DA 31-40). We examined the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each health risk behavior across the four groups, Group I-IV, and found that the frequency of most health risk behaviors decreased as the number of developmental assets increased. Conclusion: We therefore concluded that in order to make effective approaches for the prevention of health risk behaviors among adolescents, we should consider and develop more comprehensive and adolescents-based policy and programs to promote various aspects of adolescents' health and quality of life.

보육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직무환경의 인식 차이 (The Difference of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on the Working Environment by Social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 형근혜;박옥임;강희순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85-298
    • /
    • 2010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eachers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working environment of teachers working in child-care centers and to investigate which variables of the working environment relate to job satisfaction of child-care teacher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arried teachers are more satisfied with the job itself, supervision, and colleague relations compared to teachers who are not married. Teachers with certificates are more satisfied with the job itself compared to teachers without certificates. Second, teachers's job satisfaction i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ir salary, welfare, and colleague relations. Also teachers' job satisfaction is correlated with responsibility in the case that teachers have a good relation with their principal and child-care parents. Thir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eachers consider substitute teachers, vacation systems, day care systems, compliant with the ratio of teacher and children, job security, order of legal status as important. With regard to external compensation, teachers want salary increase, payment on overtime labor, flexible work-time, use of both full-time and part-time teachers, expansion of educational materials, increase on purchasing cost for textbooks and materials.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care teachers' working environment as well as their satisfaction, practical policies need to be implemented.

실시간 범죄 예측을 위한 랜덤포레스트 알고리즘 기반의 범죄 유형 분류모델 및 모니터링 인터페이스 디자인 요소 제안 (Classification Model of Types of Crime based on Random-Forest Algorithms and Monitoring Interface Design Factors for Real-time Crime Prediction)

  • 박준영;채명수;정성관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455-460
    • /
    • 2016
  • 최근 강도, 성폭력과 같은 중범죄들의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범죄 예측 및 예방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정확한 범죄예측을 위해서는 과거 범죄기록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확도 높은 범죄분류모델을 만드는 작업이 필요하며, 신속한 범죄 대응을 위한 시스템 인터페이스가 요구된다. 그러나 기존의 범죄 요소 분석 연구는 데이터 전처리에 대한 난해함으로 인해 정확도 측면에서 한계를 보이며, 범죄 모니터링 시스템은 방대한 양의 범죄 사건기록 분석 결과를 단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효과적인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시간 범죄 예측을 위한 랜덤 포레스트 알고리즘 기반의 범죄 유형 분류모델 및 시스템 인터페이스 디자인 요소를 제안한다. 실험을 통해 본 연구는 제안하는 모델이 단순히 범죄기록 데이터만으로 범죄유형을 분류하는 모델 보다 우수함을 입증하였고, 기존의 범죄 모니터링 시스템 분석을 통해 실시간 범죄 모니터링을 위한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Research on solution for protecting victim privacy of crime deposit with depository

  • Park, Jong-Ryeol;Noe, Sang-Ou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209-216
    • /
    • 2020
  • 형사사건에 있어서 피해자와의 합의는 물론 피해보상을 위하여 공탁부분은 양형자료에 반영되기 때문에 상당히 중요하다. 현행법상 공탁을 하려면 피공탁자의 이름과 주소, 주민등록번호 등을 기재해야 한다. 그런데 피공탁자가 성범죄 피해자 등인 경우 사건기록에서 개인정보가 모두 익명처리되기 때문에 가해자 측은 어려움을 겪는다. 물론 이는 피해자가 가해자와의 합의할 의사가 전혀 없는데도 인적사항을 파악하여 합의를 부치기거나 위협하는 등 가해자로부터 2차 피해를 방어하기 위한 조치이지만 가해자가 자신의 범죄를 뉘우치고 피해자에게 보상하려고 해도 피해자의 인적사항을 몰라 공탁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긴다. 에스크로 제도를 활용하면 피해자의 입장에서는 가해자와 직접 접촉을 피하고 개인정보 유출을 막으면서도 실질적인 피해회복을 받을 수 있어서 좋고 가해자의 입장에서는 능력이 닿는 한도에서 잘못에 대해 속죄하는 모습을 보여줄 수 있어서 좋은 제도라고 생각한다.

라이더 재킷의 디자인 특성을 이용한 패션디자인 제안 (A proposal for fashion design using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rider jacket)

  • 박한힘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15-125
    • /
    • 2020
  • Rider jackets were once reserved for military uniforms but have become an important styling item in recent fashion trends.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rider jacket are rooted in symbolism, and the image associated with a rider jacket is in line with the challenging of authority and being a member of the rebellious youth subculture. Usually, young people with anti-social tendencies wore jackets, and some styles were used as a medium to express their emotional homogeneity, and they received favorable responses as the items represented them.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a rider jacket can be largely divided into resistance against the older generation, violence, challenging cultural norms, sexuality, and resistance, as well as embodying violent characteristics, including strength, courage. and male chauvinism. The reason for the development of these challenging characteristics are disparagement and anger of the lower class, who were excluded from mainstream society. Rider jackets can be viewed negatively due to the kind of message it is conveying against mainstream society. Among the sexual features were leather pants, short-length leather rider jackets, glossy metal accessories, and belt buckles, which also highlighted gay and decadent images that came to be associated with the jackets. The drapery created various kinds of wrinkles according to the way of dressing, and it had beautiful expressiveness while serving to express the body more beautifully. Drapery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r expression techniques, and if the type of drapery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t can be classified into variable and fixed structures, depending on whether the part to which the drapery is applied is fluid or not. In other words, it depends on the dressing method or the intention, and if the drapery technique is directly applied to the garment or is attached to the form. This fashion design proposal may have the greatest significance in that it sought to propose a new style incorporating a drapery technique with a strong feminine image to a rider jacket, which traditionally was associated with a masculine image.

블록체인을 이용한 자율주행 차량의 포렌식 연구 (Forensic study of autonomous vehicle using blockchain)

  • 강장묵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209-214
    • /
    • 2023
  • 장래 국내외 자율주행 차량이 보급되면, 자율주행 차량의 사고 역시 발생 빈도가 늘어날 전망이다. 특히, 완전자율주행 자동차가 운행할 경우, 자동차의 사고 자체뿐만 아니라 운행 중 승객 간의 성폭력, 폭행, 사기 등 여러 가지 형사/민사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자율주행차량의 운행 사고와 차량 내 승객의 사고에 대한 포렌식 역시 변화할 전밍이다. 이 글은 자율주행차량의 보안 위협에 대한 유형,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증거 데이터의 무결성 유지 방안, 디지털 포렌식의 연구를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자율주행 차량에서 발생할 위협과 다양한 사고 유형 별 포렌식 기법 등을 시나리오식으로 기술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자율 주행 차량 대상 취약점, 공격에 대응하기 위한 국내외 웹사이트의 포렌식 보안 기술 조사 및 연구기관, 정보보안기업의 블록체인 보안 연구를 조사하여 사고 전/후 자율주행 차량의 포렌식을 돕는 블록체인 기법을 제안하였다.

미투운동의 경제학: 이해주체들의 전략적 상호성을 중심으로 (Analyzing the Strategic Reciprocity of the Interested parties surrounding the Me Too Movement)

  • 이종민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3권2호
    • /
    • pp.155-168
    • /
    • 2022
  • Purpose - Although the government and civic groups do not always confront each other over the Me Too movement, the two stakeholders are often conflicted. For example, the two interested parties may have different positions in the gender conflict and be often hostile due to debates over how to institutionalize and distinguish actual harm from innocence. In this situation, the strategies of the two stakeholders for their own ends are inevitably interdependent.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strategic reciprocity of interested parties in relation to the Me Too Movement, which has recently raised a new discourses in our society. Design/methodology/approach - We derive equilibrium of the reciprocity between civic groups(collectively referred to as the Me Too Movement Headquarters) leading the Me Too Movement and government that must preemptively respond to new social issues, and analyze how changes in some external conditions affect the reactions of the two stakeholders. For this purpose we rely on economic methodology. Findings - In the reciprocity between the two forces, we derive an equilibrium composed of the pair of the government's optimal response level and the civic group's optimal strategy, and further derive the comparative static results according to changes in external conditions. Analysis results are mixed with intuitive results and non-intuitive ones. However, even if the result is not intuitive, rational reasoning is possible as long as it is derived through a rigorous model, and it has several implications.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Although this study is a positive approach, it is meaningful as a starting point to explore practical discussion directions and alternatives by adding another new perspective and approach to research in other social science fields with many normative studies.

스토킹 관련 언론기사에 대한 텍스트네트워크분석 (Text Network Analysis on Stalking-Related News Articles )

  • 지은선;정상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579-585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텍스트네트워트분석을 통해 스토킹에 대한 정치성향의 언론기사 내에 핵심 단어를 탐색하고 내재된 의도를 살펴보는 것이다. 2018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보도된 보수언론기사(조선일보, 중앙일보) 824건, 진보언론기사(한겨레신문, 경향신문) 783건으로 총 1,607건을 선정하여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기반의 토픽모델링 기법으로 도출된 주제범주의 양상을 탐색하였다. 연구결과는 보수언론과 진보언론의 공통된 토픽은 젠더폭력의 인식개선, 신변보호 및 처벌강도, 스토커 신상공개 도출되었고 두 언론의 상이한 토픽은 보수언론에서는 스토커의 가해행위, '신당역 살인사건'의 개요와 진보언론은 '신당역 살인사건'의 가중처벌요구, (사이버공간의) 성착취 범죄 근절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스토킹에 대한 언론기사 간의 이념적 의견에 따라 보도형태에 변화가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