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rving robot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9초

서빙로봇의 서비스품질, 고객만족,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Influence of Service Quality at a Serving Robot on Customer Satisfaction & Intention to re-Use : for Consumers )

  • 송기현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47-58
    • /
    • 2024
  • The serving robot is defined as a robot that carries cooked food to a customer table or collects and carries bowls after eating. This study presented a research model to find out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through the three factors of serving robot service quality. In addition, in order to empirically verify the above research model, a survey was conducted on customers using serving robots within the last 5 months. 300 copies were analyzed using SPSS 20 as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unfaithful response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rving robot service quality (typical)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serving robot service quality (relia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Third, it was found that serving robot service quality (eas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푸드테크 서빙로봇의 서비스 실패에 대한 직업윤리적 대응에 대한 고객 평가 분석 (Analysis of Customer Evaluations on the Ethical Response to Service Failures of Foodtech Serving Robots)

  • 한정혜;최영림;정상현;김종욱
    • 서비스연구
    • /
    • 제14권1호
    • /
    • pp.1-12
    • /
    • 2024
  • 푸드테크 산업 중 서비스 로봇 시장이 커짐에 따라 외식산업의 소비자 행동의도에 영향을 끼치는 로봇 서비스의 품질이 중요하다. 식당 서빙로봇은 직원의 업무를 줄여주기도 하지만, 서비스 실패에 따른 대응이 되지 않기 때문에 고객의 불만족은 물론 직원의 업무를 늘리기도 한다. 주문과 서빙 기능 외에 서비스 품질을 높이기 위해서 직원처럼 서비스 실패 후 복구 노력, 과정의 공정성, 공감, 대응성, 확신성에 대한 기능도 요구된다. 이에 우리는 식당 서빙 서비스 실패 유형을 내적, 외적요인으로 가정하고, 서비스에 실패했을 때 직업 윤리적인 태도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직업윤리적 공감모듈이 있는 서빙로봇을 개발했다. 이때 서빙로봇의 표정과 액션은 평상 서비스 모드에 실패복구 노력과 공감을 반영한 실패 모드를 추가하여 개발하였으며, 두 유형의 서비스 실패에 따른 서빙로봇의 직업 윤리적 공감 대응 여부가 로봇평가에 유의미한지를 실험하였다. 실험참가자들은 로봇 실수보다 다른 고객의 실수에 따른 서비스 실패에 더 불편해했으며, 서빙로봇의 직업윤리적 공감과 대응은 적절했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직업윤리적 공감 모듈의 장착여부에 따라 로봇 호감도는 차이가 없지만 안전성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직업윤리적 공감 대응 모듈을 탑재한다면, 국내 서빙로봇산업과 시장은 더욱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레스토랑 서빙 로봇의 서비스 확장에 관한 연구 - 중국 베이징 하이디라오 스마트 레스토랑을 사례로 연구 (Research on Service Extensior of Restaurant Serving Robot - Taking Haidilao Hot Pot Intelligent Restaurant in Beijing as an Example)

  • 조여기;반영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17-25
    • /
    • 2020
  • 본 연구는 식당에서 사용하는 외식서빙 로봇의 서비스 절차 및 인터랙션 방식에 중점을 두고 연구한다. 사용자 설문조사,사용자를 관찰하고 고객과 레스토랑 종업원의 인터뷰를 통한 레스토랑 서빙 로봇과 고객의 교류방식을 분석하고 사용자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자 여정 지도를 구축한다. 또한 서비스 절차에서 배달 서비스 뿐만 아니라 주문 서비스, 접대 서비스 및 테이블 정리 등을 모두 서비스 로봇이 행하는 것을 의도한다.최종 제안 연구 목적은 기존의 서빙 로봇 GUI을 개선하고 새로운 서비스 청사진을 설계하는 것이다.

Attitude of Consumers toward Restaurant Service Robots Based on UTAUT2 Theory

  • JUNG, Se Yeon;CHA, Seong Soo
    • 식품보건융합연구
    • /
    • 제8권1호
    • /
    • pp.9-16
    • /
    • 2022
  • Recently, the use of serving robots has been increasing due to the increase in preference for non-face-to-face services and the rise in the minimum wage due to the coronavirus. When analyzing previous studies related to serving robots, it was confirmed that most of the studies on the functions and technologies of serving robots were conducted.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the attitude and customer satisfaction of restaurant consumers toward serving robots by adding performance expectations, effort expectations, and speed factors among the UTAUT2 models. The survey period was conducted from July 28, 2021 to September 9, 2021, and 306 out of a total of 310 surveys were used for analysis, excluding 4 unfaithful surveys. For the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hypothesis test were performed using SPSS 20.0 and AMOS 20.0, an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performance expectation, effort expectation, and speed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attitudes. Second, it was found that attitude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This study researched customer selection attributes of robot service restaurants using the UTAUT2 model, and also provided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다인실환자를 위한 EEG기반 서빙로봇 간병서비스 개발 (Development of EEG-based Serving Robot Care Service for Multi-person Room Patients)

  • 이소연;최봉준;문미경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년도 제6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0권2호
    • /
    • pp.649-650
    • /
    • 2022
  • 간병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간병인의 스트레스 관리 및 체력 관리이다. 그러나 요양 시설의 수요 증가량에 비해 간병인의 공급량은 줄어들고 있으며 고령화로 인해 노인이 노인을 간병하는 노노간병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1인당 부양하는 환자 수의 증가와 간병인의 연령이 평균적으로 높아지면서 간병 스트레스 및 간병 살인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환자의 EEG를 실시간으로 분석해 환자에게 필요한 것을 전달해주는 서빙로봇 간병서비스 개발 내용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이 시스템을 통해 장시간 노동에 따른 간병인의 간병 스트레스와 간병 부담을 덜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아이인핸드로봇의 영상 추적을 위한 실시간 거리측정 (Real-time Depth Estimation for Visual Serving with Eye-in-Hand Robot)

  • 박종철;변중남;노철래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6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B
    • /
    • pp.1122-1124
    • /
    • 1996
  • Depth between the robot and the target is an essential information in the robot control. However, in case of eye-in-hand robot with one camera, it is not easy to get an accurate depth information in real-time. In this paper, the techniques of depth-from-motion and depth-from-focus are combined to accomplish the real-time requirement. Integration of the two approaches are accomplished by appropriate use of confidence factors which are evaluated by fuzzy rules. Also a fuzzy logic based calibration technique is proposed.

  • PDF

스마트 서빙 로봇의 구현 (Implementation of Smart Serving Robot)

  • 박명철;오성혁;김성진;이도희;김선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2호
    • /
    • pp.413-414
    • /
    • 2023
  • 최근 비대면 서비스의 발전으로 서빙 로봇의 역할이 중요해졌다. 호텔, 리조트 등 높은 품질의 서비스를 요구하는 곳에서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해 전문화된 인력을 필요로 하지만 개개인의 능력과 인력 부족으로 인해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의 질이 균일하지 못하거나 만족스럽지 못하다. 본 논문은 균일화된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새로운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게 하는 '주문이 가능한 스마트 서빙 시스템 로봇'을 제안한다. 단순한 음식 운반이 아닌 소비자를 맞이하고 앱 인벤터를 통해 주문을 직접 받아 서버에 전송하여 카운터 및 주방에서 주문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완성된 음식을 받아 운반하여 소비자의 테이블에 직접 제공하여 기존 서빙 로봇의 불편함을 보완하였다.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장애물 발견 시 정지하여 안전한 구동이 가능하다. 스마트 서빙 시스템 로봇을 통해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인력을 고부가 가치 업무에 집중할 수 있어 서비스 로봇의 발전을 선도하고 식당뿐만 아니라 병원, 물류센터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휴머노이드 로롯팔의 물체 조작을 위한 지능형 거리 제어기 (Intelligent Distance Controller for Humanoid Robot Arms Handling a Common Object)

  • Bhogadi, Dileep K.;Cho, Hyun-Chan;Kim, Kwang-Sun;Wilson, Sara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1-74
    • /
    • 2008
  • The main object of this paper is concentrated on distance control of two robot arms of a humanoid using Fuzzy Logic Controller (FLC) for handling a common object. Serial Link Robot arms are widely used in most significantly in Humanoids serving for older people and also in various industrial applications. A method is proposed here that separates the interconnections between two robot arms so that the resulting model of two arms is decomposed into fuzzy logic based controller. The distance between two end effectors is always kept equal to that of the diameter of an object to be handled, so that the object would not fall down. Mathematical model of this system was obtained to simulate the behavior of serial robotic arms in close loop control before using fuzzy logic controller. Lagrangian equation of motion has been used to obtain the appropriate mathematical model of Robotic arms. The results are shown to provide some improvement over those obtained by more conventional means.

  • PDF

영상특징을 이용한 로봇의 시각적 구동 방법 (Visual Servoing of an Eye-In-Hand Robot Based on Features)

  • 장원;정명진;변증남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27권11호
    • /
    • pp.32-41
    • /
    • 1990
  • 본 논문에서는 시각정보에 의하여 로봇을 제어하기위해 영상으로부터 추출되는 feature를 이용하는 한 방법을 제안한다. 특별히 feature에 대한 수학적인 정의를 제안하였으며 로봇의 움직임과 feature vector의 미소한 변화 사이의 관계를 기술하였다. 이 과정에서 feature jacobian matrix와 그의 gene-ralized inverse가 사용되었다. 로봇 자유도의 수보다 많은 feature를 사용하면 visual servoing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여러 예를 통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법이 유효함을 보였다.

  • PDF

Obstacle Modeling for Environment Recognition of Mobile Robots Using Growing Neural Gas Network

  • Kim, Min-Young;Hyungsuck Cho;Kim, Jae-Hoo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rol, Automation, and Systems
    • /
    • 제1권1호
    • /
    • pp.134-141
    • /
    • 2003
  • A major research issue associated with service robots is the creation of an environment recognition system for mobile robot navigation that is robust and efficient on various environment situations. In recent years, intelligent autonomous mobile robots have received much attention as the types of service robots for serving people and industrial robots for replacing human. To help people, robots must be able to sense and recognize three dimensional space where they live or work. In this paper, we propose a three dimensional environmental modeling method based on an edge enhancement technique using a planar fitting method and a neural network technique called "Growing Neural Gas Network." Input data pre-processing provides probabilistic density to the input data of the neural network, and the neural network generates a graphical structure that reflects the topology of the input space. Using these methods, robot's surroundings are autonomously clustered into isolated objects and modeled as polygon patches with the user-selected resolution. Through a series of simulations and experiments, the proposed method is tested to recognize the environments surrounding the robot.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usefulness and robustness of the proposed method are investigated and discussed in detail.in det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