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rotyping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35초

다중구슬 분석법에 의한 폐구균 혈청형 결정 연구 (A study of serotyping of Streptococcus pneumoniae by multibead assay)

  • 조기영;이정아;조성은;김남희;이진아;홍기숙;이환종;김경효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2호
    • /
    • pp.151-156
    • /
    • 2007
  • 목 적: 폐구균은 영유아와 소아에서 세균성 수막염, 중이염, 폐염 등의 주요한 원인균이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여러 항균제 내성을 보이는 폐구균이 증가하는 추세여서 폐구균 단백 결합 백신의 도입과 함께 폐구균의 예방이 중요시되고 있다. 백신이 특이 혈청형에 대한 항체를 유도하기 때문에 백신에 해당하지 않는 혈청형의 폐구균의 감염율이 상대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폐구균 질환의 역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임상 검체나 인두에서 분리된 폐구균의 혈청형 분석이 필요하다. 이번 연구에서는 새롭게 제시되고 있는 효과적이고 정확한 다중구슬 분석법을 이용하여 폐구균 혈청형을 분석하였다. 방 법: 2005년 1-2월 동안 서울 지역의 10개 유아원에서 9세 이하 소아 643명을 대상으로 calcium alginate 면봉으로 구인두 점막을 문질러 검체를 얻고 60명의 소아에서 폐구균을 분리하였다. 이들 60명에서 다중구슬 분석법으로 혈청형을 분석하여 62균주의 혈청형을 분리하였다. 다중구슬 분석법은 폐구균 다당질과 혈청형 특이 항체로 덮혀진 두 종류의 라텍스 세트를 이용하였다. 이 두 세트는 24가지 혈청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 혈청형들은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질환을 일으키는 폐구균 혈청형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혈청형들이다. 결 과: 이번 연구에서 분리된 62균주에서 혈청형 6A, 19A, 19F, 23F, 11A/11D/11F이 전체의 53.2%를 차지하고 있었다. 다중구슬 분석법으로 62 균주의 혈청형을 정확하고 빠르게 연구할 수 있었다. 결 론: 다중구슬 분석법은 폐구균 혈청형 분석에 정확하고 정량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고 향후 폐구균 혈청형 연구을 위한 기준 방법으로 제시할 수 있다.

2003~2004년 경남 마산 지역에서 분리된 A군 연쇄구균의 T 혈청형과 emm 유전자형의 계절별 분포 (Seasonal Distribution of T Serotyping and emm Genotyping of Group A Streptococci Obtained from Children with Streptococcal Infections in Masan, Korea, 2003~2004)

  • 전호상;박화진;이희주;마상혁;차성호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2권1호
    • /
    • pp.52-60
    • /
    • 2005
  • 목 적 : 류마티스열이나 사구체신염과 같은 합병증의 집단발생 및 GAS 감염의 역학조사를 위해서는 감염균의 혈청형분석이 필수적이다. T 단백은 GAS의 역학적 상황을 이용하는데 유용하여 선별검사로 가장 많이 이용한다. 혈청형 검사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최근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하기 시작하였다. 중합효소연쇄반응으로 emm 유전자를 증폭하여 자동염기서열 분석기를 이용한 emm형별 분석이 최근에 보고가 되고 있다. 그래서 저자들은 emm 유전자를 이용한 자동염기서열 분석과 T 혈청학적 분석을 통하여 마산의 어느 한 센터에서 얻은 GAS의 계절별 분포에 대해서 알고자 하였다. 방 법 : 2003년 6월부터 2004년 2월까지 경남 마산시에 위치한 창원파티마병원에서 급성 인두염이나 성홍열 또는 봉소염이 의심되는 환아에게 인후배양을 시행하였고, 그 중 GAS로 동정된 100개의 균주를 분리하여 미국 미네소타대학의 WHO Collaborating Center on Group A Streptococci에 보내 T 항원형을 혈청학적 동정을 하였고 emm 유전자 분석을 하였다. 이 결과들을 다시 계절별과 질병별로 분류하였다. 결 과 : T단백 혈청형은 총 19종이 분리되었다. 계절별로 분류하면 여름철에는 빈도순으로 T4(27.5%), T1(17.6%), T6(13.7%), T12(13.7%)이 흔히 분리되었고, 겨울철에는 T4(28.3%), T12(15.2%), T12/B3264(8.7%)의 순서로 흔히 발생하였다. T4, T12는 계절별로 변화가 거의 없었다. 질환별로 분리하면 급성 인두염은 89례를 차지하였는데 T 혈청형을 빈도순으로 나열하면 계절별 분포에서와 마찬가지로 T4(26.7%), T12(14.0%), T1(12.8%), T6(11.6%) 순으로 전체 균주의 빈도순과 동일한 양상을 보였다. emm 유전자형은 총 15종류가 분류되었다. emm 1, emm 6, emm 9, emm 44는 겨울철에 많이 감소하거나 없어졌고, emm 3, emm 12, emm 89는 겨울철에 새로 생기거나 빈도가 비교적 많이 증가한 유전자형이었다. 급성 인두염에서 emm 유전자형을 빈도순으로 나열하면 계절별 분포에서와 마찬가지로 emm 4(26.7%), emm 22(18.6%), emm 1(12.8%), emm 6(11.6%)의 순서로 분리되었다. 결 론 : 2003년과 2004년에 걸쳐 조사한 T단백 혈청형과 emm 유전자형의 계절별 분포는 각각 19종과 15종으로 다양하게 분리되었다. 이 중 EM 내성과 관련이 있는 T 혈청형으로는 T12, T28, T4, T1, NT 등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들의 비율이 전체의 56.7%를 차지하였다. 따라서 항생제 선택에 있어서 EM 내성률이 높다는 사실을 고려해야 한다. T 혈청형과 emm 유전자형의 분석이 GAS 질병의 역학과 병인을 연구하는데 도움이 되므로 앞으로 매년 감시를 해야하고, 특히 침습성 연쇄구균 감염으로부터 얻은 GAS을 T 혈청형 분석과 emm 유전자형 분석을 통해서 감시해야 하겠다.

  • PDF

Action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의 임상분리 혈청형에 따른 유전자 지문 양상에 관한 연구 (DNA FINGERPRINTING AND SEROTYPING OF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ISOLATED FROM PERIODONTAL PATIENTS)

  • 허경기;김성조;최점일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5권1호
    • /
    • pp.153-166
    • /
    • 1995
  • 54 clinical isolates of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showed distinct hybrdization patern(DAN fingerprinting patterns) when the bacterial DNA were hybridized with randomly cloned 4.7 - kb DNA probe. The frequency of the genotypic distribution demonstrated that type C was the most prevalent genotype, the next being D, NT, A, B, and E in the descending order. The most prevalent serotype was serotype c, the next being a, nd, and b in the descending order. It was noted that the one serotype can represent more than two different genotypes and that multiple genotypic variants can also exist in the periodontal pockets within the sam subject.

  • PDF

서울시내 약수에서 분리한 Yersinia enterocolitica의 생물형, 혈청형 및 분자학적 형별비교 (Comparison of Biotyping, Serotyping and Molecular Typing of Yersinia enterocolitica Isolated from Spring water in Seoul)

  • 이영기;최성민;오수경;신재영
    • 환경위생공학
    • /
    • 제14권4호
    • /
    • pp.99-109
    • /
    • 1999
  • Enteropathogenic Yersina enterocolitica is an important cause of human and animal disease. Phenotypic and genotypic characteristics currently used to identify Yersinia enterocolitica are not necessarily sufficient to differentiate pathogenic from non-pathogenic strains or to analyze the epidemiology of yersiniae at a molecular level. To improve the characterization of Yersinia enterocolitica, A total of 65 isolates of Yersinia enterocolitica were examined with bioserotyping, antibiotic susceptibilities, PFGE, PCR-ribotyping. Genomic DNA pattern generated by PFGE are highly specific for different strains of an organism and have significant value in epidemiologic investigations. The PFGE analysis of Not I-digested chromosomal DNA of Y. enterocolitica were performed with a CHEF Mapper(Bio-Rad, USA). Not I generated 19 restriction endonuclease digestion profiles(REDP). PCR-ribotyping, performed with primers complementry to conserved regions of 16S and 23S rRNA gene, generated 13 ribotypes. PCR-ribotyping can be considered a good technich for subtyping strains of Y.enterocolitica.

  • PDF

The Occurrence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Feline Cryptococcosis in Korea

  • Kim, Yoon Hee;Song, Ae-ra;Hwang, Soo Myung;Hong, Yeon-Jung;Choi, Ul Soo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70-173
    • /
    • 2018
  • A spayed female domestic short-hair cat of unknown age was admitted with a large proliferative mass in the face. Cytology and biopsy results suggested infection with Cryptococcus spp. A latex cryptococcal antigen agglutination test and an ALPHA cryptococcal antigen enzyme immunoassay yielded positive results. Results of canavanine-glycine-bromothymol blue agar test, serotyping and molecular typing by URA5 - RFLP and MLST analysis identified the isolates as C. neoformans var. grubii VNI/ST31. Two other cats were also diagnosed with the same methodology showing Crytococcosis with VNI/ST31. Cats presenting with facial or respiratory signs should be assessed for cryptococcosis in Korea.

일본(日本) 및 인도네시아의 설사환자(患者)에서 분리(分離)한 장염(腸炎) vibrio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on V. parahaemolyticus Isolated from Diarrheal Patients in Japan and Indonesia)

  • 주진우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7-42
    • /
    • 1978
  • Identification and serotyping for 21 strains of V. parahaemolyticus isolated from diarrheal patients in Japan and Indonesia in 1977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21 strains were divided into 5 serovars including O1:K56, O4:K4, O4:K8, O4:K12 and O5:K15. 2. Author's experiences on the isolates in Korea also show that there is no particular difference in the distribution pattern of serovars of V. parahaemolyticus among Korea, Japan and Indonesia. In these respects, there was no geographical difference in these countries.

  • PDF

임상검체로부터 분리한 녹농균의 생물학적 및 혈청학적 특성 (Biological and serological characteristics of Pseudomonas aeruginosa from clinical specimens)

  • 임은경;김영희;김영부;오양효
    • 생명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57-163
    • /
    • 2000
  • One hundred eight strains of Pseudomonas aeruginosa isolated from the patients (sputum, urine, burn skin, stool and blood)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tested for exonezyme production,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and serotyping.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 In exonezyme production test, 50 strains (46.30%) produced both protease and elastase. Thirty three strains (30.55%) did not produce any exoenzyme, 18 strains (16.67%) produced only protease and 7(6.48%) stains only produced elastase. As the result of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by the disc diffusion method, most strains were resistant to sulfamethoxazole (96.30%). But the resistant rate against gentamicin and ticarcillin were 47.23% and 46.30% respectively. The resistant rate to other antibiotics were less than 40%. All strains could be serologically typed. Most strains were identified as type Ⅲ: among them, 51 strains were belonged to serotype E. The correlation of serotype and exoenzyme production was not found.

  • PDF

낙동강 하구에서 분리한 Aeromonas spp.의 수리학적 분류 및 특성 (Characteristics and Numerical Taxonomy of Aeromonas spp. Isolated from Naktong Estuary)

  • 전도용;하영칠
    • 미생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85-390
    • /
    • 1989
  • 1986년 8월부터 12월까지 낙동강 하구에서 161주의 운동성 Aeromona를 분리한 후 42가지의 형태학적, 생화학적 특성은 조사하여 cluster 분석을 한 결과 85% 유사도 수준에서의 3개의 주 cluster와 84% 유사도 수준에서의 2개의 소수 cluster의 5 cluster로 나눌 수 있었다. 각 cluster는 MR반응과 glucose으로부터의 가스생성 여부의 생화학석 특성에 의하여 구분이 되었다. 2개의 소수 cluster를 포함한 5새의 cluster는 교차응집 실험에 의해 크게 2개의 혈청학적 cluster로 나뉘어졌으며, 이러한 결과는 독성실험에 의한 grouping 결과와 일치하였다.

  • PDF

3년간(1996~1998) 초등학생의 A군 연쇄구균 보균율과 혈청학적 분류에 관한 연구 (Serial Survey on Group A beta-Hemolytic Streptococcal Carrier Rate and Serotyping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1996~1998)

  • 김지현;김주예;강현호;차성호;이영희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7권1호
    • /
    • pp.143-151
    • /
    • 2000
  • 목 적 : A군 연쇄상구균은 소아영역에서 상기도 감염의 중요한 원인이며, 부적절한 치료시 류마티열 및 급성 신사구체염을 유발시키는 중요한 세균이다. A군 연쇄상구균의 세포벽을 구성하고 있는 T단백질의 항원성 분류는 연쇄구균감염의 역학적 상황을 이해하는데 유용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은, 지난 3년동안 우리나라 초등학생 연쇄구균 보균자에게서 분리된 A군 연쇄상구균의 T단백 분류를 통해 그 역학적 동태를 알고자 하였다. 방 법 : 1996년 3월부터 5월까지 울진, 서울, 오산, 군산의 정상 초등학생 1,19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울진에서는 1996년, 1997년, 1998년 3년동안 배양검사를 시행하였으며, 1996년 오산에서는 같은 초등학교에서 3회에 걸쳐 배양검사를 시행하였다. 대상 아동으로부터 소독된 면봉으로 편도와 인두를 세게 문질러 검체를 획득하여, 면양혈액한천배지에 접종 후 희석하여 37.2도에서 하룻밤 배양 후 얻은 베타용혈균을 Streptex를 이용하여 grouping하였으며, 분리된 A군 연쇄상구균의 T혈청형 분류를 시행하였다. 결 과 : 1996년 울진, 서울, 오산, 군산의 1,192명의 초등학생 중 15.0%인 179명에서 A군 연쇄상구균이 배양되었으며, 지역별 보균율은 울진 18.6%, 서울 2.7%, 오산 26.0%, 군산 12.3%였다. 1996년 보균자 179명중 T혈청형 분리율은 52.2%였으며, 지역별로는 울진 68.7%, 서울 83.3%, 오산 24.7%, 군산 83.8%였다. 1996년 지역별로 흔하게 분리된 T혈청형은, 울진에서는 NT, T1, T3순이었고, 서울은 T12, T25, 오산은 NT, T6, T28, 군산은 T25, T4, NT, T5순이었다. 울진의 연도별 보균율은 1996년 16.0%, 1997년 7.1%, 1998년 13.0%였으며, 분리된 T혈청형은 1996년에는 NT, T1, T3, T25순이었고, 1997년 NT, T1, T12, T25 순이었으며, 1998년에는 T12, NT, T4순이었다. 1996년 오산 지역에서 3회에 걸쳐 시행한 배양검사에서, 분리된 T혈청형은 1차에서는 NT가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나, 2차에서는 T6, T1, T4 순이었고, 2차에서와 같은 대상을 2주간격을 두고 시행한 3차에서는 T8/25, T12, T1순이었다. 같은 학생을 대상으로 2주간격으로 시행한 배양검사에서 1차에서 23명의 소아에서 양성이 나왔으며, 2차에서는 27명에서 양성이 나왔으며, 이중 1, 2차에서 모두 양성이 나온 사람은 16명이었다. 이 16명중 T혈청형이 1, 2차에서 동일하게 나온 사람은 4명(25.0%)이었다. 결 론 : 배양된 균의 세포막 단백질의 분석을 통해 연쇄구균의 혈청학적 타입을 분석 및 이 균과 관련된 역학을 파악하는 것이 궁극적으로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근본이 될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주기적으로 병원균에 대한 역학적 검사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도축돈에서 분리된 살모넬라의 혈청형 및 유전형 (Serotypes and genotypes of Salmonella isolates from slaughtered pigs)

  • 최원종;정지헌;원호근;강정무;한태욱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16
    • /
    • 2008
  • Salmonella infections cause the disease in pigs but also some zoonotic Salmonella serotypes can be transmitted to human through swine products, resulting in food poisoning.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acteriological prevalence and detection of invA gene using Salmonella specific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the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Salmonella strains cultured from pig samples in Gangwon areas using serotyping,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and pulsed field gel electrophoresis (PFGE) methods. During the period of November 2001 through April 2002, 1,174 ileocecal lymph node were collected from the slaughtered pigs raised in 38 farms located in Gangwon province. The samples were submerged in boiling water and macerated in saline and lymph node homogenates were inoculated into Tetrathionate broth with iodine (TTB, Difco, 0.5% iodine was added) for enrichment growth. Then additional tests were performed using several mediums, and suspects were identified by API 20E kit (BioMerieux) and PCR. Of total 1,174 samples from 38 farms, 44 (3.7%) were isolated as Salmonella spp from 13 farms (34.2%). Of 44 isolates, 31 were in Yangyang region, followed by 9 in Goseong, 2 in both Gangneung and Sokcho.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regional isolation frequency. All isolates have a 521bp amplified product in Salmonella specific PCR with primer invA which encodes in proteins for invasion of epithelial cells. Of 44 recovered serotypes, 23 (52.3%) were S Eingedi, 10 (22.7%) S Schwarzengrund, 9 (20.5%) S Typhimurium, and 2 (4.5%) S Mbandaka. In RAPD analysis, there appeared to be unique bands distinguishing each serotype, although similarities exist between the different serotypes. Four serotypes of 44 Salmonella isolates appeared to fall into 14 different RAPD types. In PFGE analysis, 9 S Typhimurium were tested with XbaI enzyme and SpeI enzyme. The combination of results obtained with two enzymes subdivided the 9 S Typhimurium into 4 PFGE typ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