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oraksan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5초

설악산국립공원 지역의 노루 서식지 이용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Habitat-using of Siberian Roe Deer in Seoraksan(Mt.) National Park)

  • 박용수;이우신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91-109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the basic research about Siberian roe deer (Capreolus pygargus), and to establish a conservation area into Seoraksan(Mt.) National Park, South Korea. We recorded Siberian roe deer field signs (bedding sites, feeding areas, feces and tracks etc), and habitat variables such as nearest distance to the watercourse, trails, slope, aspect, forest type and land cover etc. from Jan. 2006 to Dec. 2007 in Seoraksan(Mt.) National Park. According to the research of habitat characteristics of Siberian roe deer inhabited in Seoraksan(Mt.) National Park preferred mixed forest consisted of aged forest and middle-aged forest on the gentle slope which was close to hydrosphere in the middle elevation area of altitude of 400~600m above sea level in Seoraksan(Mt.) National Park. The results indicated that Siberian roe deer appeared to prefer south slope or north slope during the snow season and west or east slope during the non-snow season. The area of most suitable habitat for Siberian roe deer in Seoraksan(Mt.) National Park was $128.5km^2$ (32% of the total area) followed by $244.3km^2$ buffer area (62.2% of the total area), and $22.9km^2$ unsuitable habitat area (5.8% of the total area), which means environmentally unsuitable habitat for Siberian roe deer was rare in Seoraksan(Mt.) National Park. Thus, the area classified as major area in Seoraksan(Mt.) National Park appeared to be most important for the protection of Siberian roe deer.

조선시대 설악산 자연지명의 역사지리적 분석 (A Historical Geographical Analysis on the Physical Place Name of Mt. Seoraksan in Joseon Period)

  • 최원석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127-142
    • /
    • 2016
  • 조선시대 설악산(백두대간 권역)의 역사지리적 정보를 담고 있는 주요 자료로서 지리지 고지도 유산기를 통해 설악산의 공간 인지 범위, 자연지명의 분포 특성, 유람 경로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오늘날의 설악산과 조선시대의 설악산은 공간적인 범위 및 지명 영역이 달랐다. 지역적으로 설악산권역과 한계산권역으로 나뉘어 인지되었음도 알 수 있었다. 조선시대에는 현재의 대청봉을 중심으로 설악산이라고 했고, 울산바위는 천후산(혹은 이산), 한계령 북쪽의 산은 한계산이라고 구별해 불렀다. 조선후기에 와서야 일부 문헌에서 설악산이라는 이름이 한계산, 천후산을 포함한 대표 지명으로 나타났다. 지리지 고지도 유산기에 수록된 산지, 고개, 하천 유형의 자연지명 중에서 산지 지명은 가장 많은 빈도수를 보였다. 오늘날 한계령에 해당하는 오색령은 대부분의 고지도에 일반적으로 표기되어 있어서 대표적인 명칭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선시대 선비들의 설악산 유산기에 나타나는 가장 일반적인 유람 행로는 백담사$\rightarrow$오세암$\rightarrow$신흥사 코스였다.

  • PDF

Some Unrecorded Higher Fungi of the Seoraksan and Odaesan National Parks

  • Han, Sang-Kuk;Park, Young-Jun;Choi, Sung-Keun;Lee, Je-O;Choi, Jong-Ho;Sung, Jae-Mo
    • Mycobiology
    • /
    • 제34권2호
    • /
    • pp.56-60
    • /
    • 2006
  • Higher Fungi were collected. twice a month from May to September 2004 during field survey trips to Seoraksan and Odaesan National Parks. All the collected specimens were investigated for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of carpophores and other features, and deposited in the herbarium of the Entomopathogenic Fungal Culture Collection (EFCC),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Among the identified specimens, three genera Rhodotus, Hotermannia and Sebacina and four species Rhodotus palmatus, Gomphus clavatus, Holtermannia corniformis and Sebacina incrustans were confirmed as new to Korea and reported here with descriptions.

설악산국립공원 천불동 계곡에서 발생된 낙석 거동분석 (Analysis for Behavior of Rockfall Movement by Cheonbuldong Valley of Seoraksan National Park)

  • 조용성;김유성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6권5호
    • /
    • pp.49-55
    • /
    • 2010
  • 2007년 2월 22일 설악산국립공원 천불동계곡 병풍교 부근에서 대규모 낙석이 발생하였고, 탐방로가 한동안 폐쇄되었었다. 설악산국립공원내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한 암반의 절리, 풍화와 지표수 등의 급격한 변화로 유사한 낙석사고 빈도가 잦아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계곡바닥에서 높이 80m 부근에서 발생한 대규모 낙석의 정밀조사에 근거하여 낙석의 거동을 분석하였고, 낙석에너지를 산정하였다. 분석결과로부터 설악산국립공원내의 자연환경을 훼손하지 않고, 위험요소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적인 낙석관리방법을 제안하였다.

설악산국립공원지역에서 고도별 조류군집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Attitudinal Bird Community in Mt. Seoraksan National Park)

  • 임신재;허위행;이우신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5권3호
    • /
    • pp.179-187
    • /
    • 2002
  • 본 연구는 설악산국립공원에 서식하고 있는 조류군집의 계절적, 고도별 분포 현황을 조사, 분석하고 조류군집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오색-대청봉과 백담사-대청봉 지역에서 2001년 5월부터 10월까지의 기간동안 실시되었다. 2개 조사 지역에서 쇠박새, 쇠솔새, 진박새, 동고비 등이 전체 고도별 구간에서 고르게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매, 칼새, 진홍가슴, 유리딱새, 솔새사촌, 노랑눈썹솔새, 검은머리방울새, 떼까마귀 등은 해발고도가 높은 지역에서만 관찰되었다. 동고비와 어치는 번식기인 봄과 그 밖의 계절 사이에 분포하는 고도에 차이가 있었다. 각각의 종들이 해발고도별로 분포를 달리하는 것은 서식에 필요한 다양한 자원을 효과적으로 얻기 위한 적응 형태인 것으로 보이며, 각 종별 생태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설악산국립공원지역에서 고도별 조류군집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Attitudinal Bird Community in Mt. Seoraksan National Park)

  • 임신재;허위행;이우신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5권2호
    • /
    • pp.109-117
    • /
    • 2002
  • 본 연구는 설악산국립공원에 서식하고 있는 조류군집의 계절적, 고도별 분포 현황을 조사, 분석하고 조류군집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오색-대청봉과 백담사-대청봉 지역에서 2001년 5월부터 10월까지의 기간동안 실시되었다. 2개 조사 지역에서 쇠박새, 쇠솔새, 진박새, 동고비 등이 전체 고도별 구간에서 고르게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매, 칼새, 진홍가슴, 유리딱새, 솔새사촌, 노랑눈썹솔새, 검은머리방울새, 떼까마귀 등은 해발고도가 높은 지역에서만 관찰되었다. 동고비와 어치는 번식기인 봄과 그 밖의 계절 사이에 분포하는 고도에 차이가 있었다. 각각의 종들이 해발고도별로 분포를 달리하는 것은 서식에 필요한 다양한 자원을 효과적으로 얻기 위한 적응 형태인 것으로 보이며, 각 종별 생태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nalyzing the Problems of Nature Trails of National Park - Case Studies on Odaesan and Seoraksan National Park -

  • Cho, Tae-Dong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8권7호
    • /
    • pp.715-719
    • /
    • 2009
  • This research focuses on analyzing the problems of guideline signs, facilities and length of nature trails of Odaesan and Seoraksan national park, and aims to help the preservation of nature 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children's learning of nature by observing the usage of nature trails in the children's point of view. On-site research and questionnaire research took place in November 2008 and february 2008. Considering the contemporary problems, we have proposed the location change of guideline signs to be suitable for children and also the change of its design for children's increased attention.

설악산 국립공원의 개미 (Ants from the Seoraksan National Park)

  • Seong-Joon Park;Ki-Gyong Kim;Joong-Hyon Kim;Byung-Jin Kim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4권4호
    • /
    • pp.429-439
    • /
    • 1998
  • 설악산 개미류의 분포 조사는 Choi(1986)에 의한 4아과 15속 29종이 처음 보고되었으나, 이후 체계적은 보고는 없었다. 1991년 4월부터 1997년 9월까지 개미류를 채집하여 동정한 결과 5속 26종을 추가 보고하며, 이로서 설악산에는 총 4아과 20속 55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세계유산의 등재기준(vii)의 적용 사례 분석과 잠정목록 상에 있는 한국 자연유산에의 적용 가능성 연구: 설악산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riterion (vii) of World Heritage and Identifying Values in Criterion (vii) for Mt. Seoraksan in the Tentative List)

  • 성효현;김지수;서지원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1-21
    • /
    • 2016
  • 본 연구는 UNESCO 세계유산의 등재기준(vii)의 적용 사례 분석을 토대로 잠정목록에 있는 설악산 지역이 기준(vii)의 심미적 관점에서 세계유산으로 등재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78~2015년 사이에 등재된 기준(vii)을 포함하는 114개소 자연유산별 등재 타당성 근거에 대한 텍스트 분석을 수행하여 기준(vii)이 내포하는 가치 요소들을 구체화하고 적용 사례를 범주화하였다. 이를 토대로 설악산에 대한 기준(vii)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한 결과 첫째, 설악산 지역에는 시각적 아름다움을 국가적으로 인정받은 명승이국립공원들 중 가장 많다는 점에서 시각적 자연미의 가치를 적용해볼 수 있다. 둘째, 설악산에는 비교적 좁은지역 내에서 화강암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스케일의 지형경관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화강암 지형경관의 종합성 가치를 적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설악산 지역에서 지형발달에 따른 산지하천 지형경관을 체계적이고 다양하게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역시 지형경관의 종합성 가치를 적용할 수 있다.

  • PDF

설악산국립공원 상록침엽수 고사목 공간분포 특성 - 서북능선 일원을 대상으로 - (Spatial Distribution of Evergreen Coniferous Dead Trees in Seoraksan National Park - In the Case of Northwestern Ridge -)

  • 김진원;박홍철;박은하;이나연;오충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9-71
    • /
    • 2020
  • Using high-resolution stereoscopic aerial images (in 2008, 2012 and 2016), we conducted to analyz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ffecting evergreen coniferous die-off in the northwestern ridge (major distribution area such as Abies nephrolepis), Seoraksan National Park. The detected number of dead trees at evergreen coniferous forest (5.24㎢) was 1,223 in 2008, was 2,585 in 2012 and was 3,239 in 2016. The number of cumulated dead trees was 7,047 in 2016.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dead trees increased relatively in the northwest ridge, Seoraksan National Park. Among the analysed spatial factor (altitude, aspect, slope, solar radiation and topographic wetness index), the number of dead trees was increased in the conditions with high altitude, steep slope and dry soil moisture. A spatial distribution of dead tree was divided into 2 groups largely (high altitude with high solar radiation, low altitude with steep slope). In conclusion, the dead trees of evergreen coniferous were concentrated at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causing dryness in the northwestern ridge, Seoraksan National P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