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timent word

검색결과 148건 처리시간 0.029초

Word2Vec을 활용한 뉴스 기반 주가지수 방향성 예측용 감성 사전 구축 (News based Stock Market Sentiment Lexicon Acquisition Using Word2Vec)

  • 김다예;이영인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3-20
    • /
    • 2018
  • 주식 시장에 대한 예측은 오랜 기간 많은 이들의 꿈이었다. 하지만 수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주식 시장을 정확하게 예측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었다. 본 연구는 주식 시장의 방향성에 주목하여 이 방향성을 예측할 수 있는 감성사전을 구축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2015년 1월 1일부터 2017년 12월 31일까지 3년간의 증시 뉴스 25,000여 건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문맥을 고려하기 위한 Word2Vec을 적용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뉴스에 감성분석을 실시하여 KOSPI 종가 지수를 예측해 보았다.

온라인 후기에 내재된 고객의 감성분석과 LQI 차원별 호텔 서비스 품질 평가 (Hotel Service Quality Evaluation Based on LQI using Sentiment Analysis of Online Reviews)

  • 사공원;하성호;박경배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5권3호
    • /
    • pp.217-245
    • /
    • 2016
  • Purpose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foreign travelers visiting Korea, it is a heavy question to evaluate service quality of typical domestic hotel companies. Our research aims to evaluate service quality of domestic hotels in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foreign travelers in order to provide the quality improvements that call attention for the hotel management. Design/Methodology/Approach In this paper, topics of sentiment followed Lodging Quality Index(LQI) dimensions classifying lodging service quality appropriately. Also, we employed word2vec algorithm which calculates similarity and affinity among the vocabularies accurately. To calculate sentiment of each dimension, we adopted scores from SentiWordNet. Findings From the result, we found the number of foreign travelers particularly satisfied with cleanliness, politeness, and problem solving skills. In contrast, it has also been found out that both promptness of services and efficiency of communication do not fulfill the requirements of travelers.

Sentiment Analysis of Korean Using Effective Linguistic Features and Adjustment of Word Senses

  • Jang, Ha-Yeon;Shin, Hyo-Pil
    • 한국언어정보학회지:언어와정보
    • /
    • 제14권2호
    • /
    • pp.33-46
    • /
    • 2010
  • This paper introduces a new linguistic-focused approach for sentiment analysis (SA) of Korean. In order to overcome shortcomings of previous works that focused mainly on statistical methods, we made effective use of various linguistic features reflecting the nature of Korean. These features include contextual shifters, modal affixes, and the morphological dependency of chunk structures. Moreover, in order to eschew possible confusion caused by ambiguous words and to improve the results of SA, we also proposed simple adjustment methods of word senses using KOLON ontology mapping information. Through experiments we contend that effective use of linguistic features and ontological information can improve the results of sentiment analysis of Korean.

  • PDF

게임 도메인 웹 코퍼스를 이용한 감성사전 구축 및 평가 (Construction and Evaluation of a Sentiment Dictionary Using a Web Corpus Collected from Game Domain)

  • 정우영;배병철;조성현;강신진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113-122
    • /
    • 2018
  • 본 논문은 게임 도메인에서 웹 코퍼스를 이용하여 감성사전을 구축하는 방법과 구축한 감성사전의 평가 결과를 기술한다. 감성사전 구축을 위해 먼저 트위터 형태소 분석기를 이용해 국내 한 포털 사이트의 게임 관련 웹 문서를 기반으로 어휘를 수집하여 감성 사전 어휘 목록을 만들었고, 목록에 있는 단어들 중 동사와 형용사 품사의 단어들에 대해 감성 사전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감성 사전의 평가를 위해 영어 기반의 Senti-word Net(SWN)을 한글로 번역한 한국어 SWN을 이용하여 정밀도와 재현율 값을 계산하였다. 평가 결과 긍정과 부정 감성의 F-1 값에 대한 평균이 형용사의 경우 0.85, 동사에 대해 0.77을 각각 보여 주었다.

맵리듀스를 이용한 통계적 접근의 감성 분류 (Statistical Approach to Sentiment Classification using MapReduce)

  • 강문수;백승희;최영식
    • 감성과학
    • /
    • 제15권4호
    • /
    • pp.425-440
    • /
    • 2012
  • 인터넷의 규모가 커지면서 주관적인 데이터가 증가하였다. 이에 주관적인 데이터를 자동으로 분류할 필요가 생겼다. 감성 분류는 데이터를 여러 감성 종류에 따라 나누는 것을 말한다. 감성 분류 연구는 크게 자연어 처리와 감성어 사전 구축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전의 감성 분류 연구는 자연어 처리 과정에서 형태소 분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와 감성어 사전구축 시 등록할 단어를 선별하고 단어의 감성 정도를 정하는 데에 명확한 기준을 정하기 힘든 문제가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감성 분류에 대용량 데이터와 통계적 접근의 조합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단어의 의미를 찾는 대신 수많은 데이터에서 등장하는 표현들의 통계치를 이용하여 감성 판단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접근은 자연어 처리 알고리즘에 의존하던 이전 연구와 달리 데이터에 집중한다. 대용량 데이터 처리를 위해 하둡과 맵리듀스를 이용한다.

  • PDF

감정점수의 전파를 통한 한국어 감정사전 생성 (Generating a Korean Sentiment Lexicon Through Sentiment Score Propagation)

  • 박호민;김창현;김재훈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9권2호
    • /
    • pp.53-60
    • /
    • 2020
  • 감정분석은 문서 또는 대화상에서 주어진 주제에 대한 태도와 의견을 이해하는 과정이다. 감정분석에는 다양한 접근법이 있다. 그 중 하나는 감정사전을 이용하는 사전 기반 접근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널리 알려진 영어 감정사전인 VADER를 활용하여 한국어 감정사전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세 단계로 구성된다. 첫 번째 단계는 한영 병렬 말뭉치를 사용하여 한영 이중언어 사전을 제작한다. 제작된 이중언어 사전은 VADER 감정어와 한국어 형태소 쌍들의 집합이다. 두 번째 단계는 그 이중언어 사전을 사용하여 한영 단어 그래프를 생성한다. 세 번째 단계는 생성된 단어 그래프 상에서 레이블 전파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새로운 감정사전을 구축한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생성된 한국어 감정사전을 유용성을 보이려고 몇 가지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 생성된 감정사전을 이용한 감정 분류기가 기존의 기계학습 기반 감정분류기보다 좋은 성능을 보였다. 앞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법을 적용하여 여러 언어의 감정사전을 생성하려고 한다.

잠재 구조적 SVM을 활용한 감성 분석기 (Sentiment Analysis using Latent Structural SVM)

  • 양승원;이창기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240-24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댓글(음식점/영화/모바일제품) 및 도메인이 없는 트위터 데이터에 대한 감성 분석을 수행하고, 각 문장에 대한 object(or aspect)와 opinion word를 추출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평가한다. 감성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Structural SVM 알고리즘과 Latent Structural SVM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비교 평가하였으며, 실험 결과 Latent Structural SVM이 더 좋은 성능을 보였으며, 구문 분석을 통해 분석된 VP, NP정보를 활용하여 object(aspect)와 opinion word를 추출할 수 있음을 보였다. 또한, 실제 서비스에 활용하기 위해 감성 탐지기를 개발하고 평가하였다.

한글 음소 단위 딥러닝 모형을 이용한 감성분석 (Sentiment Analysis Using Deep Learning Model based on Phoneme-level Korean)

  • 이재준;권순범;안성만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79-89
    • /
    • 2018
  • Sentiment analysis is a technique of text mining that extracts feelings of the person who wrote the sentence like movie review. The preliminary researches of sentiment analysis identify sentiments by using the dictionary which contains negative and positive words collected in advance. As researches on deep learning are actively carried out, sentiment analysis using deep learning model with morpheme or word unit has been done. However, this model has disadvantages in that the word dictionary varies according to the domain and the number of morphemes or words gets relatively larger than that of phonemes. Therefore, the size of the dictionary becomes large and the complexity of the model increases accordingly. We construct a sentiment analysis model using recurrent neural network by dividing input data into phoneme-level which is smaller than morpheme-level. To verify the performance, we use 30,000 movie reviews from the Korean biggest portal, Naver. Morpheme-level sentiment analysis model is also implemented and compared. As a result, the phoneme-level sentiment analysis model is superior to that of the morpheme-level, and in particular, the phoneme-level model using LSTM performs better than that of using GRU model. It is expected that Korean text processing based on a phoneme-level model can be applied to various text mining and language models.

딥러닝 기반의 다범주 감성분석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Deep Learning Models for Multi-class Sentiment Analysis)

  • 알렉스 샤이코니;서상현;권영식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49-160
    • /
    • 2017
  • Sentiment analysis is 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a piece of document, text or conversation is positive, negative, neural or other emotion. Sentiment analysis has been applied for several real-world applications, such as chatbot. In the last five years, the practical use of the chatbot has been prevailing in many field of industry. In the chatbot applications, to recognize the user emotion, sentiment analysis must be performed in advance in order to understand the intent of speakers. The specific emotion is more than describing positive or negative sentences. In light of this context, we propose deep learning models for conducting multi-class sentiment analysis for identifying speaker's emotion which is categorized to be joy, fear, guilt, sad, shame, disgust, and anger. Thus, we develo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long short term memory (LSTM), and multi-layer neural network models, as deep neural networks models, for detecting emotion in a sentence. In addition, word embedding process was also applied in our research. In our experiments, we have found that long short term memory (LSTM) model performs best compared to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and multi-layer neural networks. Moreover, we also show the practical applicability of the deep learning models to the sentiment analysis for chatbot.

Comparing Machine Learning Classifiers for Movie WOM Opinion Mining

  • Kim, Yoosin;Kwon, Do Young;Jeong, Seung Ryul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9권8호
    • /
    • pp.3169-3181
    • /
    • 2015
  • Nowadays, online word-of-mouth has become a powerful influencer to marketing and sales in business. Opinion mining and sentiment analysis is frequently adopted at market research and business analytics field for analyzing word-of-mouth content. However, there still remain several challengeable areas for 1) sentiment analysis aiming for Korean word-of-mouth content in film market, 2) availability of machine learning models only using linguistic features, 3) effect of the size of the feature set. This study took a sample of 10,000 movie reviews which had posted extremely negative/positive rating in a movie portal site, and conducted sentiment analysis with four machine learning algorithms: naïve Bayesian, decision tree, neural network, and support vector machines. We found neural network and support vector machine produced better accuracy than naïve Bayesian and decision tree on every size of the feature set. Besides, the performance of them was boosting with increasing of the feature set siz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