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timent

검색결과 941건 처리시간 0.032초

감정 단어의 의미적 특성을 반영한 한국어 문서 감정분류 시스템 (A Korean Document Sentiment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Semantic Properties of Sentiment Words)

  • 황재원;고영중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7권4호
    • /
    • pp.317-322
    • /
    • 2010
  • 본 논문은 감정단어(Sentiment Word)의 의미적 특성을 반영하여 한국어 문서 감정분류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감정단어는 감정을 가지는 단어를 의미하며, 감정단어들의 집합은 감정자질(Sentiment Feature)로써 감정분류를 위한 중요한 어휘 자원이다. 감정자질은 일반적으로 사용될 때와 특정 영역(Domain)에서 사용될 때에 그 감정 정도의 차이를 가진다. 감정자질이 일반적으로 사용될 때 그 감정 정도는 검색 엔진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스니핏(Snippet)을 통해 추정할 수 있으며, 특정 영역에서 사용될 때의 감정 정도는 실험 말뭉치를 이용하여 추정할 수 있다. 이렇게 추정된 감정자질의 감정 정도 수치를 의미지향성이라고 하며, 문서내의 문장의 감정 강도를 추정하기 위해 이용된다. 문장의 감정 강도가 추정되면 문장 감정 강도를 감정자질의 가중치에 반영하게 된다. 본 논문은 지지 벡터 기계(Support Vector Machine)를 이용하여 일반적, 영역 의존적, 일반적/영역 의존적 의미지향성을 반영한 경우에 대해 성능을 평가한다. 평가 결과, 앞의 3가지 경우에 모두 성능 향상을 얻었으며 일반적/영역 의존적 의미지향성을 반영한 경우, 일반적인 정보 검색에서 사용하는 내용어(Content Word) 기반의 자질을 사용한 경우보다 3.1%의 성능 향상을 얻을 수 있었다.

Bi-LSTM 기반의 한국어 감성사전 구축 방안 (KNU Korean Sentiment Lexicon: Bi-LSTM-based Method for Building a Korean Sentiment Lexicon)

  • 박상민;나철원;최민성;이다희;온병원
    • 지능정보연구
    • /
    • 제24권4호
    • /
    • pp.219-240
    • /
    • 2018
  • 감성사전은 감성 어휘에 대한 사전으로 감성 분석(Sentiment Analysis)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된다. 이와 같은 감성사전을 구성하는 감성 어휘는 특정 도메인에 따라 감성의 종류나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슬프다'라는 감성 어휘는 일반적으로 부정의 의미를 나타내지만 영화 도메인에 적용되었을 경우 부정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정확한 감성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특정 도메인에 알맞은 감성사전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 특정 도메인에 알맞은 감성사전을 구축하기 위해 범용 감성 사전인 오픈한글, SentiWordNet 등을 활용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오픈한글은 현재 서비스가 종료되어 활용이 불가능하며, SentiWordNet은 번역 간에 한국 감성 어휘들의 특징이 잘 반영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으로 인해 특정 도메인의 감성사전 구축을 위한 기초 자료로써 제약이 존재한다. 이 논문에서는 기존의 범용 감성사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어 기반의 새로운 범용 감성사전을 구축하고 이를 KNU 한국어 감성사전이라 명명한다. KNU 한국어 감성사전은 표준국어대사전의 뜻풀이의 감성을 Bi-LSTM을 활용하여 89.45%의 정확도로 분류하였으며 긍정으로 분류된 뜻풀이에서는 긍정에 대한 감성 어휘를, 부정으로 분류된 뜻풀이에서는 부정에 대한 감성 어휘를 1-gram, 2-gram, 어구 그리고 문형 등 다양한 형태로 추출한다. 또한 다양한 외부 소스(SentiWordNet, SenticNet, 감정동사, 감성사전0603)를 활용하여 감성 어휘를 확장하였으며 온라인 텍스트 데이터에서 사용되는 신조어, 이모티콘에 대한 감성 어휘도 포함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 구축한 KNU 한국어 감성사전은 특정 도메인에 영향을 받지 않는 14,843개의 감성 어휘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정 도메인에 대한 감성사전을 효율적이고 빠르게 구축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딥러닝의 성능을 높이기 위한 입력 자질로써 활용될 수 있으며, 기본적인 감성 분석의 수행이나 기계 학습을 위한 대량의 학습 데이터 세트를 빠르게 구축에 활용될 수 있다.

Compositional rules of Korean auxiliary predicates for sentiment analysis

  • Lee, Kong Joo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7권3호
    • /
    • pp.291-299
    • /
    • 2013
  • Most sentiment analysis systems count the number of occurrences of sentiment expressions in a text, and evaluate the text by summing polarity values of extracted sentiment expressions. However, linguistic contexts of the expression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order to analyze sentimental orientation of the text meticulously. Korean auxiliary predicates affect meaning of the main verb or adjective in some ways while attached to it in their usage.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new approach that handles Korean auxiliary predicates in the light of sentiment analysis. We classify the auxiliary predicates according to their strength of impact on sentiment polarity values. We also define compositional rules of auxiliary predicates to update polarity values when the predicates appear along with sentiment expressions. This approach is implemented to a sentiment analysis system to extract opinions about a specific individual from review documents which were collected from various web sites. An experimental result shows approximately 72.6% precision and 52.7% recall for correctly detecting sentiment expressions from a text.

Sentiment Analysis Main Tasks and Applications: A Survey

  • Tedmori, Sara;Awajan, Arafat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5권3호
    • /
    • pp.500-519
    • /
    • 2019
  • The blooming of social media has simulated interest in sentiment analysis. Sentiment analysis aims to determine from a specific piece of content the overall attitude of its author in relation to a specific item, product, brand, or service. In sentiment analysis, the focus is on the subjective sentences. Hence, in order to discover and extract the subjective information from a given text, researchers have applied various methods in computational linguistics,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d text analysi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n in-depth up-to-date study of the sentiment analysis algorithms in order to familiarize with other works done in the subject. The paper focuses on the main tasks and applications of sentiment analysis. State-of-the-art algorithms, methodologies and techniques have been categorized and summarized to facilitate future research in this field.

BERT를 활용한 미국 기업 공시에 대한 감성 분석 및 시각화 (Sentiment Analysis and Data Visualization of U.S. Public Companies' Disclosures using BERT)

  • 김효곤;유동희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31권3호
    • /
    • pp.67-87
    • /
    • 2022
  • Purpose This study quantified companies' views on the COVID-19 pandemic with sentiment analysis of U.S. public companies' disclosures. It aims to provide timely insights to shareholders, investors, and consumers by analyzing and visualizing sentiment changes over time as well a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y industry. Design/methodology/approach From more than fifty thousand Form 10-K and Form 10-Q published between 2020 and 2021, we extracted over one million texts related to the COVID-19 pandemic. Using the FinBERT language model fine-tuned in the finance domain, we conducted sentiment analysis of the texts, and we quantified and classified the data into positive, negative, and neutral. In addition, we illustrated the analysis results using various visualization techniques for easy understanding of information. Findings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U.S. public companies' overall sentiment changed over time as the COVID-19 pandemic progressed. Positive sentiment gradually increased, and negative sentiment tended to decrease over time, but there was no trend in neutral sentiment. When comparing sentiment by industry, the pattern of changes in the amount of positive and negative sentiment and time-series changes were similar in all industries, but differences among industries were shown in neutral sentiment.

Text Mining and Sentiment Analysis for Predicting Box Office Success

  • Kim, Yoosin;Kang, Mingon;Jeong, Seung Ryul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2권8호
    • /
    • pp.4090-4102
    • /
    • 2018
  • After emerging online communications, text mining and sentiment analysis has been frequently applied into analyzing electronic word-of-mouth.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domain-specific lexicon of sentiment analysis to predict box office success in Korea film market and validate the feasibility of the lexico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and a lexicon-based sentiment classification method are employed. To create a movie domain sentiment lexicon, 233,631 reviews of 147 movies with popularity ratings is collected by a XML crawling package in R program. We accomplished 81.69% accuracy in sentiment classification by the Korean sentiment dictionary including 706 negative words and 617 positive words. The result showed a stronger positive relationship with box office success and consumers' sentiment as well 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in the linear regression for the predicting model. In addition, it reveals emotion in the user-generated content can be a more accurate clue to predict business success.

The Motivating Role of Sentiment in ESG Performance: Evidence from Japanese Companies

  • Vuong, Ngoc Bao;Suzuki, Yoshihisa
    • East Asian Economic Review
    • /
    • 제25권2호
    • /
    • pp.125-150
    • /
    • 2021
  • The paper investigates investor sentiment's role in boosting Japanese companies to enhance their environmental, social, and corporate governance (ESG) performance. Using ESG scores of 367 firms between 2005 and 2019 from the ASSET4 database, we find that negative sentiment in the previous year, both firm and market level, can be a stimulation for the company's commitments to its ESG activities next year. Notably,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business sector and economic cycle on the sentiment-ESG inference are detected in our study differentiating between corporate and market sentiment, which have never been reported before. In detail, we discover that the impact of firm-specific sentiment is less pronounced for high-sensitive ESG firms. On the other hand, the driving force of market sentiment on corporate social behaviors weakens when economic recessions happen. Our results are robust after controlling for potential endogeneity issues and using alternative proxies for market sentiment.

Sentiment Shock and Housing Prices: Evidence from Korea

  • DONG-JIN, PYO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44권4호
    • /
    • pp.79-108
    • /
    • 2022
  •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sentiment shock, which is defined as a stochastic innovation to the Housing Market Confidence Index (HMCI) that is orthogonal to past housing price changes, on aggregate housing price changes and housing price volatility. This paper documents empirical evidence that sentiment shock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Korea's aggregate housing price changes. Specifically, the key findings show that an increase in sentiment shock predicts a rise in the aggregate housing price and a drop in its volatility at the national level. For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SMR),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sentiment shock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one-month-ahead aggregate housing price changes, whereas an increase in sentiment volatility tends to increase housing price volatility as well. In addition, the out-of-sample forecasting exercises conducted here reveal that the prediction model endowed with sentiment shock and sentiment volatility outperforms other competing prediction models.

감정 자질을 이용한 한국어 문장 및 문서 감정 분류 시스템 (A Korean Sentence and Document Sentiment Classification System Using Sentiment Features)

  • 황재원;고영중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4권3호
    • /
    • pp.336-340
    • /
    • 2008
  • 최근 감정 분류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문서 전체에 관한 감정의 분류도 중요하지만, 문서를 이루고 있는 문장에 관한 분류도 점차 그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감정 분류 시스템 구축을 위해서 추출된 한국어 감정 자질을 이용한 한국어 문장 및 문서 감정 분류에 관해 연구한다. 한국어 감정 분류의 시작은 감정을 내포한 대표적인 어휘로부터 시작하며, 이와 같은 감정 자질들은 문장 및 문서의 감정을 분류하는데 결정적인 관여를 한다. 한국어 감정 자질의 추출을 위하여 영어 단어 시소러스 정보를 이용하여 자질들을 확장하고, 영한사전을 통해 확장된 자질들을 번역함으로써 감정 자질들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감정 자질들을 사용하여, 단어 벡터로 표현된 입력문서를 이진 분류기인 지지벡터 기계(SVM: Support Vector Machine)를 이용하여 문장과 문서에 내포된 감정을 판단하고 평가하였다.

문장 감정 강도를 반영한 개선된 자질 가중치 기법 기반의 문서 감정 분류 시스템 (A Document Sentiment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the Feature Weighting Method Improved by Measuring Sentence Sentiment Intensity)

  • 황재원;고영중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6권6호
    • /
    • pp.491-497
    • /
    • 2009
  • 본 논문은 한국어 문서감정 분류에서 각 문장의 감정 정도의 차이를 고려하여 자질의 가중치를 계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감정자질은 어휘 자원으로서 감정을 가지는 단어들의 집합이며, 학습데이터를 이용하여 이 감정자질의 카이제곱 통계량 값(${\chi}^2$ statistic)을 얻을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진 카이제곱 통계량 값으로 문서에서 출현한 각 문장의 감정강도를 수치화 할 수 있다. 각 문장의 감정강도는 문서에서 가장 강한 감정을 가진 문장에 근한 비율로 계산되며, 이 값을 TF-IDF 가중치 기법에 적용하여 최종적인 자질의 가중치를 결정하게 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문서 분류에서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는 지지벡터기계(Support Vector Machine)를 사용하여 기계학습을 수행한 후 성능을 평가한다. 성능평가에서 제안된 기법은 문장감정의 강도를 고려하지 않은 내용어(Content Word) 기반의 자질을 사용한 경우보다 약 2.0%의 성능향상을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