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sory property

검색결과 439건 처리시간 0.028초

Chlorella 추출물을 첨가한 Drinkable Yoghurt 제조에 따른 저장성 및 관능적 특성 (Keeping Quality and Sensory Property of Drinkable Yoghurt Added with Chlorella Extract)

  • 조은정;남은숙;박신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28-137
    • /
    • 2004
  • Chlorella 추출물을 첨가한 드링크 타입 요구르트를 개발하기 위하여 chlorella추출물 분말 0.25%를 첨가하여 발효시킨 후 chlorella 추출물 액상을 농도별 (2.5%, 5.0%, 7.5%, 10.0%)로 첨가하여 제조한 드링크 타입 요구르트의 저장성과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Chlorella 추출물 액상 첨가 드링크 타입 요구르트를 무침가구와 함께 4$^{\circ}C$와 2$0^{\circ}C$에서 15일 동안 저장한 결과, 4$^{\circ}C$에서 pH는 pH 4.13-4.27, 적정산도는 0.66-0.75%이었고, 2$0^{\circ}C$에서는 pH는 3.53 -3.56, 적정산도는 1.30-l.37%으로 chlorella 추출물 액상 무첨가구에 비하여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4$^{\circ}C$에서 저장하는 동안 chlorella 추출물 액상 첨가구의 pH와 적정산도는 크게 변화하지 않았으나, 2$0^{\circ}C$에서 저장하는 동안에는 젖산의 생성량이 크게 증가하여 매우 높은 산도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유산균수의 경우 4$^{\circ}C$에서는 chlorella 추출물 액상 첨가구는 8.42-8.89 log CFU/$m\ell$, 무첨가구는 8.62 log CFU/$m\ell$이었고, 2$0^{\circ}C$에서는 chlorella 추출물 액상 첨가구는 9.15-9.45 log CFU/$m\ell$, 무첨가구는 9.26 log CFU/$m\ell$이었다. 각 온도에서 chlorella 추출물 액상을 첨가한 드링크 타입 요구르트는 저장 기간 동안 chlorella 추출물 액상 무첨가구와 큰 차이 없이 유사한 균수를 유지하였으나, 2$0^{\circ}C$에서 저장하였을 때에는 4$^{\circ}C$에서 저장한 경우보다 높은 유산균수를 보였다. 그러나 chlorella 추출물 액상을 첨가한 실험구나 무첨가 대조구의 경우 저장 온도에 상관없이 15일까지 법적 유산균수(8.0 log CFU/$m\ell$ 이상)를 모두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chlorella 추출물 액상 무첨가구가 색, chlorella 맛, 후미, 전체적인 기호도에 있어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chlorella 향, 단맛, 신맛에 있어서도 비교적 우수한 평가를 받아 관능적으로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고 올리고당의 첨가량은 20% 첨가시 후미와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가장 좋게 평가되었다.

유기산 처리가 돈육의 VBN, TBARS, 색깔,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rganic Acid on Value of VBN, TBARS, Color and Sensory Property of Pork Meat)

  • 강석남;장애라;이상옥;민중석;이무하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4호
    • /
    • pp.443-452
    • /
    • 2002
  • 유기산 처리가 돈육의 VBN, TBARS, 육색,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지방산패도 변화 비교(TBARS)의 경우, 젖산을 처리하지 않은 구와 0.5%, 1% 처리구에서 저장기간별로 지방산패도가 증가하였으나 1.5%와 2% 처리구에서는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다. 하지만 저장 14일째에는 1.5%와 2% 처리구에서 0.3mgMA/kg이하 수준의 낮은 값을 보였다. 구연산을 처리한 구에서도 저장 1일을 제외한 3, 7, 14일째에 처리구간별로 유기산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낮은 지방산패도를 나타내었다(p< .05). 저장 14일째에 대조구와 0.5%의 구연산 처리구에서의 지방산패도는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1.5%와 2% 처리한 구에서는 0.249${\sim}$0.229 gMA/kg으로 아주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모든 처리구내의 저장기간별 유의성은 발견되지 않았다. 단백질 변패도 변화 비교(VBN)의 경우 저장기간에 따라 대조구 및 0.5% 젖산 처리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 그리고 1% 초산 (1% 젖산, 1% 구연산은 제외) 처리구에서 단백질 변패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모든 유기산 1.5%, 2% 처리구에서는 초기의 값과 14일의 값이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유기산을 살포한지 30분 경과 후의 육색의 경우(0일차) 모든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높은 L*값이 나타나 표백현상이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5). 젖산 및 구연산의 경우 저장초기의 표백현상이 저장 14일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젖산의 경우 대조구에서 저장기간에 따라 L*값이 감소하였으나, 모든 처리구에서 저장기간에 따라 L*값의 감소는 나타나지 않았다. 초산의 경우 모든 처리구 및 대조구에서 저장기간에 따라 육색의 변화에 대한 유의성이 발견되지 않았다. 젖산을 관능검사한 구의 육색의 선호도에 있어서는 1, 1.5, 2% 처리한 구가 유의적으로 낮았으나 대조구 및 0.5% 처리구에서는 유의적으로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이는 유기산에 의한 탈색 현상 때문으로 생각된다. 구연산의 경우는 육색의 선호도가 대조구보다 처리구가 낮았으나 선호도에서는 처리구가 오히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젖산처럼 산취, 비린내, 피냄새, 불쾌취에 대해 대조구와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반면, 초산 처리의 경우 처리구 모두에서 심한 산취를 느꼈으며 전체적인 선호도도 낮았다. 그러나 비린내는 대조구가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결국 처리된 유기산의 농도가 높을수록 지방산패도와 단백질 변패도가 낮고 관능적인 특성에는 유의적인 영향은 없었음을 알 수 있었다.

Effects of Sex and Breed on Meat Quality and Sensory Properties in Three-way Crossbred Pigs Sired by Duroc or by a Synthetic Breed Based on a Korean Native Breed

  • Kim, Yong Min;Choi, Tae Jeong;Cho, Kyu Ho;Cho, Eun Seok;Lee, Jung Jae;Chung, Hak Jae;Baek, Sun Young;Jeong, Yong Dae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544-553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breed and sex on meat quality and sensory properties of the loin in three-way crossbred pigs: $Landrace{\times}Yorkshire{\times}Duroc$ (LYD) and $Landrace{\times}Yorkshire{\times}Woori$ (LYW) black pig synthesized by Korean native breed. Carcass traits did not differ by breed. Carcass weight and backfat thickness were higher in castrates than in gilts (p<0.01). LYW showed significant high values in fat content, cooking loss, and water-holding capacity (WHC) than LYD (p<0.05). Redness and yellowness of the meat were higher in LYW than in LYD (p<0.01). Further, LYW had lower pH and shear force than LYD (p<0.001). Significant high scores in color and flavor were obtained in LYW or gilts compared to LYD or castrates by sensory panel, respectively (p<0.05). However, other sensory traits did not differ by breed or sex. Capric acid (C10:0) was higher in LYD than LYW (p<0.001). However, stearic acid (C18:0) and saturated fatty acid (SFA) contents were higher in LYW than LYD (p<0.05). Eicosenoic acid (C20:2) and the n6/n3 ratio were higher in gilts than in castrates, whereas SFA content was higher in castrates than in gil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ertain physicochemical qualities of meat and sensory properties are improved in LYW compared to LYD. This study could provide basic data on meat quality of crossbred pigs with Woori black pig as a terminal sire.

느타리버섯과 현미를 이용한 즉석죽 제조조건의 최적화 (Optimization for the Preparation Conditions of Instant Rice Gruel Using Oyster Mushroom and Brown Rice)

  • 이기동;김현구;김진구;권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737-744
    • /
    • 1997
  • 4차원 반응표면분석에 의하여 느타리버섯과 현미를 이용한 즉석죽 제조조건의 최적화와 제조조건에 따른 제품의 관능적 품질을 모니터링 하였다. 즉석죽을 제조하기 위하여 현미의 수화시간은 50시간이 적당하였고, 찹쌀은 사용하기 전 1시간 수화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관능적 특성별 최적조건은 점성이 수침미에 대한 현미의 비율 47.58%, 주입액 함량 569.68 mL, 호화 및 살균을 위한 가열 시간 52.40분이었고, 맛에 대한 최적조건이 47.15%, 568.49 mL, 53.04분, 조직감에 대한 최적조건이 44.06%, 558.54 mL, 53.84분, 전반적 기호도에 대한 최적조건이 46.20%, 561.64 mL, 51.60분 등으로 각각 나타났다. 즉석죽의 관능적 특성을 모두 만족시켜 주는 최적조건은 수침미에 대한 현미의 비율이 44%, 주입액 함량이 620 mL, 호화 및 살균을 위한 가열 시간이 56분으로 각각 나타났다. 즉석죽의 관능적 품질을 극대화하기 위한 제조조건의 예측값은 실제값과 유사하였다.

  • PDF

저장조건에 따른 복어육의 이화학적.기계적 특성과 관능적 특성간의 상관관계 분석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Physicochemical.Mechanic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Puffer Fish Fillet under Storage Conditions)

  • 문승권;박종희;유승석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205-219
    • /
    • 2012
  • 본 연구는 저장조건을 달리한 복어육의 기계적 특성과 관능적 특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복어육의 식품학적 품질특성을 알아내고자 하였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VBN이 증가하였으며 이는 부패가 진행되어 색에 대한 평가가 감소하게 되며, 어취가 증가하게 되어 냄새에 대한 평가도가 감소하고, 그에 따라 촉감에 대한 평가 또한 감소하게 된다. 관능적 특성에서는 $4^{\circ}C$에서 8-12시간 저장한 어육, $12^{\circ}C$에서 4-8시간 저장한 어육, $20^{\circ}C$에서 4시간 저장한 어육의 관능적 품질이 가장 우수하다고 나타났다. 복어육의 이화학적, 기계적 특성과 관능적 특성의 상관관계에서 명도가 증가함에 따라 색에 대한 평가는 감소하게 되는데, 기계적인 특성과 관능적 평가에 있어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다.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적색도가 감소하게 되어 색에 대한 평가 또한 감소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온도에 상관없이 황색도가 증가함에 따라 색에 대한 평가가 감소하였다. 경도는 단단함이 증가 할수록 손으로 느끼는 촉감이 좋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시간이 경과함에 탄력성은 감소하게 되고 촉감에 대한 평가 또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검성이 증가하여 촉감에 대한 평가 또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초의차 첨가가 청국장의 발효특성과 관능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oi-cha o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Sensory Quality of Chungkookjang (Korean Fermented Soybean))

  • 이현주;김선임;박진규;박재남;한인준;송범석;김재훈;변명우;이주운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44-149
    • /
    • 2008
  • 본 연구는 청국장의 관능적 품질개선을 위해 초의차(불발효차)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청국장의 발효기간 중 이화학적, 관능적 품질특성 및 미생물균수 측정을 실시하였다. 초의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발효미생물 생육이 지연되었고 pH 및 휘발성염기태 질소 함량은 초의차 첨가량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초의차 첨가 청국장의 색도측정에서 명도(L) 및 적색도(a)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그 결과 초의 차가 첨가된 모든 실험구들의 외관에 대한 선호도는 무첨가 대조구에 비해 낮았다. 또한 3%까지 초의차를 첨가할수록 이취개선 효과로 인해 향, 맛, 종합적 기호도가 증가하였으며, 3% 초의차 첨가 청국장의 항산화활성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청국장의 관능적 품질이 3%의 초의차 첨가에 의해 개선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Fermentation properties of beer produced from Korean two-row barley or malt (Gwangmaek) supplemented with Korean red ginseng extracts and Bokbunja (Rubus coreanus Miquel) juice

  • Park, Ji-Won;Kim, Ji Hyeon;Kwon, Young-An;Kim, Wang June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6호
    • /
    • pp.596-603
    • /
    • 2019
  • This study involved the production of specialty lager beers supplemented with Korean red ginseng extracts or Bokbunja (Korean black raspberry, Rubus coreanus Miquel) juice. The effects of the Korean red ginseng extracts or Bokbunja juice on the specific gravity, pH, yeast viability, free amino nitrogen content, reducing sugar content, color, alcohol content, turbidity, and sensory evaluation were evaluated. The alcohol content of the beers containing the extracts or juice were within the standard alcohol amounts (3.63-4.0%, v/v). The pH values of the three samples containing Bokbunja juice were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values. The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the addition of Bokbunja juice was superior to the ginseng extracts, and the optimal addition time was before or after the secondary fermentation. These data indicate that the flavor and odor of the Bokbunja juice are more persistent than that of the ginseng extracts.

Differenc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between Commercial Korean Native Chickens and Broilers

  • Choe, Jun-Ho;Nam, Ki-Chang;Jung, Samooel;Kim, Bin-Na;Yun, Hye-Jeong;Jo, Cheo-Ru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3-19
    • /
    • 2010
  •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between commercial Korean native chicken (KNC) and broiler (CB), nutritive and quality parameters of the two chicken species were determined. The KNC thigh muscle had a lower content of crude fat and higher crude ash than the CB thigh. In regards to the fatty acid composition, KNC breast muscle had a higher content of arachidonic acid (C20:4) than CB. The level of inosine was higher in the CB thigh muscle than KNC but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other nucleotide compounds. The KNC breast had higher amounts of glycine, alanine, and proline than CB,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high quality meat flavor. The sensory acceptanc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breast and thigh of KNC and CB. However, KNC had higher cohesiveness, chewiness and gumminess than CB, which are indicative of a unique texture property. Based on these results, commercial KNC may have superior nutritional quality, taste, and unique texture when compared with CB. Thus, the consumer preference for KNC may be partially explained by these distinctive quality characteristics.

모시잎 첨가량에 따른 쿠키의 품질 특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Added Boehmeria nivea)

  • 백재은;배현주;주나미;이수정;정현아;안은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46-452
    • /
    • 2010
  • In this study, Boehmeria nivea were extracted with water and ethanol, and antioxidative activity was investigated along with the quality of cookies prepared with added Boehmeria nivea, as a functional food. Among the water and ethanol extracts, high electron donating abilities were found. we selected various quantities of Boehmeria nivea(0%, 3%, 6%, 9%, 12%, 15%) to add to the cookies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performed sensory tests, as well as, measured chromaticity, and property of matter measurements. The rates of brightness, redness, and yellowness(p<0.001) chang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quantities Boehmeria nivea. The rates for spread ratio, hardness, brittleness, and chewiness(p<0.001) also changed siginificantly with increasing amounts Boehmeria nivea. Finally, texture(p<0.05), appearness, sweetness(p<0.01), bitterness, and overall quality(p<0.001) were examined in sensory tests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cookies that contained 3~9% of Boehmeria nivea presented the best quality.

Collective Prediction exploiting Spatio Temporal correlation (CoPeST) for energy efficient wireless sensor networks

  • ARUNRAJA, Muruganantham;MALATHI, Veluchamy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9권7호
    • /
    • pp.2488-2511
    • /
    • 2015
  • Data redundancy has high impact on Wireless Sensor Network's (WSN) performance and reliability. Spatial and temporal similarity is an inherent property of sensory data. By reducing this spatio-temporal data redundancy, substantial amount of nodal energy and bandwidth can be conserved. Most of the data gathering approaches use either temporal correlation or spatial correlation to minimize data redundancy. In Collective Prediction exploiting Spatio Temporal correlation (CoPeST), we exploit both the spatial and temporal correlation between sensory data. In the proposed work, the spatial redundancy of sensor data is reduced by similarity based sub clustering, where closely correlated sensor nodes are represented by a single representative node. The temporal redundancy is reduced by model based prediction approach, where only a subset of sensor data is transmitted and the rest is predicted. The proposed work reduces substantial amount of energy expensive communication, while maintaining the data within user define error threshold. Being a distributed approach, the proposed work is highly scalable. The work achieves up to 65% data reduction in a periodical data gathering system with an error tolerance of 0.6℃ on collected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