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sory papilla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8초

간과 폐에 기생하는 흡충류 감각유두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f the Sensory Papillae in the Liver and Lung Flukes)

  • 김수진
    • Applied Microscopy
    • /
    • 제15권1호
    • /
    • pp.101-111
    • /
    • 1985
  • A study was undertaken to observe the distribution and ultrastructure of the sensory papillae of the liver and lung flukes which was obtained from experimentally infected rats and dogs. For this study, the rats were artificially infected with metacercariae isolated from Pseudorasbora parve, and the dogs were artificially infected with metacercariae isolated from Cambaroides similis. The liver flukes (Clonorchis sinensis) were collected from the bile ducts of the rats which were autopsied 5 weeks later since infection. The lung flukes (Paragonimus westermani) were collected from the lung of the dogs which were autopsied 3 months later since infection. With the collected worms, ultrastructure of sensory papillae was studied by means of a scanning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he liver flukes were compared with the lung flukes. The results of the observation are as follows. 1. The sensory papillae of the liver flukes was classified into 3 types and most of sensory papillae were distributed on the oral sucker. 2. The sensory papillae of the lung flukes were distinguished 8 types. The sensory papilla type VIII was specifically distributed on the oral sucker and type I, II were distributed on the tegumental surface of the worm. The sensory papillae of the lung flukes were mostly observed between oral sucker and ventral sucker of the worm excusively 3. The sensory papillae of the liver flukes were distributed around the sucker while those of the lung flukes were developed between spine. 4. The sensory papillae were formed by many tegumental ridge in the liver flukes while was made of many small sensory papillae in the lung flukes. 5. The sensory cilia were observed between tegumental ridges in the sensory papilla of the liver flukes and also in lung flukes. And they are alike in that respect. 6. The sensory papillae were not developed in the posterior part of the liver and lung flukes but mostly nerve endings were formed in the tegumental syncytium, and it was connected with neuropile.

  • PDF

Tegumental ultrastructure of the juvenile and adult Himasthla alincia (Digenea: Echinostomatidae)

  • Han, Eun-Taek;Han, Kye-Young;Chai, Jong-Yil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1권1호
    • /
    • pp.17-25
    • /
    • 2003
  • The tegumental ultrastructure of juvenile and adult Himasthla alincia (Digenea: Echinostomatidae) was observ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One-, 5- (juveniles) and 20-day-old worms (adults) were harvested from chicks experimentally fed metacercariae from a bivalve, Mactra veneriformis. The juvenile worms were elongated and cu wed ventrally. The head crown bore 31 collar spines, arranged in a single row. The lip of the oral sucker had 12 paired, and 3 single type 1 sensory papillae, and the ventral sucker had about 25 type II sensory papillae. The anterolateral surface between the two suckers was densely packed with tegumental spines with 4-7 pointed tips. The adult worms were more elongated and filamentous, and had severe transverse folds over the whole body surface. On the head crown and two suckers, type 1 and 11 sensory papillae were more densely distributed than in the juvenile worms. Retractile brush-like spines, with 8-10 digits, were seen on the anterolateral surface, whereas claw-shaped spines, with 2-5 digits, were sparsely distributed posteriorly to the ventral sucker The cirrus characteristically protruded out, and was armed with small spines distally. The surface ultrastructure of H. alincia was shown to be unique among echinostomes, especially in the digitation of its tegumental spines, the distribution of sensory papillae and by severe folds of the tegument.

Surface ultrastructure of Metagonimus takahashii metacercariae and adults

  • Chai, Jong-Yil;Guk, Sang-Mee;Han, Eun-Taek;Seo, Min;Shin, Eun-Hee;Sohn, Woon-Mok;Choi, Sung-Yil;Lee, Soon-Hyung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8권1호
    • /
    • pp.9-15
    • /
    • 2000
  •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tudy was performed on the surface ultrastructure of metacercariae and adults of Metagonimus takahashii. Metacercariae were collected from the scale of crucian carp (Carassius auratus) , and adult flukes were harvested 1-4 weeks after infection to rats. In excysted metacercariae. the oral sucker had type I (numerous) and type II (seven in total) sensory papillae. Tegumental spines were dense and digitated into 5-7 points on the surface anterior to the ventral sucker, but became sparse and less digitated posteriorly toward the end of the body In adults, seven type II sensory papillae were characteristically arranged around the lip of the oral sucker, and on the inner side of the lip four small and two large type I sensory papillae were symmetrically seen on each side (12 in total). Tegumental spines on anterior two-thirds of the body. were digitated with 9-12 tips ventrally and 8-13 tips dorsally. Sperms entering into the Laurer's canal were observed. The results show that the surface ultrastructure of M. takuhashii is generally similar to those of M. yokogawai and M. miyatai except for the digitation of tegumental spines.

  • PDF

한국산 해양 완보류의 분류학적 연구 II. 바다가시곰벌레속 (이완보강. 마디곰벌레목. 바다가시곰벌레과) (Taxonomic Study of Marine Tardigrades from Korea II. Genus Halechiniscus (Heterotardigrada, Arthrotardigrada, Halechiniscidae))

  • Chang, Cheon-Young;Park, Hyun-Soo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8권1호
    • /
    • pp.91-98
    • /
    • 2002
  • 바다가시곰벌레속 (Halechiniscus)에 속하는 해양완보류 2종 (H. Jejuensis, H. remanei)을 보고한다. 신종인 제주가시곰벌레 (H. Jejuensis)는 몸통 측돌기의 위치와 모양, 제4다리 기부에 난 유두형의 감각톤기의 모양, 그리고 머리의 전단부가 두 갈래로 갈라져 있지 않은 점에서 본 속의 다른 종들과 뚜렷이 구별된다. 지금까지 바다가시곰벌레속에 기록된 9종에 대한 종검색표를 새롭게 작성하였다.

Expression of TRP Channels in Mouse Dental Papilla Cell-23 (MDPC-23) Cell Line

  • Shin, Myoung-Sang;Yeon, Kyu-Young;Oh, Seog-Bae;Kim, Joong-Soo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31권4호
    • /
    • pp.135-140
    • /
    • 2006
  • Temperature signaling can be initiated by members of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thermo-TRP) channels. Hot and cold substances applied to teeth usually elicit pain sensation. Since odontoblasts constitute a well-defined layer between the pulp and the mineralized dentin, being first to encounter thermal stimulation from oral cavity, they may be involved in sensory transduction process, in addition to their primary function as formation of dentin. We investigated whether thermo-TRP channels are expressed in a odontoblast cell line, MDPC-23. The expressions of thermo-TRP channels were examined using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immunohistochemistry, fluorometric calcium imaging. Analysis of RT-PCR revealed mRNA expression of TRPV1, TRPV2, TRPV4 and TRPM8, but no TRPV3, TRPA1. Immunohistochemical approach failed to detect TRPV1 expression. Whereas the application of 4-phorbol-12,13-didecanoate($10\;{\mu}M$, a TRPV4 agonist), menthol(1 mM, a TRPM8 agonist) and icilin($10\;{\mu}M$, a TRPM8 agonist) produced the enhancement of intracellular calcium concentration, capsaicin($1\;{\mu}M$, a TRPV1 agonist) did not. Our results suggest that subfamily of thermo-TRP channels expressed in odontoblasts may serve as thermal or mechanical transducer in teeth.

한국의 간흡충에 관한 연구 X. Fibricola seoulensis 표피의 전자현미경적 관찰 (Studios on Intestinal Trematodes in Korea X.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 on the Tegument of Fibricola seoulensis)

  • 서병설;이순향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2권1호
    • /
    • pp.21-29
    • /
    • 1984
  • 유혈목이에서 얻은 피낭유충을 생쥐(mouse)에 실험 감연시킨후 소장에서 수집한 Fibricole seoulensis 성충의 표피 메세구조를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1. 충체전반부는 자갈모양 원형질돌기(cobblestone-like cytoplasmic processes)로, 충체후반부는 손가락모양 원형질돌기(finger-like cytoplasmic processes)로 덮혀 있었다. 2. 전단 배면에는 상모양가시(spade shape spine)가 60∼70개 있었으며, 충체전반부에는 끝이 3∼4분지된 가시가 분포하고 있었는데, 특히 배면 전방 중앙부분에 밀집되어 있었다. 3. 구흠반 후면과 닥흡반에는 끝이 2∼3분지된 가시가 배열되어 있었다. Tribocytic organ 외면은 고사상으로 주름져 있었으며 stout recurved spine으로 무장되어 있었다. 충체후반부의 앞 1/3까지 끝이 분지되지 않은 가시가 발견되 었다. 4. 제 I형 감각유두(ciliated knob-like papilla)는 충체전반부 배면과 복면에 거의 과우대칭적으로 분포하였으며, 특히 구흡반, 복홈반, tribocytic organ 주위와 전반부의 외연에 밀집되어 있었다. 제 II형 감각유두(non-ciliated round swellings)는 구흡반과 복흡반의 외연(lip)에 각각 24개씩 배열되어 있었다. 제 III형 감각유두(plate-like elevation)는 충체후반부 전면에 걸쳐 분포하였다. 이 3가지 감각유두는 그 구조와 분포로 보아 tangoreceptor 혹은 rheoreceptor로 생각되었다. (이 연구를 진행하는데 정성을 다해 도와주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전자현미경실 이하규선생 과 강미숙양 그리고 좋은 사진을 찍을 수 있도록 배려해 주신 주식회사 한국 ISI이만희 사장님과 관계직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 PDF

Parvatrema timondavidi (Digenea: Gymnophallidae) 피낭유충, 유약충 및 성충의 표피 미세구조 (Surface ultrastructure of Parvatrema timondavidi (Digenea: Gymnophallidae) according to its developmental stages)

  • 유재란;박진영;채종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2권2호
    • /
    • pp.65-74
    • /
    • 1994
  • 반지락큰입흡충 Pmpemn timondavidi(Digenea: Gynulophallidae)의 발육단계별 표피 미세구조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을 피낭유충은 반지락(TqvesphiEippinam)으로부터 분리하였고 유약충 및 성충은 피낭유충을 마우스에 경구 감염시킨 다음 1일. 2일 3일 및 7일째에 소장으로부터 회수하였다. 피낭유충은 큰 구흡반과 측면돌기를 가지고 있었다. 구흡반의 구순에는 제1형 및 제2형 감각유두가 밀집하여 있었으며. 측면돌기 내측에 제3형 감각유두가 관찰되었다 생식공은 복흡반 전방으로 멀리 떨어져 위치하였으며, 생식공 주위에 제1형 감각유두가 밀집되어 있었다 피극은 흡반의 구순과 생식공 주변을 제외한 전 충체 표피에 모두 분포하였다. 감염 1일의 유약충에서는 복흡반이 발달되어 있었고, 구순의 내연과 외연에 제1형 및 제2형 감각유두가 6개씩 관찰되었다. 복흡반 바로 전방에는 제1형 감각유두 2개가 분포하고 있었다. 생식공은 매우 작으며 주위에 제1형 감각유두 15개가 분포하였다 감염 2-7일의 충체들은 성장이 계속될수록 피극의 분 자수가 많아졌고, 생식공 위로 생식강(genital atrium)이 생겨 생식공을 덮고 있었으며, 원형질 이 분화하여 돌기와 함몰부가 많이 생겼다. 감염 2일 및 3일 된 유약충들의 구흡반 구순에는 제2형 감각유두 4개가 분포하는 것이 특이하였다. P. timondavidi는 구흡반의 감각유두 배열, 생식공 주위 의 제1형 감각유두 분포와 모양 및 복흡반 전방에 제1형 감각유두 2개의 존재 등으로 다른 Gymnophallidae과의 충체들과 구별할 수 있었다.

  • PDF

한국산 자리돔속 어류의 형태학적 연구 II. 한국산 자리돔속 어류 3종, 자리돔 (Chromis notata), 노랑자리돔 (Chromis analis) 및 연무자리돔 (Chromis fumea)의 골격 비교 (Morphological Study of the Genus Chromis from Korea II . Comparison of Skeletal Characters of Chromis notata, Chromis analis and Chromis fumea)

  • 김용억;김진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62-573
    • /
    • 1997
  • 1993년 4월부터 1994년 8월까지 우리나라에서 채집된 자리돔속 (Chromis) 어류에 속하는 자리돔 (Chromis notata), 노랑자리 돔 (C. analis) 및 연무자리 돔 (C. fumea)을 대상으로 그들의 내부골격을 조사하였다. 자리돔속 3종은 두개골, 내장골, 척추골 및 미골의 형태에서 잘 구별되었다. 자리돔은 완만하게 경사진 인설골, 노랑자리돔은 3개의 꼬리지느러미 극상연조를 가지며, 연무자리돔은 전새개골의 뒷가장자리가 톱니 형태를 나타내어 뚜렷하게 구별 되었다. 본 조사 결과, 한국산 자리돔속 어류의 골격 중 두 개골의 상후두골, 부설골, 기저설골, 내장골의 전새개골, 안골의 안전골, 설궁의 인설골, 하설골, 각설골, 상설골, 견대의 후측두골, 후쇄골 상골편, 후쇄골 하골편, 첫 번째 사출골, 척추골의 측돌기 및 미골의 두번째 꼬리지느러미 앞 신경극이 새로운 분류형질로 밝혀졌다.

  • PDF

요꼬가와흡충에 관한 연구 VII. 표피 미세구조의 전자현미경적 관찰 (Study on Metagonimus yokogawai(Katsurada, 1912) in Korea Vll.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 on the Tegumental Structure)

  • 이순형;서병설채종일홍성종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2권1호
    • /
    • pp.1-10
    • /
    • 1984
  • 요꼬가와흡충의 표피 미세구조 변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탈낭된 피낭유층과 실험감염시킨후 2일, 1주, 4주에 횐쥐의 소장으로부터 회수한 충체의 표피를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1. 탈낭된 피낭유충의 표피는 가로로 얕게 주름져 있었으며, 전반부는 끝이 7∼8분지된 비늘모양의 가시로, 후반부는 2∼3분지된 가시로 덮혀 있었다. 감각유두는 두가지 형태가 관찰되었는데 제 I형 감각유두는 주로 구흡반과 복흡반주위에서, 제 II형은 구홉반에서만 발견되었다. 2. 감염 제 2일의 유약충은 원형질돌기의 골이 깊어지고 전반부에서는 혹모양으로, 후반부에서는 자갈모양으로 발달하였다. 전체적으로 가시의 크기가 커지고 간격이 넓어졌으며 배면전단에 끝이 9분지된 가시가 많이 출현하였다. 감각유두의 크기는 커졌으나 분포에는 변화가 없었다. 3. 감염 1주된 성충의 복흠반 표면은 융단모양으로 발달했으며, 후반부의 원형 질돌기는 후모양으로 되었다. 구흠반을 겅계로하여 전반부에는 끝이 7∼9분지된 가시가, 후반부에는 2∼4분지된 가시가 분포하는 것이 뚜렷해졌다. 감각유두가 더 커졌으며, 배면에는 제 I형 감각유두가 좌우대칭적으로 분포하였다. 4. 감염 4주된 성충의 표피는 더욱 분화되었으며 후반부는 융단모양의 원형 질돌기로 덮혀 있었다. 가시가 췰씬 길어졌으며 감각유두의 크기도 커졌다. 구흡반의 내면에서 능선형의 원헝질돌기들이 융기된 제 III형 감각유두가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요꼬가와흡충의 표피는 감염 첫날부터 4주까지 원헝 질돌기와 가시의 분화가 계속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를 위해 좋은 사진을 찍을 수 있도록 배려해 주신 주식회사 한국 ISI 이만희사장님과 관계직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