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mibatch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38초

회분과 반회분의 혼합형 공정에 의해 생성된 단분산 실리카 미립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nodispersed Silica Fine Particles Prepared by Using Batch-Semibatch Mixed Process)

  • 김기도;김희택
    • 공업화학
    • /
    • 제10권8호
    • /
    • pp.1180-1185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입경 제어가 용이하며 입자의 배열 상태가 치밀화된 매우 단분산된 실리카 미립자를 합성키 위하여 회분과 반회분의 적용 순서를 달리한 혼합 공정을 이용, TEOS(Tetraethylorthosilicate)의 가수분해로부터 실리카 미립자를 제조하였다. 실험은 회분과 반회분 각각의 공정을 회분-회분, 회분-반회분, 반회분-회분, 반회분-반회분의 네가지 형태로 순서를 바꾸어 혼합 적용하였으며, 각각의 공정에서 생성된 실리카 입자에 대하여 평균 입경, 입도분표, 수율, 그리고 입자의 치밀화 등을 측정,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최종 평균 입경과 수율은 반회분-반회분>회분-반회분>회분-회분>반회분-회분 공정의 순서로 컸으며, 입도 분포와 입자의 치밀화 정도는 회분-반회분>회분-회분>반회분-회분>반회분-반회분의 순서로 단분산되고 치밀한 결과를 보였다. 이중 반회분-회분, 반회분-반회분과 같이 반회분식으로 먼저 실험하여 입자를 생성한 경우는 두 번째 공정의 종류에 관계없이 모두 2차 핵 생성이 일어나는 결과를 보였으며, 이중 반회분-회분의 혼합 공정에 의해서 생성된 입자는 2차의 회분식 공정 단계에서 반응물이 첨가된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오히려 입자가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상기 네 가지 공정 중 회분-반회분 순서의 혼합 공정에 의해 생성된 실리카 미립자가 가장 단분산되고 입자의 치밀화가 양호한 상태로 쉽게 입경 제어를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균체재순환 및 동시당화발효에 의한 전분으로 부터의 반회분식 에탄올 발효 (Semibatch Ethanol Production from Starch by Simultaneous Saccharification and Fermentation Using Cell Recycle)

  • 김철호;유연우김철이상기
    • KSBB Journal
    • /
    • 제5권4호
    • /
    • pp.335-339
    • /
    • 1990
  • 전분으로 부터 에탄올을 생산하기 위한 경제적인 공정을 개발하기 위하여 Zymomonas mobilis와 당화효소(AMG)를 사용한 반 회분식 동시 당화 발효공정올 연구 하였다. 응집성 에탄올 균주인 Z. mobilis ZM40l과 침전조를 사용한 균체 재순환 방식에 의한 반회분식 동시 당화발효 공정에서는 에탄올 생산성이 제2차 및 제3차 발효에서 각각 4.1g / I / h 및 4.3 g / I / h이었다. 이에 비해 미세여과막(microfiltration) 장치에 의한 Z. mobilis ZM4의 재순환 방식을 사용하는 공정에서는 에탄올 생산성이 제2차 및 제3차 발효에서 모두 5.4 g / l / h로 더 높았다. 에탄올 생산 시설이 large-seale임을 고려할 때 미세여과막을 사용하는 반회분식 공정이 에탄올 생산성과 seale-up의 용이성 및 운전의 간편성등의 관점에서 가장 개발 가능성이 높은 공정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Absorption of Carbon Dioxide into Aqueous AMP Solutions

  • So, Won-Seob;Suh, Dong-Soo;Park, Moon-Ki
    • Environmental Sciences Bulletin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 /
    • 제2권1호
    • /
    • pp.79-84
    • /
    • 1998
  • The rates of absorption of carbon dioxide into aqueous solutions of 2-amino-2-methyl-1-propanol (AMP) were measured using a semibatch stirred vessel with a plane gas-liquid interface at $25^{\circ}C.$ The absorption rates under the fast reaction regime were analysed using chemical absorption theory. The reaction was found to be first order with respect to both $CO_2$ and the amine.

  • PDF

Absorption of Carbon Dioxide into Aqueous AMP Solutions

  • Won Seob So;Don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79-84
    • /
    • 1993
  • The rates of absorption of carbon dioxide into aqueous solutions of 2-amino-2-methyl-1 propanol (AMP) were measured using a semibatch stirred vessel with a plane gas-liquid interface at $25^{\circ}C$. The absorption rates under the fast reaction regime were analysed using chemical absorption theory. The reaction was found to be first order with respect to both $CO_2$ and the amine.

  • PDF

Model-on-demand Predictive Control of Polymerization Reactor Systems

  • Hur, Su-Mi;Park, Myung-June;Rhee, Hyun-Ku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1년도 ICCAS
    • /
    • pp.97.2-97
    • /
    • 2001
  • This work is concerned with the improvement of the productivity and the product quality in the polymerization reactors by using model-on-demand predictive control(MoDPC). This technique is applied to a continuous styrene polymerization reactor and a semibatch methyl methacrylate (MMA)/vinyl acetate(VAc) copolymerization reactor. The regress is constructed with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s the conversion and the jacket inlet temperature for the styrene polymerization reactor, and the free volume and the reactor temperature for the MMA/VAc copolymerization reactor through open loop operations. From the simulation results for setpoint tracking and disturbance rejection problems, it is demonstrated that the MoDPC shows ...

  • PDF

State Estimation and Property Control in an MMA-MA Copolymerization Reactor

  • Park, Myung-June;Hur, Su-Mi;Rhee, Hyun-Ku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1년도 ICCAS
    • /
    • pp.97.3-97
    • /
    • 2001
  • An experimental study was performed to establish the validity of an on-line state estimator for a semibatch MMA-MA copolymerization reactor by using on-line densitometer and viscometer under two different operating conditions; one without additional solvent feed and the other with solvent fed additionally. A conventional extended Kalman filter (EKF) was used as the state estimator an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application to the control of copolymer properties. Further analysis was made by using off-line measurement data for the mole fraction of MMA in the remaining monomers and the solid content. It was found that the EKF could provide a good estimate for the states of the copolymerzation system ...

  • PDF

Fatty Acid Composition and Stability of Extracted Mackerel Muscle Oil and Oil-Polyethylene Glycol Particles Formed by Gas Saturated Solution Process

  • Haque, A.S.M. Tanbirul;Asaduzzaman, A.K.M.;Chun, Byung-Soo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7권1호
    • /
    • pp.67-73
    • /
    • 2014
  • The oil in mackerel muscle was extracted using an environment friendly solvent,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SC-$CO_2$) at a semibatch flow extraction process and an n-hexane. The SC-$CO_2$ was maintained at a temperature of $45^{\circ}C$ under pressures ranging from 15 to 25 MPa. The flow rate of $CO_2$ (27 g/min) was constant during the entire 2 h extraction period.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oil was analyzed using gas chromatography (GC). Significant concentrations of eicosapentaenoic acid (EPA) acid and docosahexaenoic acid (DHA) acid were present in the SC-$CO_2$ extracted oil. The oil extracted using SC-$CO_2$ exhibited increased stability compared with n-haxane extracted oil. Particles of mackerel oil together with the biodegradable polymer, polyethylene glycol (PEG) were formed using a gas saturated solution process (PGSS) with SC-$CO_2$ in a thermostatted stirred vessel. Different temperatures ($45-55^{\circ}C$), pressures (15-25 MPa) and a nozzle size $400{\mu}m$ were used for PGSS with a 1 h reaction time. The stability of mackerel oil in the particles did not changed significantly.

p-Doped Polypyrrole및 composition Latex의 제조와 전도성 및 물성연구 (Preparation of p-Doped Polypyrrole and its Composition Latex and study on its Electrical Properties)

  • 한유동;김중현;김중인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4권7호
    • /
    • pp.808-816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안정제를 이용하는 반회분식 분산 중합(semi batch dispersion polymerization)공정으로 전도성 고분자인 p-Doped polypyrrole 입자를 제조하였다. 반회분식 분산 중합은 단량체를 monomer starved 조건하에서 연속 주입하여 중합시키는 방법으로써 polyvinylalcohol(PVA)을 안정제로 사용한 경우 평균 50nm, methylcellulose를 안정제로 사용한 경우평균 95nm 정도의 입자 크기를 갖는 dispersion을 제조할 수 있었으며, 이의 입자 크기 및 전도도는 단량체 투입 속도, 개시제 농도와 안정제의 종류, 분자량 및 농도에 따라 변화하였다. 이는 도입 성분중 개시제와 안정제의 역할(친수성 정도, 분자량)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이에 따른 물성의 최적점을 찾을 수 있었다.

  • PDF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와 1,4-부탄디올의 에스테르교환 반응 특성 (Transesterification Kinetics of Dimethyl Terephthalate with 1,4-Butanediol)

  • 조임표;이진홍;조상환;조민정;한명완;강경석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1권1호
    • /
    • pp.58-67
    • /
    • 2013
  • PBT (polybutylene terephthalate)는 저흡수율, 치수 안정성, 내마모성 등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며, 전기전자 부품, 자동차 부품, 각종 정밀 부품에 사용된다. DMT (dimethyl terephthalate)와 BD (1,4-butandiol)를 사용하여 PBT의 원료단량체인 BHBT (bis-hydroxybutyle terephthalate)를 생산하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 반응에 대해 연구 하였다. 촉매로는 zinc acetate가 사용되었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반응 중 생성 메탄올이 제거되는 반회분식 반응기를 통한 kinetics 연구가 이루어져 역반응이 고려되지 않음에 따른 모델의 부정확함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회분식 반응기를 사용하고 반응 중 DMT와 메탄올 양을 정량하여 생성되는 MHBT (methyl hydroxylbutylene terephthalate)와 BHBT를 추정할 수 있도록 하고, 이 반응들에서 역반응들을 고려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정확한 모델을 제안하였다. 다양한 반응속도 모델을 제시하였고, 이 모델들이 예측한 값들이 실험 데이터와 잘 일치함을 보였다.

Dimethyl Naphthalate와 Ethylene Glycol의 에스테르 교환반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er Interchange Reaction of Dimethyl Naphthalate with Ethylene Glycol)

  • 소순용;정성일
    • 폴리머
    • /
    • 제25권1호
    • /
    • pp.25-32
    • /
    • 2001
  • ${\circ}C$ 범위에서 아연과 망간촉매를 사용하여 에스테르 교환반응시켜 반응속도를 살펴보았다. 반응은 반회분식 반응기에서 비등온 조건으로 진행되었고 반응온도와 메탄올 유출량으로 반응성을 평가하였다. 반응모델로서는 관능기 모델과 분자종 모델을 적용하여 상호 비교하였다. 아연촉매를 사용할 경우 DMN과 EG의 반응속도는 methyl hydroxyethyl naphthalate(MHEN)와 EG의 반응속도에 비해 1.4배정도 였으나 망간촉매를 사용할 경우 4.3배정도로 촉매 종류에 따라 반응성이 크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연촉매의 경우 DMN 및 MHEN과 EG의 반응에 대한 촉매농도의 반응차수는 1보다 작았으나, 망간촉매의 경우 오히려 1보다 컸다. 활성화에너지는 DMN과 MHEN의 분자종 차이에 관계없이 아연과 망간촉매의 경우 각각 25000, 28750 cal/mol이었다. 두 가지 반응모델을 비교하여 본 결과 분자종 모델이 반응현상을 잘 표현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