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mi-ring-porous wood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8초

국산(國産) 활엽수재(闊葉樹材) 자원(資源)의 목재조직(木材組織) (II) - 가래나무과(科) 수목(樹木)의 비교목부조직(比較木部組織) - (Wood Anatomy of Some Korean Angiosperm (II) - A Comparative Wood Anatomy of Juglandaceae -)

  • 박상진;강애경;김유정;김재우;이정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3권3호
    • /
    • pp.82-87
    • /
    • 1995
  •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genus Platycarya, Juglans and Pterocarya of Juglandaceae occurring in Korea were described and coded based on the IAWA list. Juglandaceae are ring-porous or semi-ring-porous. Vessels have simple perforation plates and helical thickenings in some genus. Axial parenchyma cells were abundant, most apotracheal but rarely paratracheal and rays with 1-5 seriate. Platycarya is ring-porous wood with 2-3 rows of vessels in the pore zone. Helical thickenings were found only in small vessel of latewood. Axial parenchyma were commonly diffuse-in-aggregates or vasicentric. Rays 3-5 seriate. belonging to Kribs' heterogeneous II or III type with frequent occurrence of rhomboidal crystals. Juglans are semi ring-porous with few vessels in $mm^2$ and pores are commonly solitary. Axial parenchyma were diffuse-in-aggregate or marginal. Rays were mostly homocellular and 3-5 seriates. Pterocarya is similar to Juglans in anatomical features but the reticulate parenchyma consisting of 1 layer on transverse section and biseriate rays.

  • PDF

한지 원재료인 닥나무와 인피섬유의 해부학적·화학적 특성 연구 (Anatomical, Morpholog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Paper-mulberry Wood and Bast Fiber for Raw Material of Korean Paper(Hanji))

  • 고인희;정선화
    • 보존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17-524
    • /
    • 2018
  • 본 연구는 닥나무의 삼단면 관찰을 통하여 공통된 해부학적 특성을 가지는지 확인하고 닥나무 인피섬유의 섬유장 폭, 내강폭과 같은 형태학적 특징과 화학적 특징을 통해 펄프, 제지공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들을 분석하였다. 닥나무는 환공재, 반환공재이며 대도관이 고립관공으로 방사상배열이다. 접선단면 방사조직은 1~3열이고 나선비후가 관찰되어져 공통적으로 동일한 해부학적 특성이 나타났다. 인피섬유의 형태학적 특징으로는 섬유장 6.58~9.01 mm, 섬유폭 $15.85{\sim}27.80{\mu}m$, 내강폭 $4.50{\sim}12.54{\mu}m$로 나타났다. 펄프, 제지공정에 중요한 특성으로 여겨지는 runkel ratio, slenderness ratio 등을 고려했을 때 강원도 D시료가 가장 적합하였다. 인피섬유의 화학적 특성으로 경상도 C시료가 낮은 추출물 함량과 높은 셀룰로오스 함량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섬유의 형태학, 화학적 특성은 한지 제조 후 품질을 결정하는 주요 인자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