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emantic role labeling

Search Result 40,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Korean Semantic Role Labeling Based on Bidirectional LSTM CRFs Using the Semantic Label Distribution of Syllables (음절의 의미역 태그 분포를 이용한 Bidirectional LSTM CRFs 기반의 한국어 의미역 결정)

  • Yoon, Jungmin;Bae, Kyoungman;Ko, Youngjoong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10a
    • /
    • pp.324-329
    • /
    • 2016
  • 의미역 결정은 자연어 문장의 서술어와 그 서술어에 속하는 논항들 사이의 의미관계를 결정하는 것이다. 최근 의미역 결정 연구에는 의미역 말뭉치와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순차적 레이블링 영역에서 좋은 성능을 보이고 있는 Bidirectional LSTM-CRFs 기반으로 음절의 의미역 태그 분포를 고려한 의미역 결정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한 음절의 의미역 태그 분포를 고려한 의미역 결정 모델은 분포가 고려되지 않은 모델에 비해 2.41%p 향상된 66.13%의 의미역 결정 성능을 보였다.

  • PDF

Korean Semantic Role Labeling Based on Bidirectional LSTM CRFs Using the Semantic Label Distribution of Syllables (음절의 의미역 태그 분포를 이용한 Bidirectional LSTM CRFs 기반의 한국어 의미역 결정)

  • Yoon, Jungmin;Bae, Kyoungman;Ko, Youngjoo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6.10a
    • /
    • pp.324-329
    • /
    • 2016
  • 의미역 결정은 자연어 문장의 서술어와 그 서술어에 속하는 논항들 사이의 의미관계를 결정하는 것이다. 최근 의미역 결정 연구에는 의미역 말뭉치와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순차적 레이블링 영역에서 좋은 성능을 보이고 있는 Bidirectional LSTM-CRFs 기반으로 음절의 의미역 태그 분포를 고려한 의미역 결정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한 음절의 의미역 태그 분포를 고려한 의미역 결정 모델은 분포가 고려되지 않은 모델에 비해 2.41%p 향상된 66.13%의 의미역 결정 성능을 보였다.

  • PDF

A Study of Null Instantiated Frame Element Resolution for Construction of Dialog-Level FrameNet (대화 수준 FrameNet 구축을 위한 생략된 프레임 논항 복원 연구)

  • Noh, Youngbin;Heo, Cheolhun;Hahm, Younggyun;Jeong, Yoosung;Choi, Key-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0.10a
    • /
    • pp.227-232
    • /
    • 2020
  • 본 논문은 의미역 주석(Semantic Role Labeling) 자원인 FrameNet을 준구어 말뭉치인 드라마 대본에 주석하는 과정과 주석 결과에 대해 서술한다. 본 논문에서는 프레임 - 프레임 논항 구조의 주석 범위를 한 문장에서 여러 발화로 이루어진 장면 (Scene) 단위의 대본으로 확장하여 문장 내에서 생략된 프레임 논항(Null-Instantiated Frame Elements)을 장면 단위 대본 내의 다른 발화에서 복원하였다. 본 논문은 프레임 자동 분석기를 통해 동일한 드라마의 한국어, 영어 대본에 FrameNet 주석을 한 드라마 대본을 선발된 주석자에 의해 대상 어휘 적합성 평가, 프레임 적합성 평가, 생략된 프레임 논항 복원을 실시하고, 자동 주석된 대본과 주석자 작업 후의 대본 결과를 비교한 결과와 예시를 제시한다. 주석자가 자동 주석된 대본 중 총 2,641개 주석 (한국어 1,200개, 영어 1,461개)에 대하여 대상 어휘 적합성 평가를 실시하여 한국어 190개 (15.83%), 영어 226개 (15.47%)의 부적합 대상 어휘를 삭제하였다. 프레임 적합성 평가에서는 대상 어휘에 자동 주석된 프레임의 적합성을 평가하여 한국어 622개 (61.68%), 영어 473개 (38.22%)의 어휘에 대하여 새로운 프레임을 부여하였다. 생략된 프레임 논항을 복원한 결과 작업된 평균 프레임 논항 개수가 한국어 0.780개에서 2.519개, 영어 1.290개에서 2.253개로 증가하였다.

  • PDF

Semantic Role Transformation of Arguments using Predicate and Josa Information (술어와 조사 정보를 이용한 논항의 의미역 변환)

  • Seo, Min-Jeong;Seok, Mi-Ran;Kim, Yu-Seop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4.10a
    • /
    • pp.51-55
    • /
    • 2014
  • 의미역 결정 (Semantic Role Labeling) 은 문장 내의 술어와 이들의 논항들의 의미 관계를 결정하는 과정을 뜻한다. 의미역 결정을 하기 위해서는 대량의 말뭉치와 다양한 언어 자원이 필요한데, 많은 경우에 PropBank 말뭉치가 사용된다. 한국어 PropBank는 다른 언어에 비해 자료가 적어 그것만을 가지고 의미역 결정을 하기에 적절하지 않다. 또한 한국어 의미 분석을 위해서 지금까지는 세종 말뭉치나 의미역이 활용되어 오기도 하였다. 따라서 한국어 의미역 결정에서는 한국어 PropBank 뿐만 아닌 세종 의미역 표지 부착 말뭉치의 구축 역시 요구되는데 말뭉치 구축 작업이 수동 부착 작업이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미 구축되어 있는 한국어 PropBank 의미역을 세종 의미역으로 자동 변환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자동 변환을 위해서는 먼저 PropBank 의미역의 변환 후보 의미역을 구하여 이들 중에서 가장 적절한 의미역으로 변환한다. 자동 변환을 위해서는 크게 3 가지 특징을 활용하는데, 첫째는 변환 대상 논항의 의미 유사성이고, 둘째는 논항과 의미 관계를 가지고 있는 술어, 그리고 셋째는 논항과 결합되어 있는 조사이다. 이 세 가지 특징을 사용하여 정확한 의미역 변환을 위해 술어, 조사의 의미역 결합 확률 테이블을 구축한다.

  • PDF

Korean Semantic Tagged Corpus Construction working (한국어 의미 표지 부착 말뭉치 구축 작업)

  • Lee, Min-Ji;Lee, Yoon-Jeong;Lee, Jung-Kuk;Kim, Jong-Dae;Park, Chan-Young;Song, Hae-Jung;Kim, Yu-Seop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2.10a
    • /
    • pp.99-103
    • /
    • 2012
  • 의미 역 결정 (Semantic Role Labeling)은 문장 내의 술어-논항 요소들의 의미 관계를 결정하는 과정이다. 이를 위해서는 의미 표지 부착 말뭉치가 필요하지만 한국어의 경우 이 데이터가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Proposition Bank(이하 PropBank) 말뭉치와 세종 용언 격틀 말뭉치 구축을 위한 의미 표지 부착 작업에 대해 설명한다. 표지 부착 작업은 말뭉치의 의존 관계를 사람이 파악하여 적절한 의미 역 태그를 다는 과정이고, 이 과정으로부터 얻은 말뭉치는 의미 역 결정을 위한 기계 학습 방법론의 훈련 자료로 이용된다. 이 과정에서 필요한 구문 표지 부착 밀뭉치로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의 구문표지 부착 말뭉치를, 그리고 언어자원으로는 한국어 PropBank의 frame file과 세종 용언 격틀 사전을 사용한다.

  • PDF

Korean Semantic Role Labeling with Highway BiLSTM-CRFs (Highway BiLSTM-CRFs 모델을 이용한 한국어 의미역 결정)

  • Bae, Jangseong;Lee, Changki;Kim, Hyunki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7.10a
    • /
    • pp.159-162
    • /
    • 2017
  • Long Short-Term Memory Recurrent Neural Network(LSTM RNN)는 순차 데이터 모델링에 적합한 딥러닝 모델이다. Bidirectional LSTM RNN(BiLSTM RNN)은 RNN의 그래디언트 소멸 문제(vanishing gradient problem)를 해결한 LSTM RNN을 입력 데이터의 양 방향에 적용시킨 것으로 입력 열의 모든 정보를 볼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자연어처리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Highway Network는 비선형 변환을 거치지 않은 입력 정보를 히든레이어에서 직접 사용할 수 있게 LSTM 유닛에 게이트를 추가한 딥러닝 모델이다. 본 논문에서는 Highway Network를 한국어 의미역 결정에 적용하여 기존 연구 보다 더 높은 성능을 얻을 수 있음을 보인다.

  • PDF

Multiple Semantic Role Labeling Problems Solving using CRFs (CRF를 이용한 복수 의미역 문제 해결)

  • Park, Tae-Ho;Cha, Jeong-Won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10a
    • /
    • pp.276-279
    • /
    • 2016
  • 의미역 결정에서 하나의 의미 논항이 둘 이상의 의미역을 가지는 경우는 복수의 레이블을 할당하기 때문에 어려운 문제이다. 본 논문은 복수의 의미역을 가지는 항의 의미역 결정을 위한 새로운 자질을 제안한다. 복수의 의미역을 결정하기 위해서 체언보다 선행되어 나타나는 용언에 대한 자질을 추가하였다. 또한 문장의 용언에 따라 의미역을 결정하기 위해서 문장 내의 용언 수만큼 각각에 용언에 대한 의미역을 결정할 수 있도록 반복적으로 레이블링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의 실험 결과로 제안한 방법은 74.90%의 성능(F1)을 보였다.

  • PDF

Korean Semantic Role Labeling with Highway BiLSTM-CRFs (Highway BiLSTM-CRFs 모델을 이용한 한국어 의미역 결정)

  • Bae, Jangseong;Lee, Changki;Kim, Hyunki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10a
    • /
    • pp.159-162
    • /
    • 2017
  • Long Short-Term Memory Recurrent Neural Network(LSTM RNN)는 순차 데이터 모델링에 적합한 딥러닝 모델이다. Bidirectional LSTM RNN(BiLSTM RNN)은 RNN의 그래디언트 소멸 문제(vanishing gradient problem)를 해결한 LSTM RNN을 입력 데이터의 양 방향에 적용시킨 것으로 입력 열의 모든 정보를 볼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자연어처리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Highway Network는 비선형 변환을 거치지 않은 입력 정보를 히든레이어에서 직접 사용할 수 있게 LSTM 유닛에 게이트를 추가한 딥러닝 모델이다. 본 논문에서는 Highway Network를 한국어 의미역 결정에 적용하여 기존 연구 보다 더 높은 성능을 얻을 수 있음을 보인다.

  • PDF

Neural transition-based joint models for dependency Parsing and semantic role labeling of Korean (뉴럴 전이 기반 한국어 의존 파싱 & 의미역 결정 통합 모델)

  • Min, Jin-Woo;Na, Seung-Hoon;Sin, Jong-Hun;Kim, Young-Kil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8.10a
    • /
    • pp.343-346
    • /
    • 2018
  • 기존의 의미역 결정은 먼저 구문 분석을 수행한 후에 해당 구문 분석 결과를 이용해 의미역 결정 테스크에 적용하는 파이프라인 방식으로 진행한다. 이러한 방식의 학습을 두 번 연이어 진행하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또한 구문 파싱과 의미 파싱에 대해 서로 영향을 주지 못하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의존 파싱과 의미역 파싱을 동시에 진행하도록 전이 액션을 확장한 의존 파싱 & 의미역 결정 통합 모델을 제안하고 실험 결과, Korean Prop Bank 의미역 결정 데이터 셋에서 파이프라인 방식 전이 기반 방식을 사용한 모델보다 논항 인식 및 분류(AIC) 성능에서 F1 기준 0.14% 높은 결과을 보인다.

  • PDF

Korean Semantic Role Labeling Using Domain Adaptation Technique (도메인 적응 기술을 이용한 한국어 의미역 인식)

  • Lim, Soojong;Bae, Yongjin;Kim, Hyunki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4.10a
    • /
    • pp.56-60
    • /
    • 2014
  • 기계학습 방법에 기반한 자연어 분석은 학습 데이터가 필요하다. 학습 데이터가 구축된 소스 도메인이 아닌 다른 도메인에 적용할 경우 한국어 의미역 인식 기술은 15% 정도 성능 하락이 발생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다른 도메인에 적용시 발생하는 성능 하락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서 기존의 소스 도메인 학습 데이터를 활용하여, 소규모의 타겟 도메인 학습 데이터 구축만으로도 성능 하락을 최소화하기 위해 한국어 의미역 인식 기술에 prior 모델을 제안하며 기존의 도메인 적응 알고리즘과 비교 실험하였다. 추가적으로 학습 데이터에 사용되는 자질 중에서, 형태소 태그와 구문 태그의 자질 값을 기존보다 단순하게 적용하여 성능의 변화를 실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