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edling method

검색결과 400건 처리시간 0.039초

종자저장방법 및 차광처리가 희귀식물 대청부채와 부채붓꽃의 발아와 유묘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ed Storage Methods and Shading o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Endangered Species, Iris dichotoma and Iris setosa)

  • 이수광;김효연;이기철;구자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1호
    • /
    • pp.60-66
    • /
    • 2015
  • 본 연구는 희귀식물인 대청부채와 부채붓꽃 종자저장방법과 적절한 차광처리를 구명하여 최적의 발아조건을 탐색하고 건전한 유묘를 확보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종자저장은 $-20^{\circ}C$, $2^{\circ}C$저장, $2^{\circ}C$ 습윤저장(30일, 60일), 노천매장, 상온저장의 6가지로 하였다. 차광처리는 온실내 대조구(무차광처리), 50% 차광처리, 80% 차광처리의 3가지로 하였다. 그 결과 대청부채의 발아율은 60일 저온습윤저장 종자를 파종하여 차광처리 대조구에서 발아시켰을 때 가장 높은 발아율(75%)을 나타내었으며 중간 저장성 종자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부채붓꽃의 발아율은 대청부채와 비슷한 경향으로 60일 저온습윤저장시 90% 이상의 높은 발아율을 보였으며, 80% 차광처리조건에서 가장 높은 발아율(95%)을 나타내었고, 건조한 조건에서 저장이 어려운 난저장성 종자로 생각된다. 대청부채의 유묘 특성은 60일 저온습윤저장 종자를 파종하여 차광처리 대조구에서 발아시켰을 때 초장 6.4 cm, 엽수 3매, 엽폭 4.6 mm, 엽장 5.7 cm, 근장 11 cm, 생중량(지상/지하부) 144 mg/260 mg, 건중량(지상/지하부) 31 mg/20 mg, 유묘활력지수와 변형된 활력지수가 각각 13,895 및 9,479로 가장 우수한 유묘를 확보할 수 있었다. 부채붓꽃의 유묘 특성 또한 60일 저온습윤저장 종자를 파종하여 차광처리 대조구에서 발아시켰을 때 초장 7.2 cm, 엽수 4매, 엽폭 3.2 mm, 엽장 6.8 cm, 근장 7.5 cm, 생중량(지상/지하부) 97 mg/153 mg, 건중량(지상/지하부) 17 mg/17 mg, 유묘활력지수와 변형된 활력지수가 각각 13,256 및 8,668로 가장 우수한 유묘를 확보할 수 있었다. 따라서 대청부채와 부채붓꽃 종자는 60일 저온습윤저장하여 차광처리 대조구에 파종시 각각 75%, 90% 이상의 발아율과 양질의 우수묘 확보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Establishment of Selection Method for Cold-Tolerant Individuals through Evaluating Tolerance of Evergreen Quercus spp. against Cold Stress

  • Park, DongJIn;Yong, Seong Hyeon;Choi, Myung Suk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5권4호
    • /
    • pp.232-239
    • /
    • 201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an efficient selection condition for cold-tolerant individuals among evergreen Quercus spp. To select higher cold-tolerant individuals among four species of evergreen Quercus spp. (Q. acuta, Q. glauca, Q. myrsinaefoila, and Q. salicina), an-year-old seedlings of each species were exposed to low temperature in serial, and then examined for the death of cell tissue and the surface temperature was monitored. It was shown that the higher numbers of seedlings of Q. myrsinaefolia were survived than the others when those seedlings are exposed to cold stress. Thus, selection of the cold tolerant individuals was conducted on Q. myrsinaefolia seedlings. The limit low temperature condition for selecting cold-tolerant individuals was -6℃ for 24 hrs because no seedling of Q. myrsinaefolia was survived after exposed to -7℃ for 24 hours. It was shown that the leaf surface temperature of the selected individuals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non-selected individuals when they were exposed to cold-stress while monitoring them using thermal graphic camera. The results in this study can be used for expanding afforestation area of tree species of the warm temperate zone for preparation of climate change.

홍조류 꼬시래기(Agarophyton vermiculophyllum)의 과포자방출 유도 방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Carpospore Release Induction Method of Agarophyton vermiculophyllum)

  • 최한길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42권3호
    • /
    • pp.225-231
    • /
    • 2020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optimal induction method for carpospore release from Agarophyton vermiculophyllum cystocarps for seedling production. We tested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carpospore release by using five different induction methods; spontaneous, desiccation, low temperature, desiccation+low temperature, and osmotic shock. Also, carpospores release was estimated at three temperatures (20, 25, and 30℃), and then under combinations of three day lengths (8, 12, and 16h) and two irradiances (30 and 60 μmol photons m-2 s-1), after pretreatment at desiccation+low temperature for 2 hr. The number of carpospores released was between 113 ~ 682 spores /cystocarp/day and it was maximal in the desiccation+low temperature treatment. Optimal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carpospore release of A. vermiculophyllum were 25℃, 16 h, and 60 μmol photons m-2 s-1. The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massive carpospores for seedling production of A. vermiculophyllum could be obtained under a combination of 25℃, 16 h, and 60 μmol photons m-2 s-1 after pretreatment in the desiccation+low temperature.

꼬시래기 양식에 관한 기초적 조사 (FUNDAMENTAL OBSERVATIONS ON GRACILARIA CULTURE)

  • 고남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34-138
    • /
    • 1969
  • 1. 꼬시래기의 환경에 따른 체장조성, 포자방출유발방법에 대한 성적, 야외채묘성적 및 채묘기별의 성장도를 조사하였다. 2. 간조시에 완전히 노산되는 곳보다는 담수나 해수에 잠길 수 있는 요소나, 물이 흐르는 곳이 성장이나 채묘가 잘 되고 체장조성도 크다. 3. 가을($8\~10$월)에는 성장이 빠르나 겨울($12\~2$월)에는 거의 성장이 안되므로 채묘시기는 $5\~6$월이 알맞다. 4. 포자방출 유발방법에는 일건방법이 가장 효과가 크지만 인공채묘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더 연구가 되어야 하겠다.

  • PDF

황해쑥에 함유된 화학물질이 다른 식물과 미생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In Fluence Chemicals From Artemisis argyi on the Growth of Selected Species of Plants and Microorganisms)

  • 길봉석;윤경원;이순엽;한동민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7권1호
    • /
    • pp.23-35
    • /
    • 1994
  • 황해쑥은 독특한 향취가 나고, 군락을 이루는 경우가 많으며 약용으로 많이 쓰이는 다년생 초본이다. 황해쑥의 잎에는 어떤 화학물질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들이 식물의 생장에 어떠한 효과를 나타내는지 조사하기 위하여 황해쑥의 잎 수용추출액을 농도별로 준비하여 새, 돌피, 소리쟁이, 상치의 발아실험을 실시했다. 그 결과 용식물의 종류별로 정도의 차이는 있었지만 발아가 억제되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생장시킨 4종의 식물에 유식물 신장생장은 앞의 발아 실험결과보다 덜 억제적이었다. 그런데 위의 추출액을 화분에 심은 식물에 공급하여 생장시킨 쇠무릅 식물은 발아, 신장 그리고 건중량생장이 모두 추출액 농도염가에 차등적으로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그러나 황해쑥 잎과 줄기에서 방산되는 휘발성 물질을 써서 실시한 발아와 유식물 신장생장실험 결과는 발아의 경우보다 신장시험의 값이 더 저조하게 나타났다. 그래서 황해쑥 잎에서 뽑은 청유로 돌피의 발아와 생장을 실험한 결과 대체로 높은 값을 얻었을 뿐 억제현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황해쑥의 청유를 써서 미샘물의 생장실험을 실시한 결과 대조구보다 실험구의 생장이 약간 억제되었고 또 반하와 벼 식물의 조직배양결과는 callus 생장율이 청유농도의 증가에 따라 심하게 억제되었다. 그래서 황해쑥에는 생장 제물질이 함유된 것으로 판명되었기에 GC/MS로 황해쑥잎을 화학분석하여 61종류의 성분을 처음으로 분리확인하였고 이들은 terpenoid가 대부분이었다. 이들중 9종류를 선택하여 생물학적 정량실험을 실시했으나 돌피의 발아와 생장율은 대조구와 실험구의 값이 거의 같은 정도로 큰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종자발아시험, 어린식물 신장생장, 미생물 생장, 조직배양 실험결과를 종합해 보면 황해쑥에 함유된 천연 화학물질은 식물생장에 억제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 PDF

이항기를 이용한 벼 직파방법과 파종기 및 파종량이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eding Methods, Dates and Rates on Grain Yield in Direct Seeding of Rice with Transplanter)

  • 안명훈;김기식;한세기;허범량;김광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20-327
    • /
    • 1990
  • 심수토중 직파재배를 할 경우 이미 보급되어 있는 이항기를 이용한 효율적인 파종방법과 북부 평야지대의 적정파종기 및 파종량을 구명하고자 천마벼를 공시하여 1986년부터 1988년까지 3년간 춘천에서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밭흙 또는 논흙을 상토로 하여 육묘상자에 파종한 후 이앙기를 이용한 심수토중직파가 가능하였으며, 1mm 최아하여 파종하고 간단관수로 물관리를 하는 것이 입모율이 높았다. 2. 입모율은 4월 30일과 5월 10일 파종구에서 높았으며, 입모율이 70% 이상되는 파종한계온도는 일평균 기온 14.8$^{\circ}C$, 일평균 지온 16.3$^{\circ}C$였다. 3. 출수기는 파종이 10일 늦어짐에 따라 2-3일 지연되었으며, 동일파종기에서는 직파재배가 손이앙보다 출수기가 4일 늦었고, 기계이앙보다는 1일 빨리 출수하였다. 4. 수수는 손이앙이나 기계이앙에 비하여 직파재배에서 더 많았고 입모율이 높았던 4월 30일 파종구와 상자당 200g 파종구에서 많았다. 5. 수량으로 본 적정파종기는 5월 상순으로 추정되었고, 수량성은 481kg/10a으로 손이앙 기계이앙과 같은 수준이었으며, 적정파종량은 상자당 200g으로 10a당 6kg 정도로 추정된다. 6. 심수토중직파시 수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은 입모율을 높여 단위면적당 수수와 입수를 증가시키는 것이었다.

  • PDF

지황의 공정묘 생산을 위한 플러그 트레이 파종 방법 (Sowing Method in Plug Tray for Production of Plug Seedlings of Rehmannia glutinosa (Gaertn.) Libosch. ex Steud.)

  • 황정훈;박은원;황희성;황소영;유진;황승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10-216
    • /
    • 2023
  • 일반적으로 지황[Rehmannia glutinosa (Gaertn.) Libosch ex Steud.]은 플러그 묘를 사용하지 않고 노지에 파종한다. 플러그 묘는 발아 촉진과 이식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지황의 플러그 육묘를 이용한 번식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공정육묘 방법 확립을 위한 지황의 최적 종근 길이, 굵기 및 파종 방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종근의 길이는 1, 2, 3cm로 구분하였고, 굵기는 각각 0.3-0.5, 0.6-1.0, 1.1-1.5cm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종근은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파종하였다. 종근 길이 1cm 처리에서 생존율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엽장, 엽폭, 엽수, SPAD, 엽면적,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체중 및 건물중은 3cm 길이에서 가장 높았다. 지황의 종근 굵기가 감소할수록 묘의 생육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지황의 종근을 수평 방향으로 파종하였을 때 엽장, 엽폭, 엽수, 엽면적은 수직 방향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적으로 지황 종근을 플러그 트레이 파종할때, 길이 3cm로 절단한 뒤 굵기 1.0cm 이하의 종근을 수평 방향으로 파종하는 것이 적절한 방법으로 판단된다.

Alfalfa의 재배에 관한 연구 II. 석탄 및 구비의 시용과 근류균접종이 초기생육 , 뿌리혹 형성 및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Alfalfa ( Medicago sativa L.) II. Effectcs of liming , manure application , and inoculation with Rhizobium on early growth, nodulation and dry matter yield)

  • 김희경;김동암;조무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45-152
    • /
    • 1991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iming, manure application, and inoculation with Rhizobium on the early growth, nodulation, seedling establishment, winter survival, and forage yield and quality of alfalfa(Medicago sativa L.) at the Experimental Livestock Farm, College of Agricul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Suweon in 1985 and 1986.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Seedling vigor and nodule formation of alfalfa at early stage were the best in the treatments of liminginoculation( L1) and liming-manure-inoculation(LM1). 2. Seedling establishment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treatments of liming, manure application, nodulation and the combination of these. 3. The LI and LMI treatments showed the highest winter survival of 94.3 and 83.5%, respectively, but the lowest winter su.rvival of 55.9 and 58.5% was found in no treatment(None) and inoculation( I ), respectively. 4. No differences in crude protein(CP1, acid detergent fiber(ADF) and neutral detergent fiber(NDF) contents were found among the treatments. 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otal dry matter yield of alfalfa among the treatments. The total dry matter yields of 10,618, 11,830, 11,855 and 13,456 kg/ha from the treatments of L, LM, LI and LMI, respectivel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None, M and I treatments. 6.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it appears that the dry matter yield of alfalfa could be enhanced by the treatments of liming with Rhizobium inoculation and also liming, manure application and Rhizobium inoculation as a practical method.

  • PDF

쥐오줌풀 개화·결실 특성과 적정 채종방법 및 육묘이식재배에 관한 연구 (Study on Flowering, Bearing Fruit, Seed Harvesting and Seedling Transplanting Cultivation of Valeriana fauriei Briquet)

  • 안영섭;허목;안태진;박춘근;김영국;박충범;백완숙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365-371
    • /
    • 201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know the characteristics of flowering and bearing fruit, the optimum period, regions and methods for seed harvesting, the optimum temperatures for seed storage and germination, and the optimum period for sowing at nursery bed and seedling transplanting of Valeriana fauriei Briquet. The flowering and bearing fruit of Valeriana fauriei was developed from the before-year root. Optimum period for seed harvest of Valeriana fauriei was from late July to middle August, and optimum areas were the high elevated areas over 500 m above the sea level as Jinbu-myeon, Pyeongchang-gun, Gangwon-do. Using of net-bag for seed harvesting was the effective method to gather the full ripe seed, and bagging of net-bag was necessary from the season of middle May that was the flowering middle-stage. Germination rates don't show the difference among the different temperatures of storage as approximately 41% at $-20^{\circ}C$, $2^{\circ}C$ or $20^{\circ}C$ of seed storage temperatures. The optimum temperature range was in $15{\sim}30^{\circ}C$ for seed germination at nursery bed. The optimum period for seed sowing at nursery bed was the late February, and the optimum period for seedling transplanting was the middle Apr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