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ed coat color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4초

Agronomical traits of Korean Mungbean Landrace

  • Yu-Na Kim;Soo-Kwon Park;Dool-Yi Kim;Mi-Suk Seo;Jung-Kyung Moon;Hyeon-Jung Kang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24-224
    • /
    • 2022
  • Mungbean(Vigna radiata (L.) R. Wilczek) is one of legume cultivated in south and east Asia. It well cultivated in high temperature and drought condition. In order to establish pure line for genomic studies, the agrono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mungbean landraces were evaluated. A total of 324 acessions derived from National Agrobiodiversity Center were selfed two times in 2021 nersery. Tree times of selfed from 324 accessions were characterized. The color of seed coat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green, yellow and brown. Among them green color was the most common with 91.7%. Flower color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yellow, purplish yellow, greenish yellow and purplish green. Among them purplish yellow color had the highest with 77.8%. Out of 324 resources, only 4 showed compound leaves, and all resources had a heart-shaped leaf. The days to first flowering was 31 to 78 days. About 63% of the accessions bloomed 35 to 50 days after sowing. 324 Korean landraces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population of the Korean mungbean core collection and serve as a basis for genomic breeding materials for mungbean.

  • PDF

수집(蒐集) 소립(小粒)콩의 주요 생태적(生態的) 특성(特性)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llected Small Grain Soybean (Glycine max L.) Varieties)

  • 박기선;조진웅;송희섭;최재을;구자형;김충수
    • 농업과학연구
    • /
    • 제25권1호
    • /
    • pp.6-11
    • /
    • 1998
  • 우리 나라 고유한 식품의 하나인 콩나물을 생산하는 나물용 콩의 재료인 소립종 콩 수집종의 주요 특성을 알고자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종피색은 모두 8가지로 분류되었으며 그 중 노란색이 8계통으로 가장 많았으며, 경장, 절수, 분지수는 각각 평균 58.5cm, 16.5개, 11.8개 였다. 2.주경 협수와 분지 협수는 평균 43.1개와 62.7개였으며, 100립중은 평균 9.9g으로 나물용 콩의 육성목표 100립중인 10~12g보다 다소 낮았으며 분지나비는 평균이 13.2cm 이었으며 장경 개장형이 1 계통이었으며, 단경 폐쇄형이 14가지 계통으로 분류되었다. 3 공시 계통의 개화기는 8월 8일부터 8월 13일 사이였으며 개화일수는 74~85일 사이로 만생종이었다. 또한 성숙기는 9월 12일부터 10월 12일 사이로 다소 계통간 넓은 변이를 보이고 있다.

  • PDF

충남지역(忠南地域)에서 재배(栽培)하는 메밀종자(種子)의 몇가지 특성(特性)과 그 분포(分布)에 관(關)한 조사연구(調査硏究) (Studies on the Regional Distribution and Some Morphological Characters of Buckwheat, Fagopyrum esculentum Moench, Grown in Chungnam Province)

  • 최창열;최관삼
    • 농업과학연구
    • /
    • 제12권1호
    • /
    • pp.47-54
    • /
    • 1985
  • 본(本) 조사연구(調査硏究)는 충남도내(忠南道內) 36개지역(個地域)에서 수집(蒐集)한 1984년도산(年度産) 메밀종자(種子)에 대(對)하여 몇가지 기초적(基礎的)인 특성(特性)을 조사분석(調査分析)하고 그들의 지역적분포(地域的分布)를 밝히고자 실시(實施)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연 다음과 같다. 1. 종자(種子)의 입형(粒型)은 유시형(有翅型), 중간형(中間型) 및 보통형(普通型)등 3개형(個型)이었고 어느 지성(地城)에서 수집(蒐集)한 종자(種子)이든 이들 3개형(個型)의 종자(種子)가 섞여 있었는데 그 혼합비율(混合比率)은 전체(全體) 평균(平均)으로 볼 때 보통형(普通型)이 50.1%, 중간형(中間型)이 26.8% 그러고 유시형(有翅型)은 23.1%이었으나 이러한 혼합비율(混合比率)은 지역간(地域間)에 큰 차이(差異)가 있었다. 2. 1000 입중(粒重)은 전체평균(全體平均) 24.9gr이었으나 지역간(地域間)에 큰 차이(差異)가 인정(認定)되어서 서산군(瑞山郡)((No.30)에서의 수집종자(蒐集種子)가 17.4gr로 가장 가벼웠고 서천군(舒川郡)(No.16)에서의 수집종자(蒐集種子)는 31.9gr로 가장 무거웠는데 입형별(粒型別) 혼합비율(混合比率)과 1000입중(粒重)과는 일정(一定)한 경향(傾向)이 나타나지 않았다. 3. $5^{\circ}C$로부터 $30^{\circ}C$사이에서는 온도(溫度)가 높아짐에 따라서 일반적(一般的)으로 발아(發芽)가 촉진(促進)되었는데 서천군(舒川郡)(No.16), 홍성군(洪城郡)(No.23), 천원군(天原郡)(No.35) 및 예산군(禮山郡)(No.27)에서의 수집종(蒐集種)은 $15^{\circ}C$ 그리고 서산군(瑞山郡)(No.29), 당진군(唐津郡)(No.32) 및 청양군(靑陽郡)(No.21)에서의 수집종(蒐集種)은 $25^{\circ}C$에서 발아율(發芽率)이 낮았다가 그 이상(以上)의 온도(溫度)에서 다시 상승(上昇)하였으며 $5^{\circ}C$의 저온(低溫)에서는 대부분(大部分)의 수집종자(蒐集種子)들이 10%미만(未滿)의 발아율(發芽率)을 나타내었으나 아산군(牙山郡)(No.33)과 대덕군(大德郡)(No.3)에서의 수집종(蒐集種)은 각각(各各) 20%와 30%의 발아율(發芽率)을 나타내었다. 4. 종피(種皮)의 색(色)은 흑색(黑色)과 암갈색(暗褐色)으로 구분(區分)되었으며 입형(粒型)과 종피색(種皮色)을 조합(組合)한 종자형(種子型)은 유시흑색(有翅黑色), 중간흑색(中間黑色), 보통흑색(普通黑色), 유시암갈색(有翅暗褐色), 중간암갈색(中間暗褐色) 그리고 보통암갈색종(普通暗褐色種) 등 6개형(個型)으로 분류(分類)할 수 있었고 종피색(種皮色)의 차이(差異)에 따른 광(光)Energy의 흡수(吸收) Spectrum의 차이는 190~390nm범위 이었다.

  • PDF

Development of a Core Set of Korean Soybean Landraces [Glycine max(L.) Merr.]

  • Cho, Gyu-Taek;Yoon, Mun-Sup;Lee, Jeong-Ran;Baek, Hyung-Jin;Kang, Jung-Hoon;Kim, Tae-San;Paek, Nam-Chon
    • Journal of Crop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1권3호
    • /
    • pp.157-162
    • /
    • 2008
  • A total of 2,765 accessions were used as the initial set having both seed coat color and 100-seed weight data. As a result of molecular profiling using six SSR markers followed by stratification based on their usages, 335 accessions(12.1%) were selected by clustering based on UPGMA. Since 75 out of 335 accessions were mixed in phenotypic traits as a result of characterization, 260 accessions were finally set as a core set. This core set revealed nearly the same diversity compared with the other results on morphological traits of Korean soybean landraces. In total, 115 alleles(19.2 alleles per locus) were detected in the initial set and 79 alleles(13.2 alleles per locus) were detected in the core set. All 30 major alleles were present in the initial set and in the core set as well. In allele coverage, the core set was 71.4% of the initial set. These comparisons of number of alleles, gene diversity and coverage indicated that the core set represented the entire set well.

  • PDF

Expression of a Functional Type-I Chalcone Isomerase Gene Is Localized to the Infected Cells of Root Nodules of Elaeagnus umbellata

  • Kim, Ho Bang;Bae, Ju Hee;Lim, Jung Dae;Yu, Chang Yeon;An, Chung Sun
    • Molecules and Cells
    • /
    • 제23권3호
    • /
    • pp.405-409
    • /
    • 2007
  • A putative type-I chalcone isomerase (CHI) cDNA clone EuNOD-CHI was previously isolated from the root nodule of Elaeagnus umbellata [Kim et al. (2003)]. To see if it encodes a functional CHI, we ectopically overexpressed it in the Arabidopsis (Arabidopsis thaliana) transparent testa 5 (tt5) mutant, which is defective in naringenin production and has yellow seeds due to proanthocyanidin deficiency. Ectopic overexpression of EuNOD-CHI resulted in recovery of normal seed coat color. Naringenin produced by CHI from naringenin chalcone was detected in the transgenic lines like in the wild-type, whereas it was absent from the tt5 mutant. We conclude that EuNOD-CHI encodes a functional type-I CHI. In situ hybridization revealed that EuNOD-CHI expression is localized to the infected cells of the fixation zone in root nodules.

Analysis of Dietary Fiber of 66 Korean Varieties of Sprout Beans and Bean Sprouts

  • Lee, Kyung-A;Cho, Young-Ae;Hwang, Young-Hyun;Lee, Hye-S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8권2호
    • /
    • pp.173-178
    • /
    • 2003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a high-fiber variety of sprout bean and bean sprout. Sixty-six varieties of Korean sprout beans and thirty varieties of Korean bean sprouts were analyzed for their total dietary fiber (TDF) using a combination of enzymatic and gravimetric methods adopted by AOAC. The average and range of the TDF contents of the 66 varieties of sprout beans were 21.73$\pm$2.43% and 16.60~29.2% (dry basis), respectively. The top five types of sprout beans with high TDF anions the 66 samples were KLG10658 (29.2%), Dawonkong (28.46%), Sohokong (25.66%), Moohankong (25.465%) and Samnamkong (24.94%). The mean TDF content of sprout beans was relatively high in the variety with yellow seed coat color and a smaller seed size (<15 g/100 seeds) than the ones with other colors and of medium or large seed size. The average and range of the TDF content of the 30 varieties of bean sprouts were 24.48$\pm$3.9% and 18.3~33.38%, respectively. Dawonkong sprouts showed the highest TDF content (33.38%). The average TDF content of bean sprouts was 1.16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corresponding seed beans. The TDF content of bean sprouts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during the days of culture. The TDF content in the different parts of the bean sprout were high in the order of roots, hypocotyl and cotyledon.

대두유전자원의 안전보존을 위한 계통간 발아수명검정 (Storability of Soybean Lines for Maintanance of Germplasm)

  • 권신한;한영희;이영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75-279
    • /
    • 1984
  • 대두유전자원의 안전보존을 위해서 50계통을 선정하고 온도 23$^{\circ}C$와 습도 60%가 넘지 않도록 유지시킬 수 있는 본 연구소의 저장고에 종자를 저장하면서 계속 일정 간격으로 발아력을 조사하는 한편 동일 계통의 종자를 온도 4$0^{\circ}C$와 습도 90%에서 인공적으로 노화촉진시켜 저장고에서의 발아력감퇴와 비교하였다. 저장초기의 평균발아율이 97%이었는데 반해 저장 42개월에는 62%로 저하되었는데 비교적 본 저장고에서 오랫동안 발아력이 유지된 셈이다. 종자의 크기와 종피색에 따라 발아력 유지의 정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대립보다 소립 또한 갈색이나 녹색보다 검정색이나 황색 계통에서 발아력 유지가 오래 지속되는 경향을 보였다. 인공노화촉진처리한 후의 계통간 발아력감퇴차이는 저장고에서의 것과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저장전에 계통간 종자 수명을 파악코저 할 때, 온도 4$0^{\circ}C$와 습도 90%에서 7일 처리가 가장 알맞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대두의 콩나방피해율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oybean Pod Borer Damage)

  • 정규회;이영일;권신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1-106
    • /
    • 1979
  • 대두의 주요해충인 콩나방의 피해를 경감시키기 위해 생물학적구제책을 모색하기 위해서 재래수집종에 콩나방피해율과 형태적특성과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또 품종및 경종조건을 달리한 후 콩나방의 피해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474계통에 대한 콩나방피해율은 최고$38\%$에서 전혀 피해가 없는 계통까지 분포하고 평균피해율은 $5.2\%$이였다. 형태적특성으로서 협의 모용밀도 및 색과 콩나방의 피해율과는 일정한 상관성이 없으나 콩나방피해율과 maturity group 또는 진딧물피해와는 공히 $5\%$ 수준에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maturity group V에서 가장피해율이 높았으며 일반잎피해정도와 콩나방피해와는 부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특이한 것은 청색의 종피색을 띤 계통들에서 콩나방피해가 현저히 늘은 점이다. 파종기별 콩나방의 피해정도는 6월20일 파종구가 제일 심하여 만파구가 피해율이 현저히 높은데 이들 피해정도는 착협시기뿐만 아니라 착협에서 성숙기까지의 기간에도 관계가 있는것으로 보여진다. 재식거라에 따른 중나방피해는 소식할수록 큰 편이고 6개품종중 봉의, 충북백이 저항성인 반면 clark, 금강대립이 이충성품종으로 나타났다.

  • PDF

형태형질에 기초한 동아시아산 황기속 식물의 계통분류 (Phylogenetic study of East-Asia Astragalus L.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s)

  • 송일배;허권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191-201
    • /
    • 2014
  • 동아시아산 황기속의 외부형태학적 특징과 과피, 종피의 해부구조 및 표면 형태를 조사하여 분류학적으로 유용한 형질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황기속의 외부형태, 과피, 종피의 형태 및 해부학적 특징 중 생활사, 소엽의 형태, 꽃차례, 꽃잎의 색, 종자의 색, 과피의 형태, 과피 표면에서 털의 존재유무, 봉선의 구조, 그리고 내과피 층의 두께가 종을 나누는 식별형질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중국에서 황기라는 약재로 사용되어지고 있는 4종의 형태 및 해부학적인 특성을 비교한 결과, 서로 같은 군으로 유집되었다. 한편, 분류학적으로 논쟁이 되고 있는 정선황기와 갯황기에서는 두 분류군간에 형태적 차이점을 발견 할 수 없었다. 따라서 금후 정선황기, 갯황기, A. bhotanensis의 종간 분류학적 처리를 명확히 규명하기 위하여 염기서열 및 분자세포학 수준에서의 연구가 필요하다.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is of Phenotypic Traits in Mung Beans Reveals Diversity Among Korean, Indian, and Chinese Accessions

  • Kebede Taye Desta;Young-ah Jeon;Myoung-Jae Shin;Yu-Mi Choi;Jungyoon Yi;Hyemyeong Yoo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70-306
    • /
    • 202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versity of 323 mung bean accessions from Korea, China, and India, along with six cultivars, using 22 agronomical traits. The standardized Shannon-Weaver index (H') for the qualitative traits ranged from 0.11 (terminal leaflet shape) to 0.98 (pubescence density of pod). Likewise,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for the quantitative traits ranged from 8.76% (days to maturity (DM)) to 79.91% (lodging rate (LR)), indicating a wide genetic variance. Hypocotyl color, pod color, seed shape, and seed coat surface lust showed different distributions among Korean, Indian, and Chinese accessions. Chinese accessions had the highest average germination rate, DM, days from flowering to maturity, and one-hundred seeds weight, followed by Korean and Indian accessions, while the number of seeds per pod (SPP) displayed the opposite trend, with all except SPP showing significant variation (p < 0.05). Similarly, plant height, days to flowering, and number of pods per plant increased in the order of India > Korea > China, with LR showing the opposite trend (p < 0.05). The mung bean accessions were grouped into four major clusters using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supported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es, and all of the quantitative traits showed significant variations between the clusters (p < 0.05). Generally, the mung bean accessions investigated in this study exhibited wide phenotypic trait variations, which could be beneficial for future genomics studies. Moreover, this study identified 77 accessions that outperformed the controls. Consequently, these superior accessions could provide a wide spectrum of options during the development of improved mung bean varie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