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diment concentration distribution

검색결과 230건 처리시간 0.026초

황해 중앙부 해역 니질 퇴적물의 지화학적 특성 및 퇴적률 (Rate of Sediment Accumulation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uddy Sediment in the Central Yellow Sea)

  • 윤정수;김여상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16
    • /
    • 2002
  • 황해 중앙부 해역에 분포하는 니토대의 공급지와 퇴적작용을 파악할 목적으로 이곳 니질 퇴적물에서 채취한 4개의 시료에서 분석한 화학조성과 기존의 황하, 양자강 및 한반도의 금강 퇴적물 등의 지화학적 자료와 비교하고 퇴적률을 추정하였다. 연구지역 표층 퇴적상의 분포는 사질 퇴적상이 분포하는 동쪽지역, 니토대가 분포하는 서쪽지역, 중앙부지역에 남북방향의 대상분포를 보이는 혼합 퇴적상으로 구분된다. 퇴적물내 탄산염 함량은 2.B~10.5%의 범위를 보이고 사질 퇴적물이 분포하는 동쪽보다 니질 퇴적물이 분포하는 서쪽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Pb-210 동위원소를 이용한 연구지역 니질 퇴적물의 퇴적률은 0.21~0.68cm/yr 혹은 0.176~0.714 g/$\textrm{cm}^2$.yr의 범위를 보였다. 황하와 가까운 산둥반도 동쪽 정점 CY96010에서 퇴적률은 0.68cm/yr 혹은 0.714g/$\textrm{cm}^2$. yr의 높은 값을 보이고, 황해 중앙부 해역 정점 CY96008과 CY96002에서 퇴적률은 0.21~0.23cm/yr혹은 0.176~0.220g/$\textrm{cm}^2$. yr로 낮은 값을 보여 황하기원 퇴적물이 황해 중앙부 해역까지 이동되어 퇴적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황해 중앙부 해역 니질 퇴적물의 화학조성 중 Ca, Na, Sr, Ho, La, Tb 및 Ta원소함량과 Ca/Ti비는 양자강 퇴적물보다는 높고, 황하보다는 낮거나 이와 비슷한 함량 변화 경향을 보였고, Fe, Ti, Ni, Co, Cr, Cu, Pb, Sc, Ce, Nd, Sm, Eu, Gd 및 Dy 원소함량은 황하 퇴적물 보다는 높고, 양자강보다는 낮으나 이와 비슷한 함량변화를 보였다. 반면, Mn, K 및 Sr 원소는 금강과 황해 동쪽의 퇴적물보다는 낮으나 이와 비슷한 함유량을 보였고, Zn, Rb, Cd, U, Cs 및 Li 원소는 비교지역 보다 높은 함량치를 보였다. 따라서 황해 중앙부 해역에 분포하는 니질 퇴적물의 공급지는 황하 및 고황하기원 물질이고, 이외에 양자강과 금강으로부터 공급된 물질과 황해 난류수에 의해 운반된 생물기원 물질의 영향도 다소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 PDF

목포 연안해역의 해수, 퇴적물 및 해조류에 축적된 중금속 함량 (The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in the Seawater, Sediment and Seaweed in Mokpo Coastal Region, Southwestern Coast of Korea)

  • 박찬선;위미영;황은경
    • 환경생물
    • /
    • 제26권4호
    • /
    • pp.303-310
    • /
    • 2008
  • Heavy metal concentration of Fe, Zn, Cu, Cd and Pb were analysed from seaweeds (Ulva pertusa, Sargassum thunbergii, Caulacanthus okamurae), sediments and seawater at the two experimental sites of Daebul and Sabjin industrial complex in Mokpo coastal area with a control site (Heugsando). Highest values of heavy metals were found at two experimental sites influencing by various pollution sources such as industrial drains, sewage and harbours. In contrast, the lowest concentrations was observed at the control site without any pollution source. The concentration levels of accumulated heavy metals were in the following order: seaweeds > sediments > seawater. Similar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were observed at the seaweeds, sediments and seawater for the highest mean values of the different heavy metals. This result show that seaweeds could be used as a biomonitors of heavy metals at coastal region.

부유사 지표로 초음파산란도를 활용한 합류부 3차원 수체혼합 특성 도출 (Characterizing three-dimensional mixing process in river confluence using acoustical backscatter as surrogate of suspended sediment)

  • 손근수;김동수;곽성현;김영도;류시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4권3호
    • /
    • pp.167-179
    • /
    • 2021
  • 하천 합류부는 두 하천이 만나 형성되는 지역으로 합류부 구간의 혼합 매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지류의 다양한 유입조건에 따른 본류와의 수체혼합의 공간적인 패턴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합류부 연구들은 실측을 통한 현장데이터를 획득하기 어렵기 때문에 수리 및 수질 수치모형을 통한 연구가 주로 수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지류와 본류의 합류의 혼합 현상을 규명하는 인자로 유속과 수심 등 기본적인 수리학적 인자들 외에 최근 하천 유사측정을 위해 부유사농도의 지표로 연구되고 있는 ADCP의 초음파산란도를 활용하여 합류부에서 상이한 유사특성을 가진 두 수체가 혼합되는 양상을 측정하여 합류부의 혼합 특성을 해석하고자 하였다. 초음파산란도는 부유사와 관련되는 인자로 SonTek ADCP 이동식으로 측정된 초음파산란도(SNR)자료를 빔퍼짐에 대한 보정, 물에 의한 흡수를 고려하여 보정한 후 3차원 혼합거동의 공간적인 분포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측정기간 중 드론(UAV), LISST를 이용하여 합류부의 혼합양상을 모니터링하여 초음파산란도를 이용한 분석결과와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ADCP로부터 제공되는 초음파산란도를 보정한 결과 합류부의 3차원적인 유사 혼합의 공간적 특성을 규명하는 데 적합한 인자라고 할 수 있었고, 상이한 본류와 지류의 유입을 고려하였을 때 다양한 혼합 거동을 분석하는데 지표로 사용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남강과 낙동강의 합류부에 대해 초음파산란도를 활용하여 합류부의 혼합 특성을 분석하였다.

인공 용승 구조물 설치에 적합한 해역의 해양환경 특성 (Characteristics of Oceanographic Conditions in an Area Suitable for the Construction of Artificial Upwelling)

  • 조규대;김동선;박성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87-192
    • /
    • 2003
  • To evaluate the oceanographic conditions for the artificial upwelling we measured vertical stratification coefficients, current speed distribution and grain size distribution of bottom sediment in the vicinity of Gukdo and Somaemuldo near Geojedo. There were a strong stratification between surface and bottom layers in summer, the stratification was weak from autumn to winter, and the water was well mixed during winter. In summer nutrient concentration of the bottom layer was 4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surface layer. Underwater currents were strong in the bottom layer. We conclude that the oceanographic conditions in the area will meet the basic requirement for the construction of artificial upwelling.

광양만내 유기주석화합물의 해수, 퇴적물, 생물중 농도 및 분포 상관관계 (Evaluation of Butyltin Compounds and its Distribution Among Seawater, Sediment and Biota from the Kwangyang Bay)

  • 김규용;박미옥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91-298
    • /
    • 2001
  • 해수와 퇴적물, 그리고 생물체내의 유기주석화합물의 농도는 양식장이 밀집되어 있으며 선박의 출입과 정박이 잦고 해수교환이 원활치 못한 내만쪽 정점이 ($K-1{\sim}K-6, K-18)$ 외해쪽 정점에 ($K-8{\sim}K-10$) 비해 유기주석화합물의 농도가 높았다. 퇴적물의 조성에 있어 모래와 mud가 섞여있는 수로쪽 정점들에 비해 mud가 우세 한 내만의 정점에서는, mud에 강하게 흡착하는 TBT의 특성에 의해 TBT의 잔류농도가 내만에서 높게 나타났다. 유기주석화합물은 퇴적물에서 뚜렷한 계절적인 변화를 보였다 퇴적물 중 TBT의 농도가 7월 중 가장 높게 즉정된 현상은 봄철 증식이후 퇴적층 표면에 침강한 식물성 플랑크톤의 사체로 이루어진 입자물질의 공급으로 인한 유입량의 증가가 하나의 요인으로 생각된다. 퇴적층에 가까운 저층수의 해양환경요인 중에 7월에 수온과 용존산소값이 산화에 불리한 저온과 낮은 용존산소, 높은 화학적 산소요구량도 이와 같이 축적된 TBT를 보존시키는데 유리한 환경을 제공한 것으로 추정된다. 생물농축인자로 본 굴과 바지락의 주변 해수로부터의 농축 정도는 퇴적물내에 서식하는 바지락이 약 $20\%$ 정도 높게 나타났다. TBT 유기주석화합물의 참굴과 바지락에 대한 계절적인 변화는 광양만에서 이들의 산란시기와 일치한다. 즉, 방란$\cdot$ 상정이 생물 체내 유기주석화합물의 제거 기작의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방란이 일어나기 직전인 4월에 TBT의 농도가 2월에 비해 $50\%$ 이상 증가하였다가, 방란, 방정이 끝난 후 7월에 4월 평균치의 $25\%$ 이하로 감소하였다는 사실이 이와 같은 생물의 체외 방출기작이 작용했음을 말해 준다 TBT/DBT 농도비는 해수<생물<퇴적물 순으로 증가하여 해수에서 가장 활발한 분해작용이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생물은 그 다음 순서로 분해작용을 하며, 퇴적물내에서는 TBT의 분해가 가장 저조하게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해수와 퇴적물에서 관찰된 계절별 분배계수 ($K_d$)의 변화는 7월에 분배계수가 증가된 양상을 보여, 해수 중TBT가 퇴적층으로 효과적으로 제거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따라서, 봄철 이후 해수중 유기주석화합물이 입자물질의 표면에 흡착되거나 생물 체내에 방란 방정과 같은 기작을 통해 퇴적층으로 유입되고 있으며, 비교적 안정된 퇴적환경에서 해수나 생물체내에 비해 분해가 활발하지 않아 잘 보존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해수 중 생물뿐 아니라, 저질에 살고 있는 생물들이 여름철에 퇴적층 표면에 농축된 유기주석화합물의 악영향을 가장 크게 받게 될 것으로 보인다.

  • PDF

아산만과 경기만의 유기인계 잔류농약 분포 (Distribution of organophosphorus pesticides in Asan and Kyeonggi Bay, Korea)

  • 유준;양동범;김경태;이광우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8-50
    • /
    • 2002
  • 1999년 하계에 아산만과 경기만 해역의 유기인계 잔류농약 분포를 조사하였다. 표층해수 중 IBP는 모든 해역에서 광범위하게 분포하였다 아산만의 표층해수 중 IBP 농도 범위는 7월과 9월에 각각 10.3-1030.1(m=339.1), ND-319.1(m=74.8)ng/L였고 경기만 표층해수 중 IBP 농도는 7월과 9월에 각각 ND-76.2(m=29.1), ND-270.3(m=46.6)ng/L였다. Diazinon, DDVP, Ethoprophos와 Chlorpyrifos는 다소 낮은 농도를 보였지만 모든 해역에서 검출되었다. 다른 유기인계 농약(Disulfoton, rarathion Methyl, Fenchlorfos, Prothiofos, EDDP)은 일반적으로 검출한계 미만이었다. 퇴적물 중에서는 Chlorpyrifos가 다근 유기인계 농약보다 널리 분포하였다. 유기인계 농약의 시공간적 분포는 자 지역에 사용되어지는 농약의 사용량과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고 보여진다.

  • PDF

1998년 하계 여자만의 저질환경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Sedimentary Environment in Yoja Bay in the Summer of 1998)

  • 허회권;김도현;안승환;박경원
    • 환경생물
    • /
    • 제18권2호
    • /
    • pp.227-235
    • /
    • 2000
  • As a part of basic investigation to Fishery Purge Project for the Special Administrative in Chollanamdo Province, the sedimentary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Yoja Bay at 15 stations were studied.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in July, 1998, through studies of Loss On Ignition (LOI) by depth, Total Sulfide (T-5), Chemical Oxygen Demand (COD) concentrations and Grain-size distribution. The LOI value was found to be 6.20-12.20% (mean of 8.89%), with the neighboring Sunhakri and Haksanri areas showing slightly higher values. These values were similar to the LOI values observed in the Hansan-Koje Bay and Jinju Bay areas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T-S and COD concentrations were found to be, respectively, 0.060-0.104 mg/gㆍd (mean of 0.052 mg/gㆍd) and 5.53-29.71 mg/gㆍd(mean of 13.24 mg/gㆍd), not exceeding eutrophication limits. T-S concentration was especially high at stations close to the central areas of the bay and inland areas, which caused by organic matter input from the nearby agricultural areas. COD concentration was very high at stations nearby the bay entrance and Doonbyungdo, but the mean value was lower than that of Hansan-Koje Bay. This leads us to believe that the level of pollution in Yoja Bay is not significant. The prevailing sediment composition was mud, consisting of 61.38% silt and 34.87% clay. [Sediments in Yoja Bay, Loss On Ignition, Total Sulfide, Chemical Oxygen Demand, Grain-Size Distribution].

  • PDF

Trace Organic Contaminants in Sediments from Deep-sea Basin near Dokdo, Korea

  • Yim, Un-Hyuk;Oh, Jae-Ryoung;Hong, Sang-Hee;Li, Dong-Hao;Shim, Won-Joon;Choi, Hye-Kyung;Kim, Eun-Soo;Shim, Jae-Hyung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4권4호
    • /
    • pp.391-398
    • /
    • 2002
  • Trace organic contaminants in deep-sea sediments near Dokdo were analyzed. Total PAMs concentration ranged 14.8-314 ng/g dry weight and high molecular weight PAHs were dominant. The highest PAHs concentration was detected at A19 which located at Ulleung Basin. Most of organochlorines were under detection limit. Among the detected organochlorines, DDT compounds were dominant and followed by HCHs and HCB. Butyltin compounds and most of organophosphorus pesticides were not detected. Vertical distribution of PAHs showed typical sub-surface maximum and decreasing trends depending on depth. The highest PAHs concentration reached 454ng/g. Some organochlorines, DDT, HCH was detected and also showed decreasing trends. Other target organic pollutants were not detected in core sediments. Abnormally high level of PAHs concentration in A19 was discussed and the input sources were inferred to be the transport of sludge derived pollutant dumped at dumping site 'Byung' by deep current.

환경영향평가에서 부유사 농도 추정 방법 제안 (Proposal for Estimation Method of the Suspended Solid Concentration in EIA)

  • 추태호;김영환;박봉수;권재욱;조현민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0-36
    • /
    • 2017
  • 평상시 및 홍수시 하천에 유출되는 토사로 인한 SS(Suspended Solid)농도는 실측을 원칙으로 하여야 하나, 환경영향평가, 하천기본계획 등에서와 같이 각종 개발사업에 따른 SS농도의 변화를 제시하기 위해서는 실측이 아닌 추정이 필요하지만 추정 방법이 규정된 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RUSLE법에 의한 토사유출량과 특정 빈도 홍수량 산정결과를 이용하여 하천내의 SS농도를 추정하는 수문학적 방법에 대한 제안을 하고자 한다. SS는 실트 점토질 토사 및 콜로이드 입자 등이 해당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토사유출량 중에서 일반적으로 부유토사에 해당하지 않는 모래를 제외하고, 실트 또는 점토질의 토사에 한해 부유사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농도 추정을 위한 유량은 평상시 유량은 1~2년, 홍수시 유량은 30~100년을 기준으로 하였다. 한편, 확률강우량 분석 소프트웨어는 Fard2006을 사용하였는 바, 2년빈도 미만에 대해서는 강우데이터와 Gumbel분포형 빈도계수를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위와 같은 방법에 의해 실트 및 점토의 토사유출량과 홍수량에 의한 유출용적을 이용하여 SS농도를 추정한 결과, 개발전 자연상태 및 개발중 나대지 상태에서의 SS농도는 유의한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유로경사에 따라 토사유출량의 차이가 큰 점에 착안하여 SS농도를 유로경사로 나눈 값은 지형인자가 다르더라도 비교적 일정한 범위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보다 많은 유역에 대하여 연구가 진행된다면 SS농도 추정방법에 대한 지침으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삼천포화력발전소 주변해역 표층퇴적물중의 중금속원소함량 분포 연구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Marine Surface Sediments around Samcheonpo Power Plant)

  • 이두호;임주환;전병열;정년호
    • 환경영향평가
    • /
    • 제9권1호
    • /
    • pp.1-11
    • /
    • 2000
  • An environmental geochemical survey of heavy metal distribution in marine surface sediments around the ocean of Samcheonpo coal-fired power pla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coal-ash leakage from ash pond and the associated heavy metal pollution in sedimental deposits due to the operation of the coal-fired power plant. The X-Ray Diffractometry (XRD) analysis showed that the main leakage point of coal-ash was limited to a single site of the first ash pond. It also appeared that the amounts of organic carbon and metal elements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grain size distribution, and that Co, Cr, Cu, Fe, Ni, and Zn were bounded to organic ligands. However, the distributions of Cd, Hg, and Mn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sediment grain size and organic matters. In particular, the distribution of Cd appeared to be affected by the concentration of the carbonate materials in the study a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