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cond intermediate host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36초

Infection status with trematode metacercariae in pond smelts, Hypomesus olidus

  • Nam, Hae-Seon;Sohn, Woon-Mok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8권1호
    • /
    • pp.37-39
    • /
    • 2000
  • Many Koreans usually eat raw pond smelts, Hypomesus olidus, in the wint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infection status with trematode metacercariae in pond smelts from January 1998 through February 1999. Among 1,305 fish collected, 459 were purchased from wholesale dealers in Chinchon-gun, Chungchongbuk-do, and the rest of them were caught with a casting net in Soyangho (Lake), Taehoman (Bay) and Paekkokchosuchi(Pond). Seven species of trematode metacercariae including two unidentified ones were detected from 1,305 pond smelts. The number of detected trematode metacercariae according to the species are as follow: Clonorchis sinensis 8, Holostephanus nipponicus 7, Cyathocotvle orientalis 24, DipLostomum sp. 14, and Metorchis orientalis 7.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H. olidus plays a role as the second intermediate host of some kinds of trematode including C. sinensis in Korea. Our report shows possible clonorchiasis caused by eating raw pond smelts.

  • PDF

Ceutyocestus aymatus의 인체 감염 1례 (A Human Case of Centrocestus armatus Infection in Korea)

  • 홍성종;서병설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6권1호
    • /
    • pp.55-60
    • /
    • 1988
  • 이형흡층류의 하나인 Centrocestus armatus의 인체감염 1례가 praziquantel 투여후 성충을 수집, 동정함으로써 확인되었다. 환자는 42세 남자로 경남 산청군에 거주하였으며 상복부 통증, 설사, 소화불량 등을 호소하였다. 환자는 간흡충, 이형흡충류 및 극구흡충 충란 양성이었다. 장흡충류 치료를 위하여 praziquantel 10mg/kg를 투여하였고 MgSO4으로 설사를 유도하고 설사변을 입체해부현미경으로 검사한 바 C. armatus 성충 1마리와 극구흡충 유충 2마리가 수집되었다. 환자는 피라미 등 민물고기를 자주 생식하였다 하며 치료 2∼3주 전에도 피라미를 회로 먹었다고 한다. 따라서 피라미를 비롯한 민물고기가 C. armatus의 감염원이 되었을 것으로 추측되었다.

  • PDF

한국산 "재첩"이 "이전고환극구흡충" 의 제 2 패류중간숙주가 될 수 있는가 (Corbicula fluminea (Bivalvia: Corbiculidae): a possible second molluscan intermediate host of Echinostoma cinetorchis (Trematoda: Echinostomatidae) in Korea)

  • Chung, Pyung-Rim;Soh, Chin-Thack;Younghun Jung;Hwang, Myung-Gi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춘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502-502
    • /
    • 2000
  • Corbicula fluminea Muller 1884 is the commonest freshwater bivalve in Asian countri including Korea. This clam is easily found in the freshwater systems, and edible as a food source in Korea. This study was aimed to confirm natural infection of C. fluminea collected from various localities with Echinostoma cinetorchis, an important hum intestinal fluke in Korea. (omitted)

  • PDF

Bacciger harengulae의 생활사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Life History of Bacciger harengulae)

  • 김영길;전세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449-470
    • /
    • 1984
  • 서해안 금강하구의 내초도에서 1980년 7월부터 1983년 10월까지 맛조개(Solen strictus)의 생식소에 기생한 Bacciger 속 cercaria의 생활사를 구명하고자 sporocyst 및 cercaria의 형태와 발육과정, 기생률을 조사하였다. 또한 제이중간숙주 및 종숙주를 실험실에서 인공감염실험과 함께 내초도자연환경구에서 조사하여 metacercaria와 성충의 발육과정을 조사 연구한 결과 지금까지 밝혀진바 없는 Bacciger harengulae의 생활사가 구명되었다. Bacciger harengulae는 맛조개, 대합, 바지락, 띠조개가 제일중간숙주이고, 밀새우를 제이중간숙주로 하며, 종숙주는 전어, 밴댕이로 밝혀졌다. 맛조개의 생식소에 기생된 성숙한 sporocyst의 크기는 $4.0{\sim}4.3{\times}0.20{\sim}0.21$ mm이고, cercaria는 체부 $270{\times}147{\mu}m$, 미부 $270{\times}147{\mu}m$의 크기로서 꼬리 양측에 27쌍의 강모속과 1개의 강미속은 6본의 가닥으로 되어있다. cercaria의 체내에는 구흡반($52{\times}42{\mu}m$), 인두($32{\times}25{\mu}m$), 복흡반($52{\times}50{\mu}m$)과 2 개의 정소와 V자형의 배설낭이 뚜렷이 나타나며, 화염세포식은 2[(3+3)+(3+3)]=24이다. 3년에 걸쳐 맛조개에 기생하고 있는 cercaria의 평균 기생률은 $9.67\%$ 였는데, 이것은 수온의 변화와는 관계없이 연중기생된다. 기생률이 가장 높은 시기는 수온 $28.8^{\circ}C$인 7월($28.0\%$)이고, 가장 낮은 시기는 수온 $19.5^{\circ}C$인 10월($2.4\%$)이었다. 맛조개의 cercaria 기생률은 각장이 클수록 높았으며, 4.0cm 이하에서는 cercaria가 검출되지 않았다. cercaria가 성숙되는 시기는 년중 수온이 $19.5^{\circ}C$이상 상승하는 $5{\sim}10$월까지며, 수온 $19.5^{\circ}C$이하가 되면 미숙한 cercaria만이 검출된다. Cercaria는 수온 $20^{\circ}C$에서 35시간, $25^{\circ}C$에서는 29시간까지 활력이 있었으며, 생존시간은 각각 71시간, 34시간이었으나 $20^{\circ}C$이하에서는 운동력이 활발하지 못하였다. 맛조개에서 유출된 cercaria를 밀새우에 감염시킨 결과 2{\sim}3시간후에 근육에 기생하였고, 기생한 cercaria는 $7{\sim}8$시간후에 cyst를 형성하였으며, 15일이 경과되어 $420{\times}310{\mu}m$의 성숙한 metacercaria로 발육되었다. 실험실에서 수온 $20^{\circ}C$일때 밀새우의 metacercaria 감염률은 $17.0\%$ 이었고, $25^{\circ}C$때는 $61.0\%$의 높은 감염률을 나타냈으며, 감염된 부위는 제일복절, 두흉부, 제이, 삼, 오복절의 순으로 감염되었다. 내초도의 자연 서식장산 밀새우의 metacercaria 감염률은 수온 $26.5^{\circ}C$인 6월에 $9.6{\sim}11.11\%$, 수온 $28{\sim}29.5^{\circ}C$인 7,8월에는 $1.56{\sim}2.50\%$의 감염률을 나타냈다. metacercaria가 감염된 밀새우를 사육중인 전어에 먹인 결과, 20일후 전어의 장에서 $440{\sim}520{\times}310{\sim}360{\mu}m$의 성충으로 발육되었고, 성숙한 충난은 $20{\sim}24{\times}11{\sim}20{\mu}m$ 크기의 타원형이었다. 실험실에서 검출한 것과 동일한 성충이 내초도의 자연산 전어, 밴댕이에서도 체장과 관계없이 $87.3{\sim}100\%$(평균 $95.2\%$) 검출되었으며, 6, 7월에는 $100\%$ 검출되나, 8, 10월에는 $87.3{\sim}88.9\%$로 그 검출률이 낮아졌다. 전어에서 발육된 성충의 크기와 내부형태를 Yamaguti(1938)가 밴댕이에서 검출한 것과 비교한바, 동일하므로 이 흡충을 Bacciger harengulae로 동정하였다.

  • PDF

Echinostoma hortense 인체감염 2예 및 제이중간숙주 조사 (Two cabob of natural human infection by Echinostoma hoytense and its second intermediate horst in Wonju area)

  • 양용석;안영겸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3권1호
    • /
    • pp.33-40
    • /
    • 1985
  • 1984년 11월 Echinostoma hortense에 의한 인체감염의 2례를 발견하였다. 이는 praziquantel치료와 두 환자가 함께 보획하여 생식한 바 있는 담수어의 추적조사로 확인되 었다. 또한 버들치(Moroco oxycephalus)가 E. hortense의 제이중간숙주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새로이 밝혔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환자는 31세 및 30세 남자이며 강원도 원주시에 살고 있었고 한 가구에 같이 거주하고 있었다. 제1례는 E.H. fever의 병원에 입원하고 있었으며, 제2례는 건강한 상태로서 간헐적으로 가벼운 하복통과 연변 또는 경한 설사가 계속되었다. 대변검사에서 발견된 충란의 크기는 제1례가 $114.3{\times}71.0(평균){\mu}m$, 제2례가 $119. 1{\times}68.3(평균){\mu}m$이었다. 환자들에게 praziquantel 10~15mg/kg을 단회투여 하고 하제를 사용한 비 제2례의 환자 설사변에서 6마리의 E. hortense 성충을 수집하였다. 2. 환자들이 담수어를 보획한 그 장소에서 버들치 84마리와 붕어 20마리를 잡아서 피낭유충을 조사한 결과 버들치 3마리(3.5%)서 Echinostoma sp.의 피낭 유충을 발견하였다. 3. 분리된 피낭유충 3한마리의 흰쥐에게 경구 감염 시켜서 3마리의 E. hortense 성충을 얻는데 성공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충란만 발견된 제1례의 환자로 E. h hortense 감염자라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버들치가 E. hortense의 제이중간숙주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 PDF

Echinostoma mekongi: Discovery of Its Metacercarial Stage in Snails, Filopaludina martensi cambodjensis, in Pursat Province, Cambodia

  • Chai, Jong-Yil;Sohn, Woon-Mok;Cho, Jaeeun;Jung, Bong-Kwang;Chang, Taehee;Lee, Keon Hoon;Khieu, Virak;Huy, Rekol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9권1호
    • /
    • pp.47-53
    • /
    • 2021
  • Echinostoma mekongi was reported as a new species in 2020 based on specimens collected from humans in Kratie and Takeo Province, Cambodia. In the present study, its metacercarial stage has been discovered in Filopaludina martensi cambodjensis snails purchased from a local market nearby the Tonle Sap Lake, Pursat Province, Cambodia. The metacercariae were fed orally to an experimental hamster, and adult flukes were recovered at day 20 post-infection. They were morphologically examined using ligh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 and molecularly analyzed by sequencing of their mitochondrial cox1 and nad1 genes. A total of 115 metacercariae (1-8 per snail) were detected in 60 (60.0%) out of 100 Filopaludina snails examined. The metacercariae were round, 174 ㎛ in average diameter (163-190 ㎛ in range), having a thin cyst wall, a head collar armed with 37 collar spines, and characteristic excretory granules. The adult flukes were elongated, ventrally curved, 7.3 (6.4-8.2)×1.4 (1.1-1.7) mm in size, and equipped with 37 collar spines on the head collar (dorsal spines in 2 alternating rows), being consistent with E. mekongi. In phylogenetic analyses, the adult flukes showed 99.0-100% homology based on cox1 sequences and 98.9-99.7% homology based on nad1 sequences with E. mekongi. The results evidenced that F. martensi cambodjensis snails act as the second intermediate host of E. mekongi, and hamsters can be used as a suitable experimental definitive host. As local people favor to eat undercooked snails, these snails seem to be an important source of human infection with E. mekongi in Cambodia.

남해만 숭어(崇漁)에서 검출된 Stellantchusmus fulcutus 피낭유충의 동정 (Identification of Snellantchasmus falcatus Metacercariae Encysted in Mullets in Korea)

  • 채종일;손운목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6권1호
    • /
    • pp.65-68
    • /
    • 1988
  • 경상남도 남해 지방산 숭어에서 Stellantchasmus falcatus의 길낭유충을 발견하고 횐쥐에 감염시킨 후 성충을 얻어 동정하였다. 검사한 숭어는 모두 10마리로서 크기 20~30cm이었고 그중 3마리에서 S. falcatus로 생각되는 퍼낭유충이 470개 검출되었다. 피낭유충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크기 $0.15~0.20{\times}0.13~0.19mm$이었고 대부분이 숭어의 근육에서 발견되었다. 총 280개의 피낭유충을 횐쥐 5마리에 각각 30~100개씩 나누어 감염시키고 7~10일후에 흰쥐를 희생시켜 소장(소장) 내용물을 검경한 바 총 83마리의 성충이 회수되었다. 회수된 충체는 길이 0.41~0.70mm, 폭 0.32~0.39mm이었고, 장낭형(장낭형 ; elongated sac-like)의 expulsor를 가진 저정낭(seminal vesicle) 등 몇가지 형태학적 특징을 근거로 S. ialcatus Onji et Nishio, 1915로 동정되었다. 이 연구로 우리나라에서도 숭어가 S. falcatus의 제2중간숙주역할을 하고 있음이 확인되었고 이 홉충의 인체감염원이 되고 있을 것으로 추측되었다.

  • PDF

Gynaecotyla squatarolae (Digenea: Microphallidae) from rats experimentally infected with metacercariae from the shore crab, Macrophthalmus dilatatus

  • Seo, Min;Guk, Sang-Mee;Lee, Seung-Ha;Chai, Jong-Yil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5권3호
    • /
    • pp.199-204
    • /
    • 2007
  • Metacercariae of Gynaecotyla squatarolae (Digenea: Microphallidae) were discovered from the shore crab, Macrophthalmus dilatatus, purchased at a market in a coastal town of Taean-Eup, Chungcheongnam-do, Republic of Korea. Their adult flukes were confirmed by experimental infection of rats. The metacercariae of G. squatarolae were elliptical ($391.1{\times}362.5{\mu}m$), and the excysted metacercariae had progenetic genital organs, including the ovary and testes. To obtain adult flukes, 6 Sprague-Dawley rats were fed 500 metacercariae each, and killed at days 2, 4, and 6 post-infection. The adult flukes were identified as G. squatarolae (Yamaguti, 1934) Yamaguti, 1939,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s, including 2 ventral suckers (1 large and 1 small), a large genital atrium equipped with the cirrus and the metraterm, separated male and female genital pores, a transversely long cirrus pouch, and extensive vitelline follicles. In the present study, it has been first proven that the shore crab M. dilatatus is a second intermediate host for G. squatarolae in the Republic of Korea.

Skin Test for Paragonimiasis among Schoolchildren and Villagers in Namback District, Luangprabang Province, Lao PDR

  • Song, Hyun-Ouk;Min, Duk-Young;Rim, Han-Jong;Youthanavanh, Vonghachack;Daluny, Bouakhasith;Sengdara, Vongsouvan;Virasack, Banouvong;Bounlay, Phommasak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6권3호
    • /
    • pp.179-182
    • /
    • 2008
  • As a part of a broader effort to determine the status of Paragonimus species infection in Lao PDR, an epidemiological survey was conducted on villagers and schoolchildren in Namback District between 2003 and 2005. Among 308 villagers and 633 primary and secondary schoolchildren, 156 villagers and 92 children evidenced a positive reaction on a Paragonimus skin test. Only 4 schoolchildren out of 128 skin test-positive cases had Paragonimus sp. eggs in their sputum, all of which was collected on 1 day. Several types of crabs, which were identified as the second intermediate host of the Paragonimus species, were collected from markets and streams in a paragonimiasis endemic area for the inspection of metacercariae. Among the examined crabs, only "rock crabs" (Indochinamon au) harbored Paragonimus sp. metacercariae, and it is speculated that the life cycle of Paragonimus sp. was maintained via rock crabs in Namback District, Lao PDR.

참굴큰입흡충(Gymnophalloides seoi)의 제2중간숙주로서 참굴의 역할 (Oysters, Crassostrea gigas, as the second intermediate host of Gymnophalloides seoi (Gymnophallidae))

  • 이순형;최민호;서민;채종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3권1호
    • /
    • pp.1-8
    • /
    • 1995
  • 우리 나라 고유의 인체 기생 장흡충 Gwmopholloides seoi Lee, Chai and Hong, 1993은 급성 췌장염 환자에서 처음 발견되었고. 신안군 도서지방에 큰 유행지가 있음이 밝혀져 의학적 중요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으나 지금까지 인체 감염원이 되는 제2중간숙주가 알려져 있지 않았다. 이번 연구에서는 자연산 참굴(Crossoskrea gigas)이 제2중간숙주의 하나일 것으로 추정하고 신안군 유행지에서 참굴을 채집한 후 gniulophallid metacercariae에 감염되어 있는지 조사하였다. 조사한 참굴 50마리 모두에서 glrnnophallid metacercariae가 발견되어 100%의 감염률을 보였고. 참굴 1마리 당 평균 610개(개체당 2-4.792개)의 감염량을 보였다 충체의 종은 추후 마우스 감염 실험을 통하여 G. seoi로 동정할 수 있었다. 유충(metacercariae)은 낭을 가지고 있지 않았고, 구흡반으로 참굴의 외투막(mantle surface)을 흡착하고 있었으며, 참굴의 절편 표본에서 참굴큰입흡충 속의 특징 중 하나인 복측흡(ventral pit)이 관찰되며. 복흡반 전방에 근육질이 아닌 생식공이 있고 저정낭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저정낭은 대부녁의 충체에서 단낭성(mono-sac)이어서 유일한 다른 종인 G. toiensis가 이낭성(bipartite) 저정낭을 가진 것과는 차이를 보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참굴이 G. seoi의 제2중간숙주이며 동시에 가장 중요한 인체 감염원일 것으로 판단하였고, 이 흡충의 우리말 이름을 참굴큰입흡충으로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