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awater temperature

검색결과 603건 처리시간 0.033초

수중추진을 위한 해수반응성 고체추진제의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seawater-reactive solid propellant for underwater propulsion)

  • 박길수;김태규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7년도 제48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28-130
    • /
    • 2017
  • 수중추진을 위한 고체추진제로 알루미늄 분말의 수반응성을 높이기 위하여 $NaBH_4$를 첨가하였다. 알루미늄 분말은 $NaBH_4$의 첨가량에 따라 다른 연소특성을 보였다. $NaBH_4$를 첨가하였을 때 끓는점보다 훨씬 낮은 온도에서도 물과 반응하여 연소되었다. 본 연구에서 $NaBH_4$는 Al 분말과 증기 반응을 촉진시키는 효과적인 첨가제임을 확인하였다.

  • PDF

실험실에서 사육된 고랑가리비 Chlamys swiftii 수정란 발생과 유생 성장 (Development and growth in fertilized eggs and larvae of Korea swift's scallop Chlamys swiftii reared in the laboratory)

  • 이주;김이청;김기승;남명모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63-272
    • /
    • 2013
  • 고랑가리비의 산란을 유도하고 수정난의 발생과 유생의 성장과정을 조사하였다. 산란자극 방법으로 광 자극, 간출 자극, 온도 자극, 그리고 간출 후 온도자극을 수온 $16{\pm}0.5^{\circ}C$에서 각각 실시하였다. 광 자극은 암컷 1마리당 700-900천개, 온도 자극은 700-800천개로 적은 산란량을 보인 반면 간출 자극은 700-1,200천개로 높았으며 간출 자극 후 온도자극이 1,000-1,500천개로 가장 높은 산란량을 보였다. 수정율에 있어 광 자극은 암컷 1마리당 71.7%, 온도자극은 73.4%, 간출 자극이 73.6%이었으며 간출 자극 후 온도자극은 76.3%로 가장 높았으나 자극방법에 따른 수정율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수정란부터 D상 유생으로의 수온별 발생과정을 조사하기 위하여 비이커에 ml당 1,000개의 수정란을 수용하고 각각 $8^{\circ}C$, $12^{\circ}C$, $16^{\circ}C$, $20^{\circ}C$$24^{\circ}C$에서 D상 유생으로 발생하는 생존율을 광학현미경을 사용하여 30분 간격으로 관찰한 결과, $8^{\circ}C$$24^{\circ}C$의 실험군이 4.1%와 3.2%로 생존율이 낮은 편이었으며 $16^{\circ}C$에서 32.7%로 가장 높은 생존율을 보여주었다. 수정란의 크기는 $72{\pm}2.1{\mu}m$, 담륜자 유생은 $103{\pm}3.8{\mu}m$, D상 유생은 $129{\pm}10.4{\mu}m$, 각정기 유생은 $145{\pm}16.8{\mu}m$, 후기 유생은 $197{\pm}13.6{\mu}m$이었으며 528시간 후에 각장 $245{\pm}15.8{\mu}m$의 초기 부착종묘로 성장하였다.

인천 연안지역의 해양환경요인과 병원성 비브리오균의 분포와의 관련성 (Relationships of Pathogenic Vibrios an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ir Occurrence in the Seawater of Incheon Coastal Area)

  • 고연자;장재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14-420
    • /
    • 2013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salinity, turbidity and pH on the growth of pathogenic Vibrios. In this study, we was obtained the samples from 2 different sites of the Incheon coastal area between January 2012 and December 2012. The water temperature in August and September was the high. the Incheon port changes the width of a small, wherease in the case of Hanjin harbor of changes of larger width. Salinity and turbid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hereas temperature and hydrogen ion concentration was not significant. Pathogenic vibrios was determined using the real-time PCR method. Pathogenic vibrios in the Incheon port and Hanjin harbor were detected in 11 samples (91.67%) and 9 samples (75.0%) of Vibrio cholerae, 7 samples (58.3%) and 6 samples (50.0%) of V. vulnificus, 10 samples (83.3%) and 12 samples (100.0%) of V. parahaemolyticus, respectively. Pathogenic Vibrio bacteria were the highest at $26.8^{\circ}C$ of seawater in August. Quantitative results were the following: 102 $cell/m{\ell}$ in Vibrio cholerae, 7.876 $cell/m{\ell}$ in V. vulnificus, and 503.4 $cell/m{\ell}$ in V. parahaemolyticus, respectively. The enumeration of pathogenic vibrio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emperature and pH, bu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alinity and turbidity.

2011년 11월 고성만 굴(Crassostrea gigas) 양식장 수질환경 모니터링을 통한 이산화탄소 수지 평가 (Evaluation of Simple CO2 Budget with Environmental Monitoring at an Oyster Crassostrea gigas Farm in Goseong Bay, South Coast of Korea in November 2011)

  • 심정희;예미주;임재현;권정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1026-1036
    • /
    • 2014
  • Real-time monitoring for environmental factors (temperature, salinity, chlorophyll-a, etc.) and fugacity of carbon dioxide ($fCO_2$) was conducted at an oyster Crassostrea gigas farm in Goseong Bay, south coast of Korea during 2-4th of November, 2011. Surface temperature and salinity were ranged from $17.9-18.7^{\circ}C$ and 32.7-33.8, respectively, with daily and inter-daily variations due to tidal currents. Surface $fCO_2$ showed a range of $390-510{\mu}atm$ and was higher than air $CO_2$ during the study period. Surface temperature, salinity and $fCO_2$ are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chl.-a and nutrients, respectively. It means when chl.-a value is high in surface water of the oyster farm, active biological production consume $CO_2$ and nutrients from environments and produce oxygen, suggesting a tight feedback between biological processes and environmental reaction. Thus, factors affecting the surface $fCO_2$ were evaluated using a simple mass balance. Temperature and biological productions by phytoplankton are the main factors for $CO_2$ drawdown from afternoon to early night, while biological respiration increases seawater $CO_2$ at night. Air-sea exchange fraction acts as a $CO_2$ decreasing gear during the study period and is much effective when the wind speed is higher than $2-3m\;s^{-1}$. Future studies about organic carbon and biological production/respiration are required for evaluating the roles of oyster farms on carbon sink and coastal carbon cycle.

감압증발장치와 해수담수화의 조건 (Conditions of Desalination with Reduced Pressure Evaporation Device)

  • 지호;윤성열;이승원;문덕수;이호생;김현주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8-12
    • /
    • 2014
  • 감압증발장치는 압력을 감소시켜 물의 끓는점을 낮춰주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온도를 높이는데 필요한 에너지 소모량을 줄일 수 있는 원리로 사용되고 있다. 즉, 온도와 압력의 상관관계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감압증발장치를 이용하여 해수의 온도별 포화증기압을 적용하여 증발량 실험을 한 결과 $80^{\circ}C$, -40 cmHg의 경우가 가장 많은 증발량을 나타내었으며, 해수의 농도에 따른 인자 실험의 결과에서는 농도가 짙을수록 증발량이 많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압력에 따른 인자 실험의 결과 낮은 압력에서 증발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증발량의 중요인자는 농도가 큰 부분으로 작용하였으며 다음 요인은 온도로 나타났으며 마지막 요인으로 압력을 들 수 있었다. 본 실험을 통하여 감압증발장치를 이용한 담수화 조건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저온 생장성이 우수한 분리 미세조류 Tetraselmis sp. 5개주의 생장 패턴 및 지방산 조성 분석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Five Isolates of Tetraselmis sp. with Rapid Growth Rates in Low Temperatures)

  • 박한울;허동희;신동우;김지훈;홍성주;임상민;이철균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3-28
    • /
    • 2019
  • For successful microalgal biodiesel production, the strain should be selected carefully. Fast growth rate and high fatty acid contents are desired traits for algal biodiesel production. In ocean cultivation of microalgae, seawater temperature slowly changes over seasons, and rotating algal strains in accordance with their optimal temperature could improve overall productivity. Additionally, use of indigenous strain is preferred to alleviate potential impacts on the environment. In this study, five strains of Tetraselmis sp. from nearshore of Youngheung Island, Incheon, Korea, were isolated during winter and characterized for their growth patterns and fatty acid compositions in the low temperatures ($5-15^{\circ}C$). The five strains showed various characteristics in optimal growth temperature, fatty acid contents, and compositions. Compared with a strain of Tetraselmis sp., isolated from Ganghwa island in a previous study, a rapid-growing strain with 237% higher biomass productivity and an oleaginous strain with twice higher fatty acid contents at $10^{\circ}C$ were isolated. The oleaginous Tetraselmis strain showed the highest fatty acid productivity among the strains, having 438% higher productivity than the previous strain. Using the new isolates in the seasons with low seawater temperature would improve microalgal fatty acid productivity in ocean cultivation.

The effect of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on concrete slab specimens with impressed current cathodic protection system

  • Jeong, Jin-A;Jin, Chung-Kuk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7권3호
    • /
    • pp.260-265
    • /
    • 2013
  • Impressed current cathodic protection (ICCP) system is one of the most promising corrosion protection methods. The Effect of ICCP system can be changed at diverse conditions. Particularly,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plays a crucial role in CP (Cathodic Protection) effect. Thus, in this study, the influence of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on concrete specimens was investigated. Specimens were concrete slab type with a base of $400mm{\times}400mm$ and height of 70mm. To enhance the effect of CP system, seawater was used as an electrolyte. Used anode for ICCP system was mixed metal oxide (MMO) titanium. Test factors were natural potential, CP potential, CP current, and 4-hour depolarization potential. From this study, it could be confirm that CP potential and current were highly influenced by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수온과 먹이에 따른 도루묵 (Arctoscopus japonicus) 치어의 에너지수지 (Energy budget of sandfish juvenile, Arctoscopus japonicus reared at different diet conditions and water temperature)

  • 양재형;이성일;윤상철;김종빈;전영열;박기영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7권2호
    • /
    • pp.128-138
    • /
    • 2011
  • In this study, energy budget was estimated to produce an efficient artificial seed. And it needs to enhance fisheries productivity of sandfish, A. japonicus. In order to estimate energy budget of the sandfish, A. japonicus juvenile fed on nonriched Artemia nauplii (NA) and the enriched Artemia nauplii (EA), of sandfish were reared at constant condition of seawater temperature of natural temperature (NT) and heated temperature (HT). During the reared period, energy used by the reared juveniles were calculated from estimates of data on ingestion, growth, oxygen consumption, nitrogen excretion and energy content. Energy budget of NT-NA, NT-EA, HT-NA and HT-EA were represented as 100C=66.49G+21.28M+0.78F+1.44U, 100C=67.54G+21.40M+9.39F+1.67U, 100C=66.86G+22.66M+8.01F+2.47U and 100C=67.06G+22.96M+7.70F+2.28U. The assimilation efficiency estimated NT-NA, NT-EA, HT-NA and HTEA were represented as 87.78%, 88.94%, 89.52% and 90.02%. Gross growth efficiency estimated NT-NA, NT-EA, HT-NA and HT-EA were represented as 66.49%, 67.54%, 66.86% and 67.06%. Net growth efficiency estimated NT-NA, NT-EA, HT-NA and HT-EA were represented as 75.75%, 75.94%, 74.68% and 74.49%. In this results, two ways could be considered to produce an efficient artificial seed of sandfish. To hasten the growth of sandfish juvenile, heated seawater (HT) and enriched Artemia nauplii (EA) should be inputted to reared condition. And to increase the energy efficiency, natural seawater (NT) and enriched Artemia nauplii (EA) should be inputted to reared condition.

동해 전선역 동물플랑크톤 군집 : 2. 수온과 분포의 관계 (Zooplankton Community in the Front Zone of the East Sea (the Sea of Japan), Korea : 2. Relationship between Abundance Distribution and Seawater Temperature)

  • 박철;이창래;김정창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749-759
    • /
    • 1998
  • 1996년 11월 동해에 형성된 전선역에서 동물플랑크톤의 분포를 살펴본 바, 그 양은 한수역보다는 작지만 난수역 보다는 큰 것으로 나타났고, 종 조성은 매우 풍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선역의 동물플랑크톤 군집은 양적으로는 한류수의 영향을, 종류는 난류수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난수역과 한수역에서는 각 해역의 서로 다른 두 정점간에 채집 시간이 낮과 밤으로 차이가 있음에도 출현하는 동물플랑크톤의 종 조성과 분포 양상이 비슷하였지만, 전선역 두 정점에서는 하루중 비슷한 시간대에 채집되었음에도 종 조성과 분포 양상에 차이가 있었다. 이는, 전선역의 수괴 혼합 진행 정도를 반영하는 지리적 차이가 동물플랑크톤의 종 조성과 분포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의미한다. 한수역의 대표적인 요각류 Metri-dia pacinca 만이 주목할 만한 일주수직이동 양상을 보였으며, 이 종의 분포가 전체 동물플랑크톤의 분포 양상을 크게 좌우하였다. 그밖의 대부분 종들은 일주 수직이동이 매우 미약하였다. 수온이 동물플랑크톤의 분포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온과 주요 우점 동물플랑크톤 분포량의 상관 관계는 난수역에서는 대체로 양의 상관관계를, 한수역에서는 매우 약한 음의 상관관계를, 그리고 전선역에서는 대부분 통계적 유의성이 없는 결과를 보였다.

  • PDF

해양기후변화에 의한 한국주변 해역에서 멸치와 꽁치의 어장 변화 연구 (Variations of catch of Anchovy and Saury due to oceanic climate change in the Korean seas)

  • 오승열;장선웅;윤홍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740-746
    • /
    • 2011
  • 본 연구는 한국 주변 해역을 중심으로 해양기후변화에 따른 어획량 변동을 연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조사 대상 지역은 북위 $31^{\circ}{\sim}38^{\circ}$, 동경 $124^{\circ}{\sim}132^{\circ}$의 한반도 주변해역이며 사용한 자료는 국립수산과학원의 수온, 염분, 용존산소의 2000~2009년까지의 자료와 위성자료를 각각 사용하였다. GIS를 활용하여 공간변동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기간동안 남해의 경우 수온은 평균 $1.45^{\circ}C$ 상승하였고, 동해의 경우는 평균 $0.83^{\circ}C$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온상승과 멸치 및 꽁치의 어획량을 비교하여 보면 멸치는 7~9월과 12~3월 사이에 많은 양이 어획되며 4~6월에는 상대적으로 어획양이 적었다. 연별로는 2000년 이후 멸치의 어획량이 상승하였다. 꽁치는 5월과 6월에 가장 많은 양이 어획되며 8월과 9월에는 극소량이 어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수온 상승으로 인하여 난류성인 멸치의 어획량은 증가하고 한류성인 꽁치는 어획량이 점차 감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