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asoned anchovy meat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6초

멸치를 이용한 식품가공용 중간소재의 가공 (Processing of the Intermediate Product (Frozen Seasoned Anchovy Meat) Derived from Anchovy)

  • 오광수;노락현;이응호;박희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98-504
    • /
    • 1989
  • 멸치를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일련의 연구로 각종 조리재료나 식품가공용 중간소재로 이용할 수 있는 냉동멸치조미육의 가공조건을 구명하고 본 시제품의 화학성분을 분석하였다. 냉동멸치조미육제품을 가공하기 위하여 채육, 세절한 멸치육에 대해 분리대두 단백 : 물 : 대두유(1 : 5 : 2)로 만든 유화커어드 12.8%, 식염 0.5%, 설탕 2.0%, sodium bicarbonate 0.4%, 중합인산염 0.2%, MSG 0.2%, 분리대두단백 3.0%, 양파가루 0.3%, 생강가루 0.1%, 후추가루 0.1% 항산화제로서 sodium erythrobate를 0.2% 첨가하여 멸치육 알맹이가 붕괴되지 않도록 혼합한 후$-35^{\circ}C$에서 급속동결시켜 carton box로 포장하여 $-25{\pm}2^{\circ}C$에 동결 저장하는 것이 가장 좋았다. 냉동멸치조미육제품의 수분함량은 73.0%. 조단백질 19.1%, 조지방은 5.0%였으며 생균수는 $1.5{\sim}1.6{\times}10^5/g$, histamine함량은 70.6mg/100g이었다. 유화커어드를 첨가함으로써 제품의 지방함량 조정 및 조직감을 개선 시킬 수 있었다. 제품의 주요구성 지방산은 linoleic, oleic, palmitic, docosahexaenoic, linolenic, palmitoleic, eicosapentaenoic acid 등으로 불포화지방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Glu, Asp, Leu, Lvs, Ala 등이 주요 구성아미노산이었다. 멸치조미육제품의 정미성분은 IMP(160.9mg/100g)와 같은 핵산관련물질 및 Glu(179.4mg/100g), His(84.7mg/100g), Ala(54.4mg/100g), Leu(37.9mg/100g) 둥 유리아미노산이 정미성 및 양적으로 보아 주체를 이루고 있었고, 이 외에 total creatinine(158.3mg/100g), 미량의 TMAO, betaine 등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 PDF

수입육류 및 어류의 방사선조사 여부 판별을 위한 Marker로 검출되는 Hydrocarbons의 활용 (Application of Hydrocarbons as Markers for Detecting Post-irradiation of Imported Meats and Fish)

  • 황금택;박준영;김충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1109-1115
    • /
    • 1997
  • Hydrocarbons were analyzed in irradiated beef, pork, dried and seasoned beef, dried anchovy, dried squid, dried shrimp, and fish paste to determine whether the hydrocarbons can be used as markers for detecting post-irradiation of the imported meat and fish products. The samples were irradiated at 0.5, 1, 3, and 6 kGy. Fat was extracted with hexane, and hydrocarbons were separated from the fat through Florisil column. The hydrocarbons were analyzed with GC. Hydrocarbons 15:0, 16:1, 17:1, 16:2, 17:2, and 16:3 in beef and pork, 17:1, 16:2, and 17:2 in dried and seasoned beef, 16:2 in dried anchovy, 16:1 and 17:1 in dried squid, 16:1, 17:1, and 16:2 in dried shrimp, and 16:1, 16:2, and 16:3 in fish paste were detected in the irradiated samples, but not in the unirradiated, so that the hydrocarbons may be used as makers for detecting post-irradiation of each item.

  • PDF

멸치를 이용한 식품가공용 중간소재의 동결저장안정성 (Frozen Storage Stability of the Frozen Seasoned Anchovy Meat Products)

  • 박희열;오광수;이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36-541
    • /
    • 1989
  • 냉동멸치조미육제품의 저장안정성을 살피보기 위해 본 시제품을 동결저장하면서 저장 중 품질안정성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동결저장 중 멸치조미육제품의 pH 및 휘발성염기질소량은 점차 약간씩 증가하는 반면, 생균수는 $0.8{\sim}2.6{\times}10^5/g$ 범위로 저장 중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Histamine 함량은 $70.6{\sim}76.7mg/100g$ 범위로 식품위생학적 면에서 안전하였다. 동결저장 중 고도 불포화지방산의 조성비는 점차 감소하는 반면 포화산, 모노엔산은 상대적으로 약간씩 증가하였다. 고도불포화 지방산의 산화분해 정도, 유지특가, 색조의 변화 및 단백질의 법동변성 정도를 측정한 결과 유화커어드 및 sodium erythorbate를 첨가함으로써 제품의 지방산패, 단백질변성을 다소 억제시킬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본 시제품(A)는 동결저장 150일 동안 품질이 안정하게 유지되었으며 식품가공용 중간소계로서 충분히 이용가능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Koji를 첨가하여 발효한 오징어 내장 조미료의 품질특성 (Quality Properties of Fermented Squid Viscera Product with Aspergillus oryzae Koji and Its Seasoning)

  • 최승화;김상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94-101
    • /
    • 2011
  • 본 연구는 오징어 가공부산물인 내장에 koji를 첨가하여 속성 발효한 천연조미료 소재 개발을 목적으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휘발성 염기질소량과 trimethylamine은 대조군이 가장 급격하게 증가하였고, 식염이 많이 첨가될수록 서서히 증가하였다. pH는 대조군이 가장 급격한 변화를 보였으며, 식염이 많이 첨가될수록 pH의 변화량이 적었다. 반면, 산도는 pH 감소와 반비례하여 증가하였다. 아미노질소는 식염 5% 첨가군이 가장 짧은 기간에 최고값을 나타내었으며, 식염 10, 15% 첨가군은 식염 5% 첨가군과 비슷한 값을 보였으나 발효기간이 길어 적합하지 않았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를 고려할 때, 식염 5% 첨가군이 조미료를 만들기에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식염 5%의 농도에 14일 간 발효시킨 오징어 내장 발효생성물의 일반성분은 조단백이 가장 많았으며, 유리아미노산 조성은 단맛을 내는 아미노산인 alanine과 감칠맛을 내는 아미노산인 glutamic acid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항산화와 항대장암 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positive control에 비하여 활성이 떨어졌다. 관능검사 결과는 시판 천연조미료와 비교하여 관능적으로 큰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고려할 때 오징어 내장 발효생성물은 천연조미료 등 식품첨가제로써 활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