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asonal customs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8초

조선후기 세시기속시(歲時記俗詩) 고찰 -대보름 연작형(聯作型) 세시기속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Sesi Keesokshi in the late Joseon Period -Focusiong on Serial Sesi Keesokshi-)

  • 양진조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0권
    • /
    • pp.307-323
    • /
    • 2007
  • 일반적으로 조선후기 한시(漢詩)의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가 민간의 풍속과 민중의 생활 상을 상세하게 다룬 일련의 연작형 기속시(紀俗詩)가 다수 창작되고 있다는 것이다. 기속시는 그 소재(素材)와 내용에서 특정 지역의 풍토, 지리, 기후, 물산(物産), 인정(人情), 세태(世態), 생업과 노동 등 민중의 생활 현장 전반을 두루 포괄하고 있다. 이러한 소재의 특징에 따라 기속시는 해당 사회를 구성하는 사람들의 구체적인 생활상을 반영하고, 토속적 정서와 민중이 생활 감정을 중점적으로 형상화하였다. 이러한 기속시중 소재적 측면에서 민중의 연중행사인 세시풍속을 읊은 시를 세시기속시(歲時記俗詩)라 하는데, 조선후기에 이르면 명절이나 세시 절기에 벌어지는 세시풍속만을 소재로 연작형을 이룬 작품이 대거 출현하게 된다. 이는 실학의 발전과 민족의식의 고조, 신분질서의 동요와 민중 역량의 성장, 그리고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따른 예술사 전반의 변모와 함께 특히 한시사(漢詩史)에 나타난 '조선시(朝鮮詩)' 정신의 대두(擡頭)등이 역사적 배경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작자의 다양한 체험과 견문, 민족과 민중의 생활감정을 중점적으로 형상화하였다. 이러한 기속시 중 소재적 측면에서 민중의 연중행사인 세시풍속을 읊은 시를 세시기속시(歲時記俗詩)라 하는데, 조선후기에 이르면 명절이나 세기 설기에 벌어지는 세시풍속만을 소재로 연작형을 이룬 작품이 대거 출현하게 된다. 이는 실학의 발전과 민족의식고조, 신분질서의 동요와 민중 역량의 성장, 그리고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따른 예술사 전반의 변모와 함께 특히 한시사(漢詩史)에 나타난 '조선시(朝鮮詩)' 정신의 대두(擡頭)등이 역사적 배경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작자의 다양한 체험과 견문, 민족과 민중의 현실에 대한 관심과 문제의식 등 작가적 체험과 의식성향이 세시기속시(歲時記俗詩) 창작의 중요한 배경적 요소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연작형 세시기속시는 584수(首)로 확인되며, 그중 대보름 풍속을 소재로 한 시는 178수(首)로 전체의 1/3을 차지하는 분량이다. 이러한 작품들은 절기(節氣)에 이루어지는 다양한 전래민속을 한시의 소재로 직접 수용함으로써 민족의 생활양식을 폭넓게 반영하고 있다. 특히 기층민의 현실생활현장에 밀착하여 그들의 질박하고 활기찬 삶을 긍정적으로 묘사하면서 분방 발랄한 민중상을 창조하고 민중의 염원과 삶의 애환을 그려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문헌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실싸움', '노구반공양'이라는 풍속을 소재로 삶았던 것도 그 의의가 크다고 하겠다.

동아시아 전통 천문학의 과학문화적 이해 (A Science Cultural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Astronomy in East Asia)

  • 이문규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2권2호
    • /
    • pp.159-183
    • /
    • 2012
  • 우리의 현실에 부합하는 과학문화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과학기술의 외래성을 극복하고 전통과의 단절을 넘어설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전통과학의 대표적인 분야인 천문학을 통해 우리 전통과학의 특징을 이해하고 바람직한 과학문화 형성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고대 문명에서 처음 등장하는 천문학의 일반적인 특징을 살펴서 전통 천문학에는 과학의 한 분야로서 천문학적 지식과 함께 여러 문명마다 각기 다른 고유한 문화적 요소가 들어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천문학의 여러 세부 분야 중에서 사람들의 실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문화적 차이를 잘 드러내 주는 것은 시간의 과학이라고 할 수 있는 달력과 역법이다. 모든 고대 문명에서 해와 달의 운행을 기준으로 삼아 시간을 표현했지만, 시간을 구체적으로 어떤 방식으로 표현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각각의 문화마다 서로 달랐다. 그 결과 달력에서 음력과 양력 그리고 음력과 양력의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는 태음태양력 체계가 나타났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아시아에서는 태음태양력을 사용했는데, 동아시아에서 달력은 서양 세계와는 달리 복잡하고 정교한 천문학적 작업인 역법에서 도출된 것이다. 한편, 민간생활을 잘 보여주는 세시풍속에서도 태음태양력의 특징을 분명하게 찾을 수 있지만, 또한 세시풍속에는 이른바 미신적인 내용이 많이 들어 있기도 하다. 이런 점 때문에 우리의 달력 체계를 비과학적인 것이라고 오해하거나 나아가 전통과학 전반에 대해 과학적인 측면이 결여되어 있다고 의심하기 쉽다. 하지만 동아시아의 달력과 역법을 제대로 이해함으로써 우리 전통 속에 과학적인 측면이 분명하게 존재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것이 오늘날 과학기술의 외래성을 극복하고 전통과의 연결점을 찾을 수 있는 고리가 될 것이다.

  • PDF

한.미 무역구제제도 및 KORUS-FTA 제10장에 대한 평가 및 유의점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Valuation for Trade Remedies System and KORUS-FTA Chapter 10 between the KOREA and U.S.)

  • 오현석
    • 무역상무연구
    • /
    • 제41권
    • /
    • pp.237-266
    • /
    • 2009
  • KORUS-FTA are consist of articles 8. In order to the subjects are, application of a safeguard measures, conditions and limitations, provisional measures, compensation, global safeguard actions, definitions, antidumping and countervailing duties, committee on trade remedies. In especially, regarding application of a safeguard measures under KORUS-FTA, if as a result of the reduction or elimination of a customs duty under this agreement, an originating good of the other party is being imported into the territory of a party in such increased quantities, in absolute terms or relative to domestic production, and under such conditions that the imports of such originating good from the other party constitute a substantial cause of serious injury, or threat thereof, to a domestic industry producing a like or directly competitive good, the party may: suspend the further reduction of any rate of customs duty on the good provided for under this agreement; increase the rate of customs duty on the good to a level not to exceed the lesser of: the most-favored-nation (MFN) applied rate of duty on the good in effect at the time the action is taken; and the MFN applied rate of duty on the good in effect on the day immediately preceding the date this Agreement enters into force; or in the case of a customs duty applied to a good on a seasonal basis, increase the rate of duty to a level that, for each season, does not exceed the lesser of: the MFN applied rate of duty on the good in effect for the corresponding season immediately preceding the date of application of the safeguard measure; and the MFN applied rate of duty on the good in effect for the corresponding season immediately preceding the date this agreement enters into force.

  • PDF

우리나라 종이접기 공예품에 대한 역사적 고찰 (Historical Review on the Korean Paper Folding Crafts)

  • 전철
    • 펄프종이기술
    • /
    • 제47권4호
    • /
    • pp.168-176
    • /
    • 2015
  • The history of paper folding had continued before that the paper manufacturing technique was spread in the 3rd century and it was used for witchcrafts and rituals. Fold means as was used with the word Cheop and Jeopji.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 conical hat with fabric spread as customs, then it was made of the paper that led the popularization of paper folding form the early Joseon Dynasty. Paper crafts and living things with paper are mostly derived from fabrics except the paper written for saint's name related God. In the period of the tribe nation, witchcrafts and rituals brought to Japan via the Korean Peninsula, as a result Kami which means God in Japanese that becomes the paper. The first folding fan was made to develop from the fan, Baekseopsun in the end of Goryeo Dynasty. It was an outstanding application of paper folding crafts. Since the early Joseon Dynasty, paper flower folding has considered as the virtue of savings and has developed one of the Korean traditional paper arts. Paper folding has also developed in the practical uses like the other Korean paper arts but paper folding that was developed as seasonal customs, playing or religious purpose showed a different trend from Korean paper arts.

전라도 석탑의 세부 기법 고찰 - 옥개석 물끊기홈과 충탁공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tailed treatment techniques of seoktap(stone stupa) in Jeollado province -in the groove for dropping water and the hole for wing bell of the okgaeseok(roof stone)-)

  • 조은경;한주성;남창근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0권
    • /
    • pp.271-306
    • /
    • 2007
  • 일반적으로 조선후기 한시(漢詩)의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가 민간의 풍속과 민중의 생활상을 상세하게 다룬 일련의 연작형 기속시(紀俗詩)가 다수 창작되고 있다는 것이다. 기속시는 그 소재(素材)와 내용에서 특정 지역의 풍토, 지리, 기후, 물산(物産), 인정(人情), 세태(世態), 생업과 노동 등 민중의 생활 현장 전반을 두루 포괄하고 있다. 이러한 소재의 특징에 따라 기속시는 해당 사회를 구성하는 사람들의 구체적인 생활상을 반영하고, 토속적 정서와 민중이 생활 감정을 중점적으로 형상화하였다. 이러한 기속시중 소재적 측면에서 민중의 연중행사인 세시풍속을 읊은 시를 세시기속시(歲時記俗詩)라 하는데, 조선후기에 이르면 명절이나 세시 절기에 벌어지는 세시풍속만을 소재로 연작형을 이룬 작품이 대거 출현하게 된다. 이는 실학의 발전과 민족의식의 고조, 신분질서의 동요와 민중 역량의 성장, 그리고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따른 예술사 전반의 변모와 함께 특히 한시사(漢詩史)에 나타난 '조선시(朝鮮詩)' 정신의 대두(擡頭) 등이 역사적 배경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작자의 다양한 체험과 견문, 민족과 민중의 현실에 대한 관심과 문제의식 등 작가적 체험과 의식성향이 세시기속시(歲時記俗詩) 창작의 중요한 배경적 요소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연작형 세시기속시는 584수(首)로 확인되며, 그중 대보름 풍속을 소재로 한 시는 178수(首)로 전체의 1/3을 차지하는 분량이다. 이러한 작품들은 절기(節氣)에 이루어지는 다양한 전래민속을 한시의 소재로 직접 수용함으로써 민족의 생활양식을 폭넓게 반영하고 있다. 특히 기층민의 현실 생활 현장에 밀착하여 그들의 질박하고 활기찬 삶을 긍정적으로 묘사하면서 분방 발랄한 민중상을 창조하고 민중의 염원과 삶의 애환을 그려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문헌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실싸움', '노구반공양'이라는 풍속을 소재로 삶았던 것도 그 의의가 크다고 하겠다.

외국인 유학생대상 한국세시풍속문화 체험교육콘텐츠 연구 (Research Study on Korean Seasonal Customs Culture Experience Education Contents for International Students)

  • 이리경;주경애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7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77-378
    • /
    • 2017
  •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대상 한국세시풍속문화 체험교육콘텐츠 개발의 필요성을 제고하여 한국문화교육 실시에 필요한 실용적인 체험교육콘텐츠 개발에 목적을 두었다. 한국세시풍속문화 체험교육콘텐츠는 계절별로 나누었으며. 콘텐츠별 분류는 의례, 음식, 놀이, 예술, 축제 등의 다섯 분류로 나누었다. 콘텐츠의 분류는 오덕(五德)의 의미를 담아 의례에는 예(禮), 음식에는 의(義), 놀이에는 지(智), 예술에는 인(仁), 축제에는 신(信) 등으로 재조직하여 분류하였고, 그에 맞추어 교육콘텐츠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외국인 유학생 대상 한국세시풍속문화 체험교육콘텐츠가 실용적으로 확산되기를 기대한다.

  • PDF

6.25전쟁 이후의 중·북부지역 가면극의 변화양상 (The changes in the Korean Mask Dramas of the Central and Northern Regions after the Korean War)

  • 전경욱
    • 공연문화연구
    • /
    • 제22호
    • /
    • pp.5-43
    • /
    • 2011
  • 한국의 가면극은 대부분 세시풍속의 하나로 연행되었으며, 동제·줄다리기·지신밟기·횃불싸움·길놀이·사또놀음 등 여러 세시행사와 연계되어 전승되었다. 6.25전쟁 이후에는 이러한 세시행사와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연행하기 때문에 원래의 기능과 의미를 상실하게 되었다. 또한 연행시간이 대폭 줄어들었기 때문에 연희내용, 노래, 대사를 많이 생략하고 있다. 북청사자놀이는 6.25전쟁 이후 사자춤이 한 마리에서 두 마리로 늘어났고, 애원성춤·사당춤·넉두리춤·칼춤을 새로 추가했다. 사자가 아이를 잡아먹던 내용도 토끼인형을 잡아먹는 내용으로 바뀌었다. 사자가면은 원래 여러 유형이 있었으나, 현재는 호랑이 모습의 가면으로 획일화되었다. 양주별산대놀이는 '애사당 법고놀이'에서 먹중 8명과 왜장녀·애사당 등 모두 10명이 등장하는 것이 이치에 맞는데, 현재는 이외에 말뚝이 가면을 쓴 배역이 등장한다. 현재의 연희에서는 성(性)과 관련된 노골적인 부분을 생략하고 있다. 또한 신할아비·미얄할미 과장에서 할미의 죽음 후에 예전에는 신할아비가 넋타령을 했는데, 최근에는 무당굿을 한다. 대사에서는 비속어와 육담을 대폭 생략하고 있다. 가면은 특히 연잎·옴중·샌님가면이 큰 변화를 보인다. 봉산탈춤은 6.25전쟁 이후 노장과장에서 가장 큰 변화를 보인다. 예전에는 소무가 두명 등장했으나 현재는 한 명만 등장하고, 신장수와 원숭이의 퇴장도 차이를 보인다. 예전의 가면들은 연희자가 내다볼 수 있는 구멍을 코 양옆으로 크게 뚫었지만, 현재의 가면들은 가면의 눈동자에 구멍을 뚫어놓았다. 특히 먹중가면이 큰 변화를 보인다. 봉산탈춤을 복원할 당시에 봉산 출신의 연희자가 적었기 때문에, 다른 해서탈춤의 연희자들과 함께 연희를 복원했다.

한국 전통음식 통합 검색 시스템 구축을 위한 세시음식 연구 (A Study on the Traditional Korean Festival Foods for the Construction of a Traditional Korean Food Data Integration System)

  • 신승미;송태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43-255
    • /
    • 2008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ffer basic data base on traditional Korean festival foods for a traditional Korean food data integration system, that is based on literature reviews. The Korean lunar calendar has seasonal divisions reflecting traditional Korean holidays. In the past, there were many customs corresponding to emotions, and foods were in accordance with customs, festivals, and seasons. Today, we are well aware of the traditional Korean foods of New Year's Day(Seollal), the Korean Harvest Festival(Chuseok), the First Full Moon Day(Jeongwol Daeboreum), the Winter Solstice(Dongji), and the hottest summer day(Sambok). However, many other traditional Korean holidays are disappearing from the modem Korean life-style. This study made the following classifications for traditional Korean festivals. Seollal(Seol), Ipchun, and Jeongwol Daeboreum in January; Junghwajeol in February; Samjinnal in March; Hansik and Chopail in April; Dano in May; Yudu and Sambok in June; Chilseok and Baekjung in July; Chuseok in August; Jungyangjeol in September; Siwolmuoil in October; Dongji in November; and Napil and Seotdal Geumeum in December. The familiar traditional Korean festival foods are as follows: Seollal's festival foods consist of 5 main dishes, 35 side dishes, 12 kinds of tteok lyou, 21 kinds of hangwa lyou, 2 kinds of emchong lyou, and 3 kinds classified as others; this includes tteokguk, manduguk, galbijjim, sinseollo, jeon, pyunyuk, kimch, tteok, sikhe, sujunggwa, fruits, and seju on Seollal. The festival foods for Jeongwol Daeboreum consist of 3 main dishes, 27 side dishes, 5 kinds of tteok lyou, 3 kinds of hangwa lyou, 4 kinds of emchung lyou, and 3 kinds classified as others; this includes ogokbap, mugeunnamul, yaksik, yumilkwa, wonsobyung, guibalgisul, and burum on Jeongwol Daeboreum. The festival foods for Sambok consist of 6 main dishes, 18 side dishes, 4 kinds of tteok lyou, 3 kinds of eumchung lyou, and 2 kinds classified as others; this includes yukgaejang, imjasutang, youngyejjim, tteoksudan, santtalgihwaschae, and subak on Sambok. Chuseok's festival foods consist of 4 main dishes, 22 side dishes, 18 kinds of tteok lyou, 6 kinds of hangwa lyou, 4 kinds of eumchung lyou, and 3 kinds classified as others; this includes oryeosongpyeon, toranatang, garijjim, dakjjim, namuls, tteok lyou, baehwachae, and fruits on Chuseok. The festival foods for Dongji consist of 6 main dishes, 6 side dishes, 7 kinds of tteok lyou, 1 kind of hangwa lyou, 2 kinds of eumchung lyou, and 1 kind classified as others; this includes patjug, jeonyak, and dongchimi on Dongji. Based on these data, it is recommended that knowledge of traditional Korean festival foods be handed down, preserving and develop their excellence and to further scientific studys.

국민학교 환경교육의 효율적 지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the Environmental Education in Korean Primary School)

  • 차주혁;김병우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7권1호
    • /
    • pp.30-45
    • /
    • 199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ncern of the primary school teachers and the teaching situation abou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on the effective environmental education. The results of questionnaire were analysed and discussed to provide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the environmental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It was found that teachers want to teach environmental lessons as a special subject, and the content of the environmental lessons in textbook was not enough in quantity, the living waste was the most serious ploblem. Owing to the lacking in materials for the lectures on environmental education, most teachers collect the material depending on the mass communication. Also they were more interested in the environmental lessons rather than the other lessons in textbook. But because of the lacking in administrative assistance, they have difficulty in conducting the effective environmental education. 2. The teaching method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in most primary schools was a all together-type lecture in classroom. Owing to conducting the environmental education for the knowledge than the action through the extra activity, it was difficult to expect the effect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Also the rate of using the reflection materials which can be improved the studying effect was very low. 3. For the effective environmental education most teachers wanted the spot learnings and the case studies and teacher education and training to get an special knowledge for environmental education. The effective evaluation method for children's environmental education is to present the results by environmental experiences and practices and to formulate a system education is organized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and activ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4. By practising the seasonal spot learnings, students need to change of learning method and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 through own self-experiences. 5. In the future, it is desirable that researching of an environmental education is offered the effective practising teaching method which is improving the development of customs and functions, cultivation of the sense of value, ability to solve the problem, to determine the intention as well as the survey on the real situation and the consciousness about environmental education.

  • PDF

현대 패션디자인에서의 콜래보레이션 표현성 - 한국적 문화콘텐츠의 응용을 중심으로 - (The Collaboration Expression in the Modern Fashion Design - Focusing on the Collaboration of Korean Cultural Contents -)

  • 이은숙;김새봄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99-111
    • /
    • 2012
  • This study intends to explore the collaborative expression in the modern fashion design by analyzing the collaboration of motifs symbolizing Korean cultural identity. As for the data research, in order to examine the expressional objects of collaboration in the collections of the fashion designers from Korea and overseas who have applied the Korean culture among their collections posted on the Internet sites, www.firstview.com, and www.style.com from 2005 to 2012 were collected for analysis. 923 pictures used in the analysis sheet.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e content analysis method was used. In the modern fashion design, the collaborative expression in the motifs symbolizing Korean cultural identity are limited to tangible expression, intangible expression, integrated exp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tangible expression, traditional tangible assets are used in the shapes, items, colors, materials, patterns and details to symbolize uniquely Korean image. The intangible expression, the applicability for Korean intangible assets include the master's (intangible cultural assets) and the craftsmanship of the modern designers being collaborated onto the contemporary customs to express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in a realistic or an abstract trend. The hybride expression, it is to represent Korean thoughts and values using the tangible elements. Second, The expressivity of collaboration of each year mostly shows integrated expression, intangible expression and tangible expression were shown respectively. The trend of seasonal collaboration expressivity was muchly the integrated expression in most seasons, and intangible expression and tangible expression followed respectively. It is recognizable that the expressivity of collaboration of each designer was; integrated expression was muchly shown in Lie Sang Bong and Lee Young Hee's works, Duri Jung showed much of intangible expression, and much tangible expressivity was shown in Carolina Herrer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