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a sand

검색결과 627건 처리시간 0.021초

해안 매립지 탄성파 탐사 (Quantitative assessment of reclamation-dams from the sea by using combined seismic methods)

  • 김중열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2년도 정기총회 및 제4회 특별심포지움
    • /
    • pp.85-100
    • /
    • 2002
  • 본 논문의 주요 내용은 텔레뷰어와 탄성파 토모그래피에 바탕을 둔 하나의 물리탐사 병합 기술에 의해 연안 매립지 조성을 위해 착수되는 사석댐의 하부구조를 고분해능으로 규명하는 데 있다. 해성점토 위에 투하된 사석은 그 하중에 의해 침하되어 하나의 사석층을 이루게 되며 그 침하 심도는 해성점토의 두께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달리하고 있다. 여기서 관심의 초점은 무엇보다 사석량 산출을 위해 필요한 사석층 경계면이다. 그런데, 조사의 정확도를 기대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상기 두 기법 본연 (상용되는)의 기능만으로는 거의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여기에는 각 기법의 고유 기능을 바탕으로 그에 따른 새로운 측정 및 분석기법 개발이 불가피하다. 본 논문에는 우선 이에 대한 적절한 측정 기법을 소개하고 있으며 나아가서 사석층 경계면 판단을 위한 다양한 분석 기법을 제시하고 있다.

  • PDF

새만금간척 전.후 잔차류의 계절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easonal variation of the residual flow before and after Saemangeum reclamation)

  • 신문섭;;홍성근;이동주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5권4호
    • /
    • pp.425-442
    • /
    • 2002
  • 새만금간척지역은 동경 $126^{\circ}10'{\sim}126^{\circ}50'$와 북위 $35^{\circ}35'{\sim}36^{\circ}05'$ 위치하고 있다. 새만금간척지역은 대조차가 5.6m 이고 최대 조유속은 $1.41m\;s^{-1}$ 이다. 조간대 침전물의 대부분은 금강, 만경, 동진강으로부터 유입되고 있다. 이 지역의 저질은 실트질 모래로 구성되어 있다. 동절기의 바람은 북서풍이 우세하다. 새만금간척면적은 40,100ha 이고 방조제의 길이는 33km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강 진단모델과 예보모델에 의하여 간척전 후의 잔차류의 계절변화를 규명하는 것이다.

낙동강 수계 표층 퇴적물의 중금속 분포와 오염도 (Distribution and Pollution of Heavy metals in Surface sediments from Nakdong River)

  • 김신;김주언;이권철;이규열;전혜린;유재정;이인정;안정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4권8호
    • /
    • pp.969-980
    • /
    • 2015
  • In order to certificate the distribution and pollution of heavy metal of surface sediments in Nakdong River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grain size, water content, ignition loss and heavy metal content. Surface sediments mainly composed of sand(avg. 94.6%) and water content and ignition loss were 20.46%, 1.53% on average. Grain size were relatively fine and organic matter content were relatively high in the Hoichun and Sunakdonggang. Most of heavy metal content(Zn > Cr > Pb > Ni > Cu > Hg) in the Deokcheongang and Sunakdonggang were higher than the other streams. The Igeo were non polluted(less than 0) in all streams and the EF were relatively high in the small stream and PLI were non polluted(less than 1). In addition, organic matter, heavy metal content and pollution were highly correlation with grain size. Surface sediments in study area, heavy metal pollution of the Sunakdonggang were relatively high compared to the other stream but these results were not serious pollution that exceed the sediment pollution evaluation standard of river and lake in Korea and pollution levels adversely affected the majority of benthos were not.

포획된 부유물질의 입도분포를 고려한 탁도계 검교정 (Turbidity Meter Calibrations Based on Grain Size Distribution of Trapped Suspended Material)

  • 조홍연;김백운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3-38
    • /
    • 2003
  • 가덕도 인근 연안해역에서 채취된 해저 퇴적물과 연직방향으로 배열된 표사포획장치로부터 획득된 부유물질을 이용하여 탁도계 검교정을 수행하였다. 포획된 부유물질은 모래 함량이 약 6%인 해저 퇴적물에 비하여 주로 실트 및 점토로 조성되었으며, 해저면으로부터의 놀이가 증가함에 따라 세립화하는 경향을 보였다. 해저 퇴적물에 대한 탁도계 검교정 선형 회귀식의 기울기는 최소값으로 나타났으며, 수심별로 포획된 부유물질에 의한 선형 회귀식의 기울기는 포획 고도가 증가함(즉, 입도가 감소함)에 따라서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해저 퇴적물에 대한 탁도계 검교정 결과로부터 부유물질 농도를 환산할 경우 과대추정의 오차가 발생되며, 본 연구해역의 경우에는 그 오차가 최대 25%까지 증가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해저 퇴적물보다는 수층에서 포획된 부유물질의 입도분포를 고려하여 보정된 검교정식을 적용하는 것이 부유물질 농도의 측정오차를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사료된다.

주기적 지형 측량을 통한 해빈과 해안사구의 지형변화: 충남 보령시 소황사구를 사례로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the beach and dune using by periodical measurements)

  • 강동균;서종철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69-79
    • /
    • 2012
  • 충남 서천군 소황리 해안을 대상으로 광파측거기를 이용하여 해빈과 전사구를 정밀측량한 후 중기간의 해빈과 해안사구 지형 변화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현지의 풍계와 장기간 지형변화와 연관시켜 검토하였다. 4회에 걸친 측정값을 1m 해상도의 DEM으로 변환하여 분석한 결과, 연구 지역의 지형 발달 방향은 바람의 방향보다는 인공구조물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지역 중앙에 위치한 도류제와 남단에 신축된 방조제에 의해, 도류제 북쪽에서는 퇴적이, 도류제 남쪽에서는 침식이, 그리고 연안류에 의해 방조제 근처에 지속적인 퇴적이 발생하였다. 해빈과 해안사구는 측정시기에 따라 침식과 퇴적이 반복되어 퇴적물 교환이 주기적으로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주기적이고 지속적인 정밀 측량이 이루어지면 연구 지역 일대에서 일어나는 지형 변화의 원인을 정확히 밝힐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 report on 53 unrecorded bacteria species in Korea in the class Gammaproteobacteria

  • Kanjanasuntree, Rungravee;Cha, Chang-Jun;Cho, Jang-Cheon;Im, Wan-Taek;Kim, Myung Kyum;Jeon, Che-Ok;Joh, Kiseong;Kim, Seung-Bum;Seong, Chi-Nam;Yi, Hana;Lee, Soon Dong;Bae, Jin-Woo;Kim, Wonyong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8권4호
    • /
    • pp.319-336
    • /
    • 2019
  • During an investigation of unrecorded prokaryotic species in Republic of Korea, a total of 53 bacterial strains belonging to the class Gammaproteobacteria were isolated from soil, seawater, tidal flats, rhizosphere, salt ponds, beach sand, urine, manure, sediment, and animal intestine (Russian grayling butterfly [Hipparchia autonoe], mouse [Mus musculus], and sea bass [Lateolabrax japonicus]). Strains were identified to species using the 16S rRNA gene sequence, showing high similarity (>98.7%) with the closest bacterial species and forming a robust clade in the neighbor-joining phylogenetic tree. The 53 strains of Gammaproteobacteria in this study have not been report previously in Korea. Therefore, we describe 27 genera of 16 families in 7 orders: 13 strains in the order Alteromonadales, 1 strain in the order Chromatiales, 11 strains in the order Enterobacterales, 7 strains in the order Oceanospirillales, 10 strains in the order Pseudomonadales, 8 strains in the order Vibrionales, and 3 strains in the order Xanthomonadales. Gram reaction, strain ID, isolation source, and morphological and basic biochemical characteristics are described for each species.

Liminality & Transformative Drama in Shelley's "Julian & Maddalo"

  • Narrett, Eugene
    • 영미문화
    • /
    • 제10권2호
    • /
    • pp.149-207
    • /
    • 2010
  • Written simultaneously with Prometheus Unbound, Shelley's "Julian & Maddalo" is a masterwork of dramatic poiesis, of doubling embedded in its couplets, dialogic debate on human nature and contrasted symbolic emblems. The emblems mirror each other and are themselves sites of generative paradox: the "heaven illumined" but "dreary tower" of the Maniac and the glorious sunsets on the "ever-shifting sand" of the Lido, a wasteland that is a place of self discovery but also of "abandonment" and barren mingling figured, inter alia, in its "amphibious weeds," a trope of the poem's personae. This essay also explores the poem's dramatic structure and various rhetorical devices, beginning with the Preface, a threshold of complex identity disguise that Shelley uses for veiled self-presentation, as in "Alastor," mirroring and literary references replete with nuanced ironies. I focus mainly on the complex figures of liminality Shelley uses to develop his own thoughts (as well as his ongoing debates with Byron) about man's potential for growth in thought, insight and empathy, in political reform and interpersonal and individual healing. Advancing Shelley's most optimistic ideas, Julian, escorted by Maddalo observes the Maniac, -- a living ruin whose pained eloquence reveals the link of eros to poiesis and the limits of the latter's ability to 'transform a world.' The Maniac is the core of muse-work (remembering, thinking and song) and Shelley presents him as its emblem. He also is prefigured in and reflects the quintessentially liminal Lido with its "barren embrace" of sea and land. Yet it is less the Maniac's feeling that his grief is "charactered in vain…on this unfeeling leaf" than Julian's rationales for leaving the site of pain that point to Shelley's final comment on poetry's transformative limits. As the primary haploids of the drama's meiosis re-combine and two of them, Maddalo and the maniac fall away, an analogy I briefly develop and embedded in the erotic dynamics of poiesis, Shelley suggests, as he did at the beginning of his poetic lyricism in "Alastor" and at its end in "the Triumph of Life"that images mislead and delude; that "the deep truth is imageless" and redemption is not in but beyond figuration.

현장 실험을 통한 원형강관 석션관입성 검토 (Suction Penetration Review of Circular Steel Pipes by Field Test)

  • 김현주;최진오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6권12호
    • /
    • pp.35-43
    • /
    • 2020
  • 현재 국내에서 하천/해상 교량 공사시 교량기초 설치를 위한 가시설로서 원형 단면의 가물막이(cofferdam)를 많이 적용하고 있다. 기존 케이슨(caisson), 시트파일(sheet pile), 셀(cell) 식 등의 가물막이 공법이 많이 활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공법은 설치 및 해체시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해상공사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시트파일 공법의 경우 지반 관입에 의한 시트파일 손상과 요소 부재 연결 작업의 어려움으로 내적 및 외적 안정성 확보를 위해 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서해안 연약지반을 대상으로 원형강관의 석션관입성 설계를 수행하였고, 현장실험을 통하여 원형강관 석션관입 시공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표준관입시험(N치) 결과보다 콘관입시험(CPTu)을 이용한 지반 분석 결과를 설계에 적용하는 것이 현장 실험 결과와 보다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트질 사질토 지반에서 상한석션압 이상의 석션압을 적용시 가물막이 내부의 국부적인 파괴(piping 현상)를 유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A report of 24 unrecorded bacterial species in Korea belonging to the Phyla Proteobacteria and Bacteroidetes isolated in 2020

  • Kim, Ju-Young;Yoon, Jung-Hoon;Joh, Kiseong;Seong, Chi-Nam;Kim, Won-Yong;Im, Wan-Taek;Cha, Chang-Jun;Kim, Seung-Bum;Jeon, Che-Ok;Seo, Taegun;Kim, Myung Kyum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1권3호
    • /
    • pp.133-142
    • /
    • 2022
  • In 2020, 24 bacterial strains were isolated from algae, kudzu leaf, mud, pine cone, seashore sand, sea water, soil, tidal flat, and wetland from the Republic of Korea. Isolated bacterial strains were identified based on 16S rRNA gene sequences, and those exhibiting at least 98.7% sequence similarity with known bacterial species, but not reported in Korea, were highlighted as unrecorded species. These isolates were allocated to the phyla Bacteroidetes and Proteobacteria as unrecorded species in Korea. The four Bacteroidetes strains were classified into the families Chitinophagaceae, Flavobacteriaceae, and Sphingobacteriaceae (of the orders Chitinophagales, Flavobacteriales, and Sphingobacteriales, respectively). The 20 Proteobacteria strains belonged to the Aeromonadaceae, Marinobacter, Microbulbiferaceae, Enterobacteriaceae, Erwiniaceae, Morganellaceae, Yersiniaceae, Lysobacteraceae, Halomonadaceae, Moraxellaceae, Pseudomonadaceae, Steroidobacteraceae, Xanthomonadaceae, and Myxococcaceae (of the orders Aeromonadales, Alteromonadales, Cellvibrionales, Enterobacterales, Lysobacterales, Oceanospirillales, Pseudomonadales, Steroidobacter, Xanthomonadales, and Myxococcales). This study focused on the description of 24 unreported bacterial species in Korea in the phyla Bacteroidetes and Proteobacteria belonging to six classes.

해운대 해안의 시기별 해안선 변화량 분석 (Time Series Coastline Change Analysis of Haeundae Beach)

  • 이재원;김용석;이인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5D호
    • /
    • pp.655-66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해안선 변화량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년간에 걸쳐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실험대상지역은 해운대 해수욕장을 선정하였으며, 2005년부터 2008년까지 4년에 걸쳐 RTK-GPS 측량자료와 항공 LiDAR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2006년과 2009년에는 항공 LiDAR 측량을 실시하였으며, 상호 비교 분석을 통하여 시기별 해안선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해운대 해안의 해안선 길이는 RTK-GPS 결과(7회 측정) 평균 1,347m로 나타났으며, 항공 LiDAR의 경우(2회 측정)는 평균 1,378m로 조사되었다. 또한 2008년 11월 측정에서는 해안선 길이가 평균치 보다 약 4.5% 감소함을 알 수 있었으며, 침식과 퇴적에 대해서는 해안선 좌우측이 침식되었고 중앙부분을 중심으로 바다 쪽으로 약 3~7m정도가 퇴적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양쪽 부분의 모래가 파도와 조류의 영향으로 중앙부분으로 이동한 것으로 파악된다. 그리고 해마다 해안선의 길이는 축소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해빈 폭은 2~7m정도 증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