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ore level fusion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2초

불안정성 흉·요추부 골절에 대한 단 분절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 및 추체 보강 성형술 - 예 비 보 고 - (Short Segment Pedicle Screw Fixation with Augmented Intra-Operative Vertebroplasty in Unstable Thoraco-Lumbar Fracture - Preliminary Report -)

  • 김영우;오성한;윤도흠;진동규;조용은;김영수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11호
    • /
    • pp.1271-1277
    • /
    • 2001
  • Objectives : Since vertebroplasty has been introduced, we performed short segment pedicle screw fixation with augmented intra-operative vertebroplasty in patients with unstable thoraco-lumbar fracture. Our intentions are to demonstrate the efficacy and indication of this new technique compare to conventional methods. Material and Methods : The surgery comprised of pedicle screw fixations on one level above and below the fracture site, and the fractured level itself, if pedicle is intact, and intra-operative vertebroplasty under the fluoroscopic guide with in-situ postero-lateral bone graft. Also, in cases of bone apposition, we removed those with small impactor through a transfascetal route. During the last 2 years, we performed in seven(7) unstable thoraco-lumbar fracture patients who consisted of two different characteristics, those four(4) with primary or secondary osteoporosis and three(3) of young and very healthy. All patients were followed clinically by A.S.I.A. score and radiography. Results : Mean follow up period was 14 months. We observed well decompressed state via transfascetal route in cases of bone fragments apposition and no hardware pullout in osteoporotic cases, no poly-methyl-methacrylate (PMMA) leakage through the fracture sites into the spinal canal, and no kyphotic deformities in both cases during follow-up periods. All patients demonstrated solid bony fusion except one following osteoporotic compression fracture on other sites. Conclusions : In the management of unstable thoraco-lumbar fracture, we believe that this short segment pedicle screw fixation with augmented intra-operative vertebroplasty reduce the total length or levels of pedicle screw fixation without post-operative kyphotic deformity.

  • PDF

퇴행성 요추 질환에서 발생한 후관절 근접 낭종의 방사선적 특징 및 수술의 결과 (Radiologic Features and Surgical Outcome of Juxtafacet Cyst Associated with Degenerative Lumbar Disease)

  • 김환정;장선호;양화열;권원조;성환일;박경훈;최원식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65-72
    • /
    • 2017
  • 목적: 후관절 근접 낭종이 동반된 퇴행성 요추부 질환으로 수술 받은 2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방사선적 특징과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척추관 협착증 동반 여부, 불안정성, 척추 전방 전위증 동반 여부, 낭종의 위치 및 방향, 후관절의 퇴행성 변화 정도, 후관절 각도, 추간판 퇴행 정도를 확인하였다. 모든 환자에게 광범위 감압술 및 기기고정 유합술을 시행하였다. 임상적 결과를 Oswestry low back pain disability questionnaire 및 visual analogue scale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23예 중 19예(82.6%)에서 척추관 협착증이 동반되었고, 4예(17.4%)에서는 후관절 낭종이 독립적으로 존재하였다. 이 중 7예(30.4%)에서 불안정성과 전방 전위가 동반되었다. 낭종의 발생은 제4-5 요추간(69.6%)이 가장 많았으며 이환된 병변측의 후관절이 반대측에 비하여 심한 퇴행성 변화를 보였다. 후관절 각도는 좌 우측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해당 분절의 추간판은 17예(69.6%)에서 퇴행성 변화를 보였다. 임상적 결과는 수술 후 2년 추시 양호하였다. 결론: 낭종의 발생과 퇴행성 변화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후관절 낭종과 동반된 퇴행성 요추부 질환에서 광범위 감압술 및 유합술이 좋은 임상적 결과을 얻어 유용한 술식으로 생각된다.

서울시 어린이놀이터 토양의 중금속 오염 평가 (Assessment of Heavy Metals Contamination in Children's Playground Soil in Seoul)

  • 박소영;지원현
    • 환경영향평가
    • /
    • 제32권5호
    • /
    • pp.269-278
    • /
    • 2023
  • 서울 도심에 있는 어린이 모래 놀이터의 안전한 사용을 확인하기 위해 토양 중금속(Cd, Cu, As, Pb, Zn, Ni, Hg, Cr6+) 오염현황을 조사하였다. 시료 채취 장소는 서울시 7개 자치구에서 281개소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중금속의 전체 평균 농도는 Cd 0.21 mg/kg, Cu 5.97 mg/kg, As 2.40 mg/kg, Pb 7.55 mg/kg, Zn 34.08 mg/kg, Ni 4.22 mg/kg, Hg 0.02 mg/kg였다. Cr6+은 불검출되어, 이를 포함하는 중금속 7종 모두 토양오염우려기준 1 지역 기준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토양오염등급(SPC)을 평균값으로 평가했을 경우에 7개 자치구 모든 지점에서 1등급인 100 미만인 것으로 나타나 건전한 토양 상태임을 보였다. 하지만 최대값으로 평가했을 경우 5개 자치구에서 일부 100 이상의 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안전한 토양환경을 위하여 어린이 놀이터의 관리주체인 지자체의 지속적인 관리와 관심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Effect of Abnormal Axis after Cervical Arthroplasty

  • Jang, Hyun Jun;Oh, Chang Hyun;Yoon, Seung Hwan;Kim, Ji Yong;Park, Hyeong Chun;Kim, Yoon Hyuk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8권3호
    • /
    • pp.225-230
    • /
    • 2015
  • Objective : The clinical outcomes according to the radiological results after cervical total disc replacement (TDR) are not well established. Here, the authors reviewed the clinical results according to the asymmetry in radiographs. Methods : This retrospective analysis included patients after TDR ($Mobi-C^{(R)}$ disc) with at least 12 months follow up, and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data were obtained preoperatively and postoperatively for 12 months. Clinical outcome measures numerical rating scale (NRS) score for neck pain, visual analog scale (VAS) for arm pain, and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value. The asymmetries of TDRs were evaluated on the anterior-posterior (AP) and the lateral radiographs, and the radiographic adjacent segment degenerations were evaluated for 12 months. Results : A total of 24 patients (one level cervical TDR; 10 male and 14 female; aged $41.50{\pm}8.35year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clinical results including NRS for neck pain, VAS for arm pain, and ODIs were similar between the normal and asymmetrized TDRs in AP and lateral radiographs. The radiographic adjacent segment degeneration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deviated TDRs (AP >10 mm asymmetry and lateral>10 mm asymmetry). Conclusion : Asymmetrical location of TDR is not related to the clinical outcomes, but related to the risk of radiographic adjacent disc segment degeneration.

Multimodal Biometrics Recognition from Facial Video with Missing Modalities Using Deep Learning

  • Maity, Sayan;Abdel-Mottaleb, Mohamed;Asfour, Shihab S.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6권1호
    • /
    • pp.6-29
    • /
    • 2020
  • Biometrics identification using multiple modalities has attracted the attention of many researchers as it produces more robust and trustworthy results than single modality biometrics. In this paper, we present a novel multimodal recognition system that trains a deep learning network to automatically learn features after extracting multiple biometric modalities from a single data source, i.e., facial video clips. Utilizing different modalities, i.e., left ear, left profile face, frontal face, right profile face, and right ear, present in the facial video clips, we train supervised denoising auto-encoders to automatically extract robust and non-redundant features. The automatically learned features are then used to train modality specific sparse classifiers to perform the multimodal recognition. Moreover, the proposed technique has proven robust when some of the above modalities were missing during the testing. The proposed system has three main components that are responsible for detection, which consists of modality specific detectors to automatically detect images of different modalities present in facial video clips; feature selection, which uses supervised denoising sparse auto-encoders network to capture discriminative representations that are robust to the illumination and pose variations; and classification, which consists of a set of modality specific sparse representation classifiers for unimodal recognition, followed by score level fusion of the recognition results of the available modalities. Experiments conducted on the constrained facial video dataset (WVU) and the unconstrained facial video dataset (HONDA/UCSD), resulted in a 99.17% and 97.14% Rank-1 recognition rates, respectively. The multimodal recognition accuracy demonstrates the superiority and robustness of the proposed approach irrespective of the illumination, non-planar movement, and pose variations present in the video clips even in the situation of missing modalities.

Radiographic and Clinical Outcomes Following Pedicle Subtraction Osteotomy : Minimum 2-Year Follow-Up Data

  • Choi, Ho Yong;Hyun, Seung-Jae;Kim, Ki-Jeong;Jahng, Tae-Ahn;Kim, Hyun-Jib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3권1호
    • /
    • pp.99-107
    • /
    • 2020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port the results of pedicle subtraction osteotomy (PSO) for fixed sagittal imbalance with a minimum 2-year follow-up. Besides, authors evaluated the effect of adjunctive multi-level posterior column osteotomy (PCO) on achievement of additional lumbar lordosis (LL) during PSO. Methods : A total of 31 consecutive patients undergoing PSO for fixed sagittal imbalance were enrolled and analyzed. Correction angle of osteotomized vertebra (PSO angle) and other radiographic parameters including pelvic incidence (PI), thoracic kyphosis, LL, and sagittal vertical axis (SVA) were evaluated. Clinical outcomes and surgical complications were also assessed. Results : The mean age was 66.0±9.3 years with a mean follow-up period of 33.2±10.5 months. The mean number of fused segments was 9.6±3.5. The mean operative time and surgical bleeding were 475.9±160.5 minutes and 1406.1±932.1 mL, respectively. The preoperative SRS-22 score was 2.3±0.7 and improved to 3.2±0.8 at the final follow-up. The mean PI was 54.5±9.5°. LL was changed from 7.0±28.9° to -50.2±13.2°. The PSO angle was 33.7±13.5° (15.6±20.1° preoperatively, -16.1±19.4° postoperatively). The difference of correction angle of LL (57.3°) was greater about 23.6° than which of PSO angle (33.7°). SVA was improved from 189.5±93.0 mm, preoperatively to 12.4±40.8 mm, postoperatively. There occurred six, eight, and 14 cases of complications at intraoperative, early (<2 weeks) postoperative, and late (≥2 weeks) postoperative period, respectively. Additional operations were needed in nine patients due to the complications. Conclusion : PSO could provide satisfactory results for patients with fixed sagittal imbalance regarding clinical and radiographic outcomes. Additional correction of LL could be achieved with conduction of adjunctive multi-level PCOs during PSO.

휴대폰 환경에서의 근적외선 얼굴 및 홍채 다중 인식 연구 (A Study on Multi-modal Near-IR Face and Iris Recognition on Mobile Phones)

  • 박강령;한송이;강병준;박소영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5권2호
    • /
    • pp.1-9
    • /
    • 2008
  • 휴대폰에서 보안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개인 인증을 위하여 홍채, 지문, 얼굴과 같은 단일 생체 정보를 이용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었으나 단일 생체 인식에서는 인식 정확도에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휴대폰 환경에서 고 인식율을 위해 얼굴과 홍채를 결합하는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근적외선 조명과 근적외선 통과 필터를 부착한 휴대폰의 메가 픽셀 카메라를 사용하여 근적외선 얼굴 및 홍채 영상을 동시에 취득한 후, SVM(Support Vector Machine)을 기반으로 스코어 레벨에서 결합하였다. 또한, 저 연산의 로가리듬(Logarithm) 알고리즘을 사용한 얼굴 데이터의 조명 변화에 대한 정규화와 극 좌표계 변환 및 홍채 코드의 비트 이동 매칭에 의한 홍채 영역의 이동, 회전, 확대 및 축소에 대한 정규화를 통해 SVM의 분류 복잡도와 얼굴, 홍채 데이터의 본인 변화도를 최소화함으로써 인식 정확도를 향상시켰으며, 저 연산의 휴대폰 환경에서 정수혈 기반의 얼굴 및 홍채 인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처리시간을 향상시켰다. 실험 결과, SVM을 사용한 인식의 정확성이 단일 생체(얼굴 또는 홍채), SUM, MAX, MIN 그리고 Weighted SUM을 사용하는 것보다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시지각 훈련이 사이버 멀미에 대한 융복합적 효과 (The Effect of Convergence Vision Therapy on VR Cybersickness)

  • 조형철;노효련;이희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55-65
    • /
    • 2022
  • 본 논문은 사이버 멀미 증상과 시각 기능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시지각훈련이 사이버 멀미의 증상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건강한 성인 남성으로, 15분 동안 동일한 가상 현실 프로그램을 체험하도록 한 이후, VR 만족도 점수와 사이버 멀미 수준에 따라 편안한 가상현실 프로그램 시청자 그룹(CVR 20명)과 불편한 가상현실 프로그램 시청자 그룹(UVR 20명)으로 분류하였다. 모든 대상자에게 시각기능 검사를 실시하였고 UVR 그룹에게 시지각 훈련 프로그램을 주 1회 40분 12회 적용한 후 시각 기능과 SSQ 설문지를 재평가하였다. 복시를 가진 대상자는 UVR 그룹에서 55%, CVR 그룹에서 5%로 나타나서 UVR 그룹에서 월등히 높았으며, 두 그룹간의 입체시, 외사위, 폭주근점(p<.01) 및 버전스 기능(p<.001)은 차이가 나타났다. 시지각 훈련 후 UVR 사용자 그룹의 SSQ, 입체시, 폭주 근점, 버전스 기능의 변화가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p<.01). 따라서, 사이버 멀미 증상은 시각기능과 관련이 있으며, 시지각 프로그램은 사이버 멀미 증상을 완화시키는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GK2A/AMI와 GK2B/GOCI-II 자료를 융합 활용한 주간 고해상도 안개 탐지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High-Resolution Fog Detection Algorithm for Daytime by Fusing GK2A/AMI and GK2B/GOCI-II Data)

  • 유하영;서명석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9권6_3호
    • /
    • pp.1779-1790
    • /
    • 2023
  • 위성 자료의 성능이 크게 개선됨에 따라 최근에는 위성을 이용하여 광범위한 영역에 대한 실시간 안개 탐지 알고리즘들이 개발되고 있다. 한반도 주변을 관측하는 기상위성 중 관측주기가 10분으로 시간해상도가 가장 우수한 GEO-KOMPSAT-2A/Advanced Meteorological Imager (GK2A/AMI)는 공간해상도가 500 m이다. 반면 GEO-KOMPSAT-2B/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II (GK2B/GOCI-II)는 해상도가 250 m지만, 1시간 주기로 관측하고 가시채널만 보유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주변에서 발생하는 안개를 10분 및 250 m 해상도로 탐지하기 위해 GK2AB 융합 안개 탐지 알고리즘(Fog Detection Algorithm, FDA)인 GK2AB FDA를 개발하였다. GK2AB FDA는 세 파트로 구성된다. 첫 번째로 현업 운용중인 GK2A 안개 탐지 알고리즘(GK2A FDA)으로 10분 및 500 m 해상도로 안개를 탐지한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두 위성 자료 간 시공간 일치, 태양천정각과 파장역 차이를 보정한 GK2A normalized visible (NVIS)의 10분 변화량을 이용하여 GK2B NVIS를 10분 간격으로 외삽한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외삽된 GK2B NVIS, 태양천정각, GK2A FDA 산출물 등을 입력자료로 기계학습(의사결정나무)을 이용하여 개발된 GK2AB FDA로 지리적위치에 따라 안개를 탐지(250 m, 10분)한다. GK2AB FDA의 훈련에는 6개 사례, 검증에는 4개 사례가 이용되었다. GK2AB FDA의 정량적 검증에는 지상관측 시정, 풍속 그리고 상대습도 자료를 이용하였다. GK2AB FDA는 GK2A FDA에 비해 공간해상도가 4배 증가함에 따라 안개 및 비안개 화소가 보다 자세히 구분되었다. 또한 검증방법에 관계없이 GK2A FDA에 비해 probability of detection (POD)은 높고 Hanssen-Kuiper Skill score (KSS)는 높거나 비슷함을 보여 안개 탐지 수준이 개선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일부 사례에서는 GK2AB FDA의 false alarm ratio (FAR)와 Bias가 크게 나타나 안개를 과대탐지하는 문제를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