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tific worldview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35초

Design as a Factor in the Formation of Worldview Paradigms in Culture

  • Lopukhova, Natalia;Dementovich, Tetyana;Misheniuk, Anastasiia;Peresunko, Olena;Ternopolska, Yan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12spc호
    • /
    • pp.437-442
    • /
    • 2021
  • This article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design in the formation of worldview paradigms in global culture. The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design development as a part of the culture and its significance in the social development of society and worldview standards. The article uses general scientific methods of cognition, showing the transformation of design in the social and cultural sphere based on scientific and business literature. The research results show the chronology of design development as a factor determining the development of society and its worldview. In particular, the epoch of modernism, classical functionalism, postmodernism, post-industrialism, and digital design show their own particularities of design development. Furthermore, the article reveals the peculiarities of design development and its requirements depending on the development of society, progress, and civilization in general. The question of current and future trends in the development of design as a factor of worldview paradigms in the culture is based on digitalization, globalization, and the formation of design as an independent entity that determines man's place in the world and society.

한국 전통 과학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과 가치 탐색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Value Building about Korean Traditional Science Knowledge)

  • 이지혜;신동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43-157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전통 과학 지식의 과학 교육 가능성에 대해 파악하고자 함에 있다. 한국 전통 과학을 소재로 과학적 개념, 역사적 지식, 문화적 경험 등이 포함된 실험과 그룹 활동, 탐방을 포함한 5개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개발한 프로그램의 주제는 역법, 앙부일구의 원리, 과학자 장영실, 한국의 고대 자연 기록, 경복궁 탐방 등이었다.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고등학생들의 프로그램 전후 인식 조사, 수업 관찰 자료, 수업 활동 자료, 면담을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한국 전통 과학에 대한 인식은 문화적 범주 내에서 과학적 요소를 찾는 수준을 넘어서서 자연 과학으로서의 한국 전통 과학 가치로 변해갔다. 또한, 우리 전통 과학에 대한 기대감을 과학적, 실용적, 정서적 측면에서 표현했는데, 한국 전통과학의 실용적, 정서적 측면들이 학생들에게는 비과학적 측면으로 인식되기도 하였다. 또한 이들은 서양 과학과 한국의 TSK와의 관계를 통해 과학에 대한 세계관을 드러냈는데 크게 다섯가지로 분류되었다.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한국 전통 과학을 아끼고 사랑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었지만, 한국 전통 과학의 과학적 가치에 대해서는 혼란스러움을 나타냈다. 학생들은 우리가 배우고 있는 과학이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고찰하고 과학 교육자들은 그것을 세심하게 검토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아울러 우리가 한국의 TSK에 대한 지식을 학생들에게 전달하는 방법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고, 한국 TSK에 대한 학문적, 과학교육적인 심층 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Methodological Principles of Didactics Ddevelopment in Educational Activity of Higher Eeducation Institutions

  • Bortniuk, Tetiana;Smyrnova, Tetiana;Tkachenko, Tetiana;Yakymenko, Svitlana;Pushkar, Larysa;Desiatnyk, Kateryn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2호
    • /
    • pp.394-398
    • /
    • 2022
  • The article determines that the study of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and didactic knowledge about the educational process in higher education should be built mainly on the basis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at ensure the identific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changes taking place in didactic knowledge, in the unity of their internal and external manifestations. On the basis of the epistemological model of the study of science, a generalized model of didactic knowledge about the educational process in higher education, including didactic relations as a theoretical core, subject of research, research methods and positions of researchers, ways of interaction between science and educational practice, and thematic structures of didactic knowledge; scientific and methodological problems of didactic knowledge about the educational process in higher education at the present stage of its developments due to the post-nonclassical transformation and orientation of research towards the humanitarian ideal of scientific character.

과학적 소양의 관점에서 본 대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 (University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 박현주;이금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90-399
    • /
    • 2005
  • 이 연구는 현대 과학교육의 목표인 과학적 소양의 관점에서 제시하고 있는 과학의 본성에 대한 대학생들의 이해도를 '과학의 본성(Nature of Science)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발달 평가 문항'를 사용하여 전공별, 성별, 영역별로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들이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도는 남학생, 여학생 별 집단에서는 남학생이 높은 이해도를 보였다. 과학교육, 외국어학, 사회체육학과의 집단으로 나누어 성향을 살펴보았을 때, 과학의 본성에 대해 가장 이해도가 높은 집단은 과학교육 학생들이었으며, 이해도가 가장 낮은 집단은 사회체육학과로 나타났다. 과학교육, 외국어학과 학생들은 과학만능에 대한 기대치가 사회체육학과 학생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학생들은 과학적 공헌에 관한 부분에 대한 개념은 타 문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이해도를 보이는 경향이 있었으나, 과학적 윤리에 관한 부분에 대한 개념은 높은 이해도를 보이고 있었다.

과학과 관련된 사회.윤리적 문제(SSI)의 맥락에 따른 중학생들의 인성적 태도와 가치관 분석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s Global Citizens of Socioscientific Issues)

  • 장지영;문지영;유효숙;최경희;;김성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1124-113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과학과 관련된 사회 윤리적인 문제, 즉 원자력 발전, 생명공학, 기후변화 맥락에 따라 중학생들의 인성적 태도와 가치관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를 참조하여 인성적 태도와 가치관의 세 가지 요소인 생태학적 세계관, 사회 도덕적 공감, 사회적 책임감을 중심으로 인간과 자연과의 관계성, 지속가능한 발전, 도덕 윤리적 민감성, 다양한 관점에 대한 포용, 공감적 배려, 책임의식, 행동의지 등의 8가지 하위요소를 도출하였다. 인성적 태도와 가치관의 세 가지 요소와 이들의 하위 요소를 기준으로 설문 문항을 만들었으며, 이를 SSI 맥락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중학생들에게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맥락에 따른 인성적 태도와 가치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SSI 맥락 중 기후변화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성적 태도와 가치관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생태학적 세계관과 사회적 책임감 요소에 대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사회 도덕적 공감 요소는 SSI 맥락에 대해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나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연구자들은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SSI 수업을 할 때에 과학 교사는 맥락에 따른 학생들의 인성적 태도와 가치관을 인식하고, 이를 수업에 반영하여 효과적으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둘째, SSI 교육자들은 학생들의 사회 도덕적 공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가 논의되어야 한다.

MCU '페이즈3'영화에 나타난 기하학적 상상력 (The Geometrical Imagination of the MCU 'Phase 3' Movie)

  • 김영선;김태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132-142
    • /
    • 2022
  • 이 연구는 MCU의 보편적 세계관을 기하학의 관점으로 해석하고 서사적 요소를 수학적 상상력으로 스토리텔링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스토리텔링을 위해 2016년부터 2019년까지 방영된 페이즈3 시리즈 자료를 활용하였다. 페이즈3 시리즈는 기하학 이론과 미래기술에 대한 다양한 예측을 바탕으로 서사와 이미지에 나타난 실재감이 대중의 상상력을 자극한다. 상상력은 경험하지 않은 것에 대해 다양하고 독창적인 사고를 이루는 원동력이며 혼란 속에서 질서를 찾고 물질에 대해 새로운 인식을 창조하는 능력이다. 예술 활동뿐만 아니라 논리와 합리성이 중시되는 과학 분야에도 상상하는 힘이 매우 필요하다. 바슐라르 상상력은 인간의 원초적 영역인 예술을 지향하고 자연과 만물의 경이로움을 향한 진정함과 열정을 담고 있다. 기하학적 논리와 상상력에 의한 이미지적 몽상으로 MCU의 세계관과 슈퍼히어로 서사를 탐구하면 영화에 나타난 우주적 메시지와 법칙을 이해할 수 있다. 예술과 학문의 융합적 관점에서 MCU 영상 제작에 활용된 수학과 과학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한 다양하고 독창적인 기법은 영상분석의 질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현직 교사들이 바라는 중등과학교사의 특성과 사전교사교육과정 (Characteristics of Good Science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Percevied by Secondary Teachers)

  • 박윤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03-118
    • /
    • 1992
  • Quality control of science teachers seems to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tasks to improve the quality of science education in Korea. The purposes of this study, as a survey, were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good science teachers and to make an outline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for cultivating the characteristics from inserivce secondary science teachers.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for this study and distributed to 176 inservice teachers. It had three parts: 1) characteristics of good science teachers, 2) weights of preservice curriclum areas, and 3) weights of college courses. Th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of teachers' responses were calculated. To test the differences between teacher variables, t-tests were executed. The inservice teachers perceived that the junior-high school teacher's characteristics should be different from the senior-high school teacher's. Characteristics, such as enthusiasm toward teaching or students, subject knowledge, content selection and organizing skill, teaching techniques, and scientific worldview were ranked within top five of good science teacher's chracteristics. The teachers' perception about preservice curriculum were as follows: 1) present weight of liberal arts area should be reduced: 2) weight of content area for junior-high school teachers should be different from that for senior-high school teachers: 3) present weight of pedagogy area should be increased: 4) present weight of science education area should be increased: and 5) many courses in pedagogy and sciencd education areas need to be changed, Based on the data and disussion, a conceptual model for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was proposed.

  • PDF

기후변화의 위기와 기독교 생태교육의 방향 모색 (The Crisis of Climate Change and the Direction of Christian Ecological Education)

  • 조미영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7권
    • /
    • pp.415-447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기후변화의 위기에 있어, 기독교교육이 생태학적 교육으로서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해보는 데 있다. 기후변화가 보여주는 것은 불과 2-3도만 지구의 온도가 올라가도 생존이 불가능하다는 사실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의 모습은 삶을 변경하지 않는 한에서 기후변화의 위기를 염려하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기후변화의 의미와 그 원인에 대해 살펴보았다. 인간중심주의적 세계관, 현대의 산업적, 과학기술적 성장, 그리고 소비지향적 사회구조 등을 그 원인으로 들 수 있는데, 인간중심주의적 세계관은 모든 것을 인간의 관점에서 정당화하며, 자연은 인간의 지배대상이나 하나의 도구로 간주해왔다. 또한 인간의 경제활동 규모가 커지면 커질수록 에너지 소비량은 증가하고, 이 증가에 따라 생태계 파괴의 위협도 증가한다. 개인의 소비증가와 풍요가 생태계 긴장을 가중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기후변화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성서 속의 창조를 통해 인간과 자연의 관계가 상생과 공존임을 규명하고, 안식의 원리를 통해 인간과 자연의 회복을 가져올 수 있으며, 성육신의 관점에서 세계를 하나님의 '몸'으로 이해하는 생태교육적 단초들을 발견하였다. 이 단초들을 토대로, 인간과 자연이 배려와 존중의 관계성을 가지는 생태적 패러다임으로의 전환, 창조영성의 회복, 청지기로서의 책임과 지구 차원의 연대를 이루어가기 위해 생태적 상상력의 함양을 제시함으로써 기독교 생태교육의 방향을 모색해보았다. 기후변화의 위기에 있어, 기독교의 생태교육적 단초들을 통한 기독교교육적 접근을 통해 지구의 회복이 이루어지고 책임적 존재로 다시금 설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서구 종교학의 역사에 대한 지성사적 재조명: 키펜베르크의 논의를 중심으로 (The History of the History of Religions and Intellectual History : Concerning with the Work of Hans G. Kippenberg)

  • 조현범
    • 대순사상논총
    • /
    • 제17권
    • /
    • pp.113-134
    • /
    • 2004
  • According to Hans Kippenberg, the foundation of an academic study of religions coincided with the beginnings of modernization. Since the second half of the nineteenth century most European countries were involved in a process of rapid social change. The repercussions that this had for daily life were momentous. Instead of working for their traditional needs, people now had to produce goods for a market. Old customs ceded to private contracts and political laws. The superior knowledge of science replaced the inherited worldview. This deep changed severed societies from their ties to the past. Many educated people in Europe believed in an imminent end of all religions. Had not the scientific progress superseded the religious worldview? Historians had to come to terms with that expectation when they directed their attention to historical religions. Friedrich Max Muller introduced a new science, so-called Religionswissenschaft through the study of the ancient Vedic sources. He thought that genuine religion was a taste for, and sense of, the infinite. From his point of view, the Indian sources confirm that nature is more than mechanical laws. Thus his interpretation sought to contradict the materialist ideology of his day. Edward Burnett Tylor described religions as a kind of natural philosophy. His notion of 'soul' functioned to explain natural events. This legacy of the past cannot be missed even in modern society. Only the concept of the soul may preserve human dignity in an age of materialism. Gerardus van der Leeuw, also tried to perform the same function of the cultural critique for the renewal of the religious imagination in modern, rationalized Europe imprisoned in the iron-cage. In this respect, we could think that the interpretations of the history of the History of Religions in the light of the intellectual history are very suggestive for the korean student of religion. It helps them to describe the early history of the study of religion in Korea. For example, Yi Neung Wha(李能和) is regarded as 'a father of korean religious studies, but no one could present a proper answer for the question of why and through which connection of his intellectual milieu he was interested in the religious history and the study of religion. We would discover its signification in his confrontation of the prevailing social thought, such as social evolutionism.

  • PDF

대륙이동설을 통해 살펴본 새로운 과학이론의 제안전략과 확립과정 (Proposal Strategy and Establishment Process of a New Scientific Theory Examined through the Theory of Continental Drift)

  • 오준영;이은주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0-33
    • /
    • 2024
  • 이 연구의 목표는 지구과학의 혁명 과정으로 설명되는 20세기 베게너의 대륙이동을 정당화하는 과학자들의 과학 활동을 살펴보면서 새로운 과학 이론의 제안 전략과, 이론 선택의 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방법론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베게너의 대륙 이동설 이전에는 지구는 정적인 지구모형으로 지각의 상하 운동만을 고려하였다. 하지만 대륙이동설은 지구의 동적 모형으로 지각의 수평운동을 제안하여, 수많은 문제들을 제거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현재의 판구조론이 형성되기까지 수많은 과학자들의 합리적인 활동을 탐색하고자 한다. 또한, 대륙이동설은 기존의 정적모형인 지구수축설과 충돌한다. 즉, 지구가 이미 완성되고, 고정되고, 불변하는 정적인 모델이 아닌, 지구가 생성되고 변화하는 역동적인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기존의 기계론적 세계관에서 벗어난다. 이러한 결과, 옛 지질학은 약화되고 새로운 지구물리학이 탄생하게 되었다. 그리고 대륙이동설과 학문후속세대에 의한 지속적인 탐구는 지구과학의 혁명을 가져왔다. 이는 지구과학교육에서 학생들을 위한 다양한 방법론의 교육자료로서, 학생들의 세계관의 변화를 위한 교육 자료로서 좋은 탐구대상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