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tific research process

검색결과 819건 처리시간 0.029초

초등학생의 과학일기 유형 분석 및 일기 쓰기의 효과 (The Patterns and the Effects of Science Journal Writ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박희진;권난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519-526
    • /
    • 2008
  • This study was planned to investigate the patterns and the effect of science journal writing on the science process skill and the scientific 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study tried to show their perceptions about science journal writing in order to find out the value of science journal writing. For this purpose, one class of 6th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was tested. The results from this research show as follows: Science journals are classified into 9 types according to content and form. Writings about curiosity are the most frequent. Science concepts are found in observational journal. Science journals are more effective in the development of the 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 Students are revealed to be in positive aspects through the research about science journal. In conclusion, science journal writing should be emphasized in science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tudies on the Separation Performances of Chlorophenol Compounds from Water by Thin Film Composite Membranes

  • Yogesh, K.M. Popat;Ganguly, B.;Brahmbhatt, H.;Bhattacharya, A.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6권7호
    • /
    • pp.590-595
    • /
    • 2008
  • The pressure driven membrane process has been a breakthrough in the removal of pollutants from drinking water. These experiments examined the removal of chlorophenol compounds from water using low pressure membranes. The removal performance of the membranes was based primarily on size exclusion. Apart from size exclusion, the polarity and pKa of the compounds also influences the membrane performance. The molecular size and dipole moments of the respective molecules were calculated using a quantum chemical method. The rejection of pollutants also followed the same trend as salt rejection by the membranes.

SGIM을 적용한 천문학습 프로그램이 초등과학영재의 메타인지와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Astronomical Learning Program using SGIM on Metacognition and Science Process Skills in the Elementary Scientific Gifted)

  • 신명렬;이용섭
    • 영재교육연구
    • /
    • 제21권3호
    • /
    • pp.719-739
    • /
    • 2011
  • 본 연구는 SGIM(Small Group Inquiry Method: 소집단 탐구기법)을 적용한 천문학습 프로그램이 초등과학영재의 메타인지 및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SGIM을 적용한 천문학습 프로그램은 총 9차시(6주간)로 구성하였으며, 탐구절차에 따라 계획단계(3차시), 탐구수행(4차시), 결과발표(2차시) 등으로 운영하였다. SGIM을 적용한 천문학습 프로그램이 초등과학영재의 메타인지 및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연구대상은 울산광역시 소재 M초등학교 초등과학영재학급(초등 3학년) 20명을 선정하였다. 측정도구는 메타인지 및 과학탐구능력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연구의 결과 분석은 t검증과 ANOVA 검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SGIM을 적용한 천문학습 프로그램은 초등과학영재의 메타인지(t=3.371, p=.003)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고, 초등과학영재의 과학탐구능력(t=2.371, p=.028)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SGIM을 적용한 천문학습 프로그램은 초등과학영재들의 과학탐구능력 신장과 메타인지 함양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초등학교의 지역영재학급이나 공동영재학급에서 운영할 수 있는 초등과학영재 프로그램으로써 지구과학 영역의 수업에 좋은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초등학생의 과학적 의사소통능력과 과학 탐구능력, 논리적 사고력, 학업 성취도 수준과의 관계 분석 (Analysis of Relationships of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s, Science Process Skills, Logical Thinking Skills, and Academic Achievement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전성수;박종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647-655
    • /
    • 2014
  • 이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과학 탐구능력, 논리적 사고력이 학업성취도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과학적 소양 함양을 위한 교육에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6학년 학생 64명을 대상으로 과학적 의사소통능력 검사(SCST), 과학 탐구능력 검사(TSPS), 논리적 사고력 검사(GALT)를 실시하였으며, 과학교과지필 평가와 과학교과 서술형 평가, 전체교과의 학업성취도 평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과학 탐구능력과 논리적 사고력,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의 상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각각의 능력의 하위 요소별로 학업 성취도와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과학 탐구능력과 논리적 사고력이 영향을 주고 있는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이 학업성취수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아래세 가지 유형의 성취도평가와의 상관관계를 구조적인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적 의사소통능력과 과학 탐구능력, 논리적 사고력은 서로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이 세 능력은 학습자의 과학교과 지필, 과학교과 서술형, 전체교과 학업 성취도 수준와도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졌으며, 하위 요소별로 그 상관정도는 조금씩 다르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과학 탐구능력과 논리적 사고력이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주고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이 학습자의 학업성취도 수준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모형을 설정하여 분석한 결과,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이 전체 교과에 대한 학업 성취도 수준에 가장 크게 영향을 주고 있었다.

Fabrication of Metallic Particle Dispersed Ceramic Based Nanocomposite Powders by the Spray Pyrolysis Process Using Ultrasonic Atomizer and Reduction Process

  • Choa, Y.H.;Kim, B.H.;Jeong, Y.K.;Chae, K.W.;T.Nakayama;T. Kusunose;T.Sekino;K. Niibara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51-156
    • /
    • 2001
  • MgO based nanocomposite powder including ferromagnetic iron particle dispersions, which can be available for the magnetic and catalytic applications, was fabricated by the spray pyrolysis process using ultra-sonic atomizer and reduction processes. Liquid source was prepared from iron (Fe)-nitrate, as a source of Fe nano-dispersion, and magnesium (Mg)-nitrate, as a source of MgO materials, with pure water solvent. After the chamber were heated to given temperatures (500~$^800{\circ}C$), the mist of liquid droplets generated by ultrasonic atomizer carried into the chamber by a carrier gas of air, and the ist was decomposed into Fe-oxide and MgO nano-powder. The obtained powders were reduced by hydrogen atmosphere at 600~$^800{\circ}C$. The reduction behavior was investigated by thermal gravity and hygrometry. After reduction, the aggregated sub-micron Fe/MgO powders were obtained, and each aggregated powder composed of nano-sized Fe/MgO materials. By the difference of the chamber temperature, the particle size of Fe and MgO was changed in a few 10 nm levels. Also, the nano-porous Fe-MgO sub-micron powders were obtained. Through this preparation process and the evaluation of phase and microstructure, it was concluded that the Fe/MgO nanocomposite powders with high surface area and the higher coercive force were successfully fabricated.

  • PDF

과학기술분야 연구활동 단계별 문제상황 극복을 위한 정보행동 연구 (Scientists' Information Behavior for Bridging the Gaps Encountered in the Process of the Scientific Research Lifecycle)

  • 이정연;정은경;권나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99-122
    • /
    • 2012
  • 본 연구는 과학기술분야 R&D 라이프사이클 각 단계 세부연구 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정보행동(정보요구, 정보검색, 정보도구, 정보채널, 정보장애)을 과학기술커뮤니티 환경의 맥락에서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의미형성이론, 일상생활정보탐색이론, 활동이론에 근거하여 과학기술자를 대상으로 질적 인터뷰연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연구결과 과학기술분야 R&D 라이프사이클 5단계는 14개의 세부 정보행동 단계로 이루어짐을 밝혀내었다. 과학기술 R&D 연구 세부단계별로 문제상황 극복을 위한 정보행동 규명은 연구자와 연구환경의 변화를 이해할 뿐만 아니라 향후 도서관 및 정보서비스 기관에서 과학기술 전주기적 정보서비스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중학교 2학년 과학영재들의 자유탐구 활동에서 나타난 과학적 추론 능력 분석 (Analysis of the Scientific Reasoning Ability of Science-Gifted 2nd Middle School Students in Open-Inquiry Activities)

  • 임성철;김진화;정진우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7권2호
    • /
    • pp.323-337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자유탐구 활동에서 나타난 중학교 2학년 과학 영재 학생들의 과학적 추론 능력을 알아보는 것이다. 과학영재들이 과학자가 지식을 얻는 과정과 유사한 자유탐구 활동을 실시할 때 어떠한 과학적 추론과정을 거쳐 탐구하고 있으며 과학적 추론 능력이 어느 정도인지를 확인하고 분석하는 것은, 학생 지도에 있어서 교육적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정선희 등(2011)이 번역한 Dolan과 Grady(2010)의 CSRI Matrix를 이용하여 추론 복잡성을 분석하였으며, 추론 복잡성이 높을수록 과학자가 지식을 얻는 과학적 추론 과정과 비슷하다. 연구 결과, 자유탐구의 과정별로 추론 복잡성 단계는 다양하게 분포하였다. 특히 의문 생성 과정과 연구 의문과 자료 연결 과정은 5개 팀이 모두 비교적 높은 추론 복잡성 단계를 나타낸 반면, 예비가설 생성과정 변인 선택 실험의 한계나 결점 고려 등은 비교적 낮은 단계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의사소통 및 연구 결과 방어는 가장 다양한 추론 복잡성 단계 분포를 나타내었다.

  • PDF

다중지능을 활용한 학습이 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 Science Process Skill and Scientific Attitudes by multiple-Intelligence)

  • 홍순원;이용섭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76-85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higher grades in elementary the science process skill and scientific attitudes by multiple-intelligence. To verify research problem,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sixth-grade students selected from two classes of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U1san : the search group is composed of twenty-nine students who were participated in multiple-Intelligence situation, and the other is composed of thirty-two students(comparison group) who were participated in teacher map based learning situation. During six weeks, the multiple-Intelligence was executed in th search group while the teacher map based instruction in comparison group Post-test showed following results: First, the search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cience process skill compared th the comparison group. Second, the search group did not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cientific attitudes compared th the comparison group. In conclusion, multiple-Intelligence teaching model was more effective than the teacher map based teaching model on science process skill. However, since the study has a limit on an object of the study and the applied curriculum, the additional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with an extended comparative group and curriculum.

  • PDF

과학적 사고에 관한 예비 과학교사의 개념 정교화 과정 (The Process of Elaboration i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Conceptions of Scientific Thinking)

  • 이선경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8호
    • /
    • pp.937-954
    • /
    • 2008
  • '과학적 사고의 신장'은 과학교육의 중요한 목표 중의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과학교사가 과학적 사고를 어떻게 개념화하는지에 대한 경험적 연구가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4명의 예비 중등 과학교사가 과학적 사고를 어떻게 정의하고, 토론에서 동료 상호작용을 통해 개인적 개념을 어떻게 정교해 가는지를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로서 첫째, 과학적 사고에 대한 개인적 개념 스펙트럼을 제시하고 둘째, 소집단 및 전체 토론을 통해 가장 논쟁이 활발했던 세 가지 논제에 대하여 개념의 구성과 정교화 과정을 조명하였다. 과학적 사고와 관련된 세 가지 논제는 일상적 대 과학적 사고, 과학지식과 과학적 사고의 관계, 논리적 체계와 증거의 관계를 다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예비 과학 교사교육에 대한 논의와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을 한 초임중등과학교사의 과학 탐구에 대한 이해 (Understanding of Scientific Inquiry Developed by Beginning Science Teachers i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 김유림;최애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21-232
    • /
    • 2019
  • 과학 교육에서는 탐구 중심 과학 수업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사들의 과학 탐구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교육 현장에서 과학 탐구 수업이 그 의미대로 실행되지 못하고 있다고 여러 선행 연구에서 언급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사학습공동체에서 과학 탐구 수업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자발적으로 설정하고 1년 이상 과학 탐구 수업 계획, 실행 경험 공유, 반성을 함께 한 5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과학 탐구에 대해 어떠한 이해를 갖고 있는지, 과학 탐구에 대한 이해가 어떻게 변화되었다고 인식하는 지를 개방형 설문과 개별 면담 자료를 통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모든 교사들은 과학 탐구를 '과학자가 하는 일'로 설명하였으며 구체적으로는 '자연 현상에 대한 궁금증을 과학적 탐구 기능을 수행하여 해결하는 과정', '과학 실천을 하여 과학지식을 구성하는 과정'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또한, 학생들이 과학자의 탐구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과학 탐구라고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참여한 두 명의 교사는 과학 탐구가 과학자 또는 학생이 과학을 하는 과정이라는 이해를 기반으로 과학 탐구를 교수-학습 방법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교사들은 교사학습공동체 활동 전에는 과학 탐구가 실험과 동일하거나 손으로 조작하는 활동이 필수라는 탐구에 대한 제한적인 이해를 가지고 있었으나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해 다양한 방법의 과학 탐구가 있으며, 실험을 수행하는 것뿐만 아니라 모형을 개발하거나 사용하여 현상을 설명하고, 학생들 간 증거 기반의 논의에 참여하는 것도 중요한 과학 탐구 과정이라는 발전된 이해를 가지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