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tific and technical information system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3초

해양과학기술 R&D 결과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연구 (A Study on Implementation of the Database System for Oceanographic R&D Results Information)

  • 한종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09-231
    • /
    • 2003
  • 해양과학기술 R&D 결과정보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연구를 위해 국내외 관련 연구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해양 R&D 연구보고서에서 해양조사자료까지를 범위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연구성과정보의 효율적인 정보검색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보고서의 메타데이터 기술요소 분석, 분류체계, 정보서비스 등과 함께 해양조사자료의 정보시스템 설계 및 구현의 사례로써 시스템 구성, 웹정보서비스 프로세스, 자료 입출력 프로세스, 검색 가시화 프로세스 등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

Operational Experience in DB "TERMIN"

  • Shaburova, Natalya N.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7권3호
    • /
    • pp.21-30
    • /
    • 2019
  • Information about the formation and filling (in 2014 to 2016) of a terminological dictionary on electronics and radioengineering and collective work (in 2017 to 2018) with a data bank "TERMIN" is presented in this article. In purpose of creating an instrument of navigating the modern scientific-technical space a net of terms with set semantic links is described. This set is based on the analysis of terms' definitions (each term is checked for inclusion in the definitions of all other terms; the definitions were borrowed from reputable reference editions: encyclopedias, dictionaries, reference books). The created model of a system that consists of different information sources, in which it (information) is indexed by the terminology of Russian State Rubricator of Scientific and Technical Information rubrics and/or keywords, is described. There is an access for the search in all these sources in the system. Searching inquiries are referred to in the language of these rubrics or formulated by arbitrary terms. The system is to refer to information sources and give out relevant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this model, semantic links of various types, which allow expanding a search at different modalities of query, should be set among data bank terms. Obtained links will have to increase semantic matching, i.e., they can provide actual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the information that is being sought.

과학기술분야 전문정보센터의 효율적인 정보서비스 방안 (A Study on the Effective Information Service of Specialized Information Center in Scientific & Technological Fields)

  • 이응봉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49-74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에서 지정하여 지원하고 있는 우리나라 과학기술분야 전문정보센터를 대상으로 정보서비스 체계 전반에 대한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cdot$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최신의 정보기술을 반영$\cdot$적용한 우리나라 과학기술분야 전문정보센터의 효율적인 정보서비스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분석, 설문조사, 해당기관 직접방문을 통한 관련자 면담, 해당기관 홈페이지의 관련 사이트 분석, 그리고 관련 전문가로 구성된 상시협의체의 회의를 통한 Brainstorming 방범 등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해사관계 연구자의 문헌정보 이용에 관한 구조분석 (Structural Analysis of Scientific Information Usage)

  • 이철영
    • 한국항해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7-38
    • /
    • 1980
  • Nowadays researchers attach a great importance to the problems concerned with scientific information in the field of science and engineering. There are some reasons for it, that is, ⅰ) the amount of scientific information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activities of scientists and engineers, so it is difficult to pick up a real valuable information ⅱ) it becomes more important to use a variety of information in proportion to the spread ofthe branch of science ⅲ) since the medium of scientific information is mostly technical papers, it is very difficult to mechanically transact these papers and to keep all documents and scientific informations for a long time. To cope with these difficult situations, many technical skills have been developed, for example, data-base, automatic information retrieval, micro-film and so on. But there are comparatively few investigation on the matter how the researchers who are users and producers think about the systematization of scientific information usage, so this paper investigates the thought and information needs of researchers, and proposes a basis of a method for systematization of scientific information usage. The author inspects the actual conditions of scientific information, reconsider the method which has been used and investigates the matter of how researchers whose interest is closely related to the study of marine affairs think about problems of scientific information usage by thequestionarie of Fuzzy-DEMATEL method. Also, FSM which is method for structuring hierarchy for the several complex problems on the basis of fuzzy sets theory is adopted as a tool of analysis. We can understand the key problems and make a story to solve the systematization of scientific information usage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nd those results will be directly applicable to construct a new system for scientific information usage.

  • PDF

시각장애인을 위한 과학기술정보검색 시스템 및 콘텐츠의 웹접근성 평가 (Comparative Study of Web Accessibility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in Scientific and Technical Retrieval System and Web Contents)

  • 박미영;안인자;박혜수;김인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23-13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과학기술정보시스템과 과학기술정보콘텐츠를 대상으로 인터넷 웹콘텐츠 접근성 지침 1.0을 기반으로 평가도구 K-WAH 3.0을 통해 웹접근성을 평가하였다. 과학기술정보시스템과 콘텐츠의 홈페이지의 웹접근성을 평가한 결과 콘텐츠보다 정보시스템의 웹접근성 준수율이 저조하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웹접근성의 정보시스템과 콘텐츠의 특징과 차이점을 파악하고 향후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평가 결과 시스템 사이트가 콘텐츠사이트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NDSL을 제외한 과학기술시스템과 콘텐츠 사이트가 '이해의 용이성', '견고성' 준수율이 아주 저조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해하기 쉽게', '웹디자인에 화려한 장식을 자제'하는 웹페이지를 만드는 것이 요구된다.

복잡계 상황에서의 새로운 과학기술정보인프라구축의 틀 모색 (New Approach to the Framework for Making the S&T Information Infrastructure in Complex System)

  • 원동규;서지현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7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88-192
    • /
    • 2007
  • 오늘날 국가연구개발사업 및 국가과학기술정책에서 당면하고 있는 최대의 관건은 불확실한 기술개발환경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의 문제가 될 것이다. 우리를 둘러싼 사회경제 환경은 한 마디로 질서와 무질서가 병존하는 제한적 불확실성 상황(복잡계)이며 기술개발환경은 더욱 복잡한 상황이다. 따라서 이러한 복잡계 상황에서 창조적 기술개발의 실천적 관점을 관철하기 위해서는 기존 선형적이고 정태적인 국가과학기술정보 인프라구축에서 벗어나 '모방에서 창조로의 전환', '기술혁신의 자기조직화(self-organization)', '동태적 능력(dynamic capability)의 확보'라는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기 위한 새로운 '복잡계 과학기술정보인프라구축의 프레임 워크' 구축으로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 이러한 패러다임 전환을 통하여 불확실성 하에서 태동하는 질서를 간파하고 새로운 질서를 만들어가는 자기조직화가 가능한 과학기술 정보인프라는 기존의 정보공유중심에서 정보공명이 중심이 되는 인프라 구축이 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새로운 Web 3.0은 이러한 정보공명이 가능한 상태 즉, 피드백이 가능한 맞춤형 분석 정보 지원체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통하여 개개인이 갖고 있는 지식, 자기 조직화된-노하우가 공유됨으로써 서로 간에 공진화(co-evolution)가 발생될 수 있는 국가 차원의 새로운 과학기술정보 인프라 구축의 정책적 진화가 이루어 질것이다.

  • PDF

연구중에 생산된 과학기술 참조데이터 관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nagement of Scientific Technology Reference Data that is Produced during Research)

  • 채균식;이응봉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131-149
    • /
    • 2003
  • 신뢰도가 공인된 과학기술데이터는 같은 분야 연구자들이 지속적이면서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물리화학적 상수, 공인된 물성값, 또는 공인된 과학기술적 통계 값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측정데이터는 정보의 정확도와 신뢰도를 과학적으로 분석, 평가하여 공인함으로써 국가적으로 모든 분야에 널리 사용할 수 있는 참조표준데이터(Standard Reference Data)로 관리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중에 생산된 다양한 실험데이터를 국가 참조표준 데이터로서 관리되어야 하는 필요성과 국가참조표준 센터 설립을 위한 방안을 제시해 본다. 그 시도로 측정표준 연구정보를 하나의 참조정보로 이용할 수 있도록 측정표준 연구정보 시스템을 개발하였고 이 시스템에 대한 운영체계를 자세히 소개함으로서 국내 참조정보 관리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학도서관의 특성화를 통한 학술정보 공동이용 방안: 프랑스 사례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Sharing System of Scientific and Technical Information through the Characterization of Academic Libraries in France)

  • 김선애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41-159
    • /
    • 2004
  • 본 연구는 국가 및 대학 차원에서 연구의 활성화를 위해 대학도서관 특성화 정책 도입의 필요성을 강조하기 위하여 프랑스에서 실시 운영되고 있는 CADIST의 도입배경, 역할, 운영방안 등을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정책의 목적은 기초학문분야를 비롯한 다양한 학문분야의 연구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대학도서관의 특성화를 통해 학술정보의 망라적 수집 및 학술자료의 효율적인 유통을 통한 공동이용에 있다. 전문화 세분화한 학술자료의 수집 및 공동이용은 대학 내 연구의 활성화를 가져왔으며, 이는 대학간 다양화 특성화 지역화를 추진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즉 대학도서관의 특성화 차별화 정책은 대학의 전문화와 지역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 PDF

국가 과학기술정보 정책에 대한 인용분석 연구결과의 적용 - 전기$\cdot$전자공학 분야의 연구를 바탕으로 - (Application of Citation Analysis Results to National Scientific and Technical Information Policy: Based on a Case Study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ing Field)

  • 이해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8권
    • /
    • pp.109-133
    • /
    • 1995
  • This study assessed citation analysis results in light of their usefulness for national scientific and technical information (STI) policy formulation and review in Korea. using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ing field as a case. After brief summary of citation analysis results was presented. current Korean STI policy was reviewed. which aims at establishing national STI sharing system by constructing many STI databases and information networks. Citation analysis results were discussed in light of their significance for Korean databases and information network construction and for use of informal networks such as E-Mail and invisible colleges. The problem of access to current information was also reviewed. Some recommendations were made to policy makers. which include creation of a centralized national STI center: development of guidelines for effective utilization of STI networks and STI; and. standardization of information processing technology and support for the automation of information centers and librarie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e best possible way of presenting recommendations to policy makers was examined. It was concluded that citation analysis could be a useful methodology for STI policy formulation and review whe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tudy is assured and the samples well represent the population of scientists and engineers. Finally recommenda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offered.

  • PDF

이용자 중심 정보시스템: STEM 분야 중심으로 (User-oriented Information System: Focusing on STEM Field)

  • 박민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1호
    • /
    • pp.249-253
    • /
    • 2020
  • 과학기술(STE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edicine)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정보이용자의 정보요구 분석 및 정보이용 행태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정보통신 기술과 환경의 급격한 변화와 발전으로 이용자의 정보이용 환경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용자의 정보이용 변화와 특성, 이들의 정보요구 분석을 토대로 적극적인 과학기술정보서비스시스템의 설계 및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위하여 과학기술정보 이용자를 대상으로 유의할당추출을 통해 4개의 주요 콘텐츠별 (논문, 보고서, 동향, 특허)로 204명씩, 총 816이 참여하였다. 각 콘텐츠별(논문, 보고서, 동향, 특허) 이용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한 정량적 방법을 활용하여 과학기술정보 이용 실태 파악을 위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STEM 분야 정보시스템 개선사항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