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competencies

검색결과 552건 처리시간 0.031초

Ways to Incorporate Key Competencies in the Science Curriculum

  • Kwak, Young-Sun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50-458
    • /
    • 2012
  • This study explored ways to implement a competencies-based curriculum in schools by reviewing exemplary cases that have introduced Key Competencies (KCs) in the school science curriculum. Since the OECD redefined key competencies as 'what people should know and do in order to lead a successful life in a well-functioning society', many countries have emphasized the use of a competencies-based curriculum. Foreign and domestic classroom cases, which have used a competencies-based curriculum in science teaching,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open-ended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principals, we investigated changes of teachers' professional knowledge and practice that were evident as a result of the implementation of competencies-based curriculum in science class. Foreign science teachers suggested ways to relate competencies-based curriculum and science curriculum including maintaining a balance between competencies-based curriculum and content-based curriculum. They also integrated KCs into all subject-based curriculums, gave priority to KCs over subject matter knowledge, and developed KCs through teaching science contents that students wanted to learn. On the other hand, Korean science teachers suggested reconstructing competencies-based curriculum by extracting common attributes from the existing subject areas. They also made KCs realized through content teaching, and developed various KCs within science contexts. Implications of the competencies-based curriculum for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were discussed at the end.

과학교과에서의 핵심역량에 대한 세계의 동향에 준거하여 우리나라 현장 교사들의 인식 연구 (Study on Korean Science Teachers' Perception in Accordance with the Trends of Core Competencies in Science Education Worldwide)

  • 고은정;정대홍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35-547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영국, 호주, 뉴질랜드, 캐나다 온타리오주, 싱가포르 및 우리나라의 과학교과 핵심역량에 대한 동향을 조사하여 과학교육을 통해 기를 수 있는 핵심역량이 무엇인가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또한, 현장 과학교사들이 핵심역량 기반의 과학수업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탐색하고, 특히 최근 핵심역량 기반의 과학교육과정을 접한 경기도 지역 교사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것이었다. 외국의 역량 기반 과학과 교육과정을 탐색하기 위해 각종 문헌연구를 실시하였으며, 현장 과학교사들의 인식 조사를 위해, 135명의 초 중 고등학교 교사들에게 설문을 실시하였다. 외국의 역량기반 과학과 교육과정 탐색 결과, 각 국가들의 공통적인 특징으로 '범교과 역량과의 연계', '과학 내용과 과학 활동의 결합', '의사소통 능력중시', '역량별 성취 수준 제시' 등이 나타났다. 또한, 각국에서 강조하는 과학과 핵심역량으로는, '비판적 사고력', '창의적 사고력', '문제해결력', '탐구능력', '의사소통능력', '문화적 이해력', '학문간 통합능력', '적용능력', '개인적 역량과 사회적 역량'이 있었다. 현장 과학교사들은 현재 핵심역량에 대한 인지정도 및 과학수업에서의 실행 정도는 보통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나, 가르쳐야 한다는 움직임과 가르칠 의사에는 긍정적인 인식을 보임으로써,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하고 있었다. 중요한 핵심역량으로는, 초 중 고 세 학교급 모두에서 '창의적 사고력', '문제 해결력', '탐구 능력'을 꼽았으며, 교육 요구도가 가장 높은 역량은 '창의적 사고력'이었다. 경기도 지역의 교사들이 다른 일반지역의 교사들보다 핵심역량에 대한 인지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핵심역량 기반의 과학 수업이 과학적 태도와 의사소통능력 형성에 큰 도움이 된다고 보았다. 그러나 수업 운영 방법에 익숙하지 않은 점, 많은 수업 준비시간 등을 어려운 점으로 꼽았다.

예비교사를 위한 실감형 콘텐츠 활용 메타인지 학습전략 기반 화학 프로그램의 효과 및 관계성 분석 (Effectiveness and Relationship Analysis of Chemistry Programs Based on Metacognitive Learning Strategies Using Realistic Contents for Pre-service Teachers)

  • 이다은;김현경
    • 대한화학회지
    • /
    • 제67권4호
    • /
    • pp.271-280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한 메타인지 학습전략 기반 화학 프로그램이 예비 교사의 창의적 사고역량 및 과학과 핵심 역량에 미치는 효과와 이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메타인지를 강화시키는 전략을 도입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참가자는 새로 개발한 화학 프로그램을 적용 받는 실험반과 실감형 콘텐츠와 메타인지 전략을 포함하지 않은 일반적인 수업을 적용 받는 전통반으로 분류하였다. 두 집단 모두에게 프로그램 적용 전과 적용 후 설문을 실시하여 메타인지 역량과 창의적 사고역량 및 과학과 핵심역량의 변화 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메타인지 역량과 과학과 핵심역량이 창의력 사고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반의 메타인지 역량, 창의적 사고역량 하위요소 중 적절성과 합리성, 과학과 핵심 역량 중 과학적 참여 및 평생 학습 능력을 제외한 모든 하위요소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메타인지 역량 중 메타인지적 지식, 과학과 핵심역량 중 과학적 탐구능력과 과학적 사고력이 창의적 사고역량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결과를 통해 창의력 사고역량의 향상을 위해 메타인지 학습전략을 접목시킨 실감형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활용할 수 있는 학습모형 및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었다.

과학교과 역량의 다면적 이해와 쟁점의 탐색: 일반 핵심역량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Exploring Multi-faceted Understandings and Issues Regarding Science Subject Matter Competency: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with General Core Competency)

  • 이경건;박정우;이선경;홍훈기;심한수;신명경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3권1호
    • /
    • pp.94-118
    • /
    • 2019
  • 본 연구는 역량기반 교육과정 담론의 동향으로부터 과학과 핵심역량의 다면적 이해를 위한 쟁점을 탐색하고, 일반적 핵심역량과 과학 교과역량 간의 관계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먼저는 행동주의, 인문주의, 그 포괄적 종합을 중심으로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이후 OECD의 역량 관련 프로젝트(DeSeCo; OECD Education 2030), 미국의 차세대 과학 표준(NGSS), 한국의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관점에서 검토하였다. 이와 함께 국내외에서 핵심역량 및 교과역량에 관하여 작성된 주요 문헌 15건이 제시하는 105개의 일반역량 및 45개의 과학역량을 정리하고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역량의 정의 및 범주화를 위한 쟁점에 관하여, 일관된 체계 내에서 제시되는 역량들이 일종의 포괄성을 지닌다고 할 때, 역량의 적절한 개수의 문제, 역량의 적절한 층위 문제, 개별 역량들이 얼마나 고유하고 독립적이어야 하는가의 문제를 지적하였다. 둘째, 문헌별 역량 요소들의 경향성으로서 역량 항목들이 개인적-미시적 차원, 공동체적-중시적 차원, 사회적-거시적 차원에서 다양하게 제시됨을 확인하였으며, 일반역량과 교과역량 모두에서 중시적 차원이 강조되고 있음을 밝혔다. 셋째, 일반역량과 교과역량간 관계에 있어서 일반역량은 거시적 차원을 강조하고 교과역량은 미시적 차원을 강조하는 경향에서 간극이 발생함을 밝힘으로써, 양자가 서로 맞닿을 수 있는 부분은 중시적 차원이라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논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비롯한 국가교육과정에서의 역량 이해 및 추후 개발을 위하여 적지 않은 통찰을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

Pedagogical Conditions And Technology Of Formation Of Management Competencies Of Future Specialists Of The System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 Rebryna, Anatolii;Kukin, Igor;Soltyk, Oleksandr;Tashmatov, Viacheslav;Bilanych, Halyna;Kramarenko, Iryn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8호
    • /
    • pp.217-221
    • /
    • 2022
  • The article analyzes the main theoretical approaches to the formation of managerial competencies and establishes the degree of development of the problem. The content of the concept of "managerial competence" has been clarified, to determine the structure of managerial competencies of a future specialist in the education system and indicators of the formation of managerial competencies. The organizational and pedagogical conditions necessary for the effective process of forming the managerial competencies of future specialists are revealed. The following research methods were used in the work: theoretical (analysis of regulatory documents and scientific literature on the problem under study, comparison, generalization, modeling), empirical (diagnostics of the level of formation of managerial competencies of students of the system, questioning, observation, peer review, comparativ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diagnostic results the level of formation of managerial competencies).

Career Competencies and Perceived Work Performance

  • PARK, Yong-Ho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6호
    • /
    • pp.317-326
    • /
    • 2020
  •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that individuals need to invest in the accumulation of career competencies. To demonstrate how to acquire career competencies, a model consisting of the knowing why, knowing how, and knowing whom competencies was actively discussed in th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competencies based on three ways of knowing, and their effects on perceived work performance. Furthermore,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the importance of each of these competencies in predicting perceived individual performance in the business workplace environment.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knowing why, knowing how, and knowing whom competencies all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perceived individual work performance. Also, the study results showed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three competencies for perceived work performance. Specifically,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effects of the knowing why and knowing whom competencies are greater than the effect of the knowing how competency.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results were provided, including empirical evidence of the validity of the career capital model, the appropriateness of the career competency model based on the three ways of knowing, and assignment of resources for the acquisition of career competencies.

기업의 핵심역량 영향관계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포괄적 연구 (A Comprehensive Study on the Effect Relationship among Core Competencies and Business Performance)

  • 이회선;이종석
    • 경영과학
    • /
    • 제34권2호
    • /
    • pp.35-56
    • /
    • 2017
  • Technology innovations have been accelerating changes across industries and intensifying competition. Enterprises are therefore required to continuously secure their internal and external competitiveness. Based on the principle that core competencies of a firm are essential to its competitiveness, many research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figure out the effect of core competencies to business performance. However, individual research works considered a part of core competencies or limited to a specific industry, which means that their findings may differ when additional core competencies are included in their analysis. After re-establishing the definition of each core competency from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comprehensively investigated the effect relationship among core competencies and business performanc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421 survey respondents from various industries were conducted for our empirical study.

과학과 교육과정 개정에 대비한 핵심역량 재구조화 방안 (Ways of Restructuring Key Competencies for a Revision of Science Curriculum)

  • 곽영순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68-377
    • /
    • 2013
  • 본 연구는 향후 과학과 교육과정 개정에서 다루어야 할 핵심역량들을 재구조화하는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최근 세계 각국에서 미래 사회의 변화된 상황에 맞추어 학교 교육의 방향을 근본적으로 재조정하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교육 개혁의 핵심 키워드로 등장하게 된 것이 핵심역량이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핵심역량 중심의 과학과 교육과정 재구조화를 위한 선결 요건으로 선행연구에서 다양하게 논의되어온 핵심역량 대범주를 재구조화하고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에서 제시됨직한 각 영역별 핵심역량 구성요소를 논의하였다. 문헌분석, 전문가 심층면담, 델파이 및 설문조사 등을 통해 핵심역량 대범주 3가지를 (1) 인성 역량, (2) 지적 역량, (3) 사회적 역량으로 구성하고, 각 핵심역량 대범주별로 의미와 특징을 제시하였다. 각 대범주별로 어떤 핵심역량을 선정하고 가르칠 것인지는 교과 및 교사수준에서 전문성을 발휘하여 결정하도록 맡겨둘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결론 부분에서는 본 연구에서 논의한 핵심역량 대범주들을 중심으로 향후 과학과 교육과정을 재구성할 때 주목할 점을 제안하였다. 향후 과학과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는 인성 역량을 포함하여 핵심역량의 3개 대범주들을 적극적으로 포함시켜야 하며, 핵심역량을 모든 학생들이 도달해야 할 최소 수준의 목표로 설정해야 할 것이다. 또한 과학 주제와 목표 등에 따라 각 대범주별 핵심역량 구성요소와 구성요소들 간의 연계방식이 달라질 수 있음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Establishing veterinary graduation competencies and its impact on veterinary medical education in Korea

  • Sang-Soep Nahm;Kichang Lee;Myung Sun Chun;Jongil Kang;Seungjoon Kim;Seong Mok Jeong;Jin Young Chung;Pan Dong Ryu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4권3호
    • /
    • pp.41.1-41.9
    • /
    • 2023
  • Competencies are defined as an observable and assessable set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Graduation competencies, which are more comprehensive, refer to the required abilities of students to perform on-site work immediately after graduation. As graduation competencies set the goal of education, various countries and institutions have introduced them for new veterinary graduates. The Korean Association of Veterinary Medical Colleges has recently established such competencies to standardize veterinary education and enhance quality levels thereof.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process of establishing graduation competencies as well as their implication for veterinary education in Korea. Graduation competencies for veterinary education in Korea comprise 5 domains (animal health care and disease management, one health expertise,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research and learning, and veterinary professionalism). These are further divided into 11 core competencies, and 33 achievement standards, which were carefully chosen from previous case analyses and nation-wide surveys. Currently, graduation competencies are used as a standard for setting clear educational purposes for both instructors and students. Establishing these competencies further initiated the development of detailed learning outcomes, and of a list of basic veterinary clinical performances and skills, which is useful for assessing knowledge and skills. The establishment of graduation competencies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Korean veterinary education in many ways. These include curriculum standardization and licensing examination reform, which will eventually improve the competencies of new veterinary graduates.

과학과 핵심역량 요소를 기반으로 한 초등학교 과학 글쓰기 수업의 효과 (The Effect of Science Writing Classes based on Science Core Competencies in Elementary School)

  • 김은혜;박재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6권4호
    • /
    • pp.346-355
    • /
    • 2017
  • The 2015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encourages students to cultivate the science core competencies such as scientific thinking, science process skills, scientific problem-solving ability,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 scientific participation and lifelong learning ability. To fill this purpose, we practiced science writing classes based on core competencies and examined the effect of its application. The target unit was 'weather and our life', 'acid and base', 'speed of an object', and 'structure and function of our body' in the fif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proven that science writing activities based on core competencies did not help improving science process skills of learners. Second, i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particular, owner spirit, meta cognition and information search. Third, this strategy for science writing changed learners' scientific attitude positively. The above-mentioned results show that this science writing classes can be applicable as one of effective methods in cultivating science core competen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