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ol reading environment

검색결과 113건 처리시간 0.026초

학생 독서능력에 대한 독서환경, 독서경험, 독서교육의 영향관계에 관한 연구 -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actors that Affect Students' Reading Ability - focused on Jeollabuk-do)

  • 김성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51-71
    • /
    • 2014
  • 이 연구는 전라북도 학생 1,285명의 독서능력, 독서환경, 독서경험, 독서교육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해 현재의 독서수준을 진단하고, 종속변수인 학생의 독서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나머지 3변수 사이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여 학생 독서능력의 신장방안을 모색하였다. 통계분석 결과를 통해 도출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의 전반적인 독서수준 중에서 독서경험 즉, 독서량과 독서시간의 수준은 다른 변수에 비해 상당부분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은 중 고등학생에 비해 보다 높은 수준의 독서생활을 영위하고 있지만 학생의 학령이 높아짐에 따라 전반적인 독서수준은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다. 셋째, 인과관계 분석에서 독서환경은 독서교육에, 독서교육은 독서경험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학생의 독서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에는 독서교육 보다 독서경험의 영향력이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통계분석을 통해 학생의 독서능력 신장을 위해 독서경험 확대와 독서교육의 체계화가 중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장애 아동·청소년 독서역량 진단도구 개발을 위한 구성요인 연구 (Research on Components for Developing a Reading Competency Diagnostic Tool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 김수경;최승숙;황정현;윤성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129-163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 아동·청소년의 독서역량 강화를 위해 독서역량과 독서역량 개념에 따른 구성요인을 파악하고 진단 문항을 개발하여 장애 아동·청소년의 독서역량 진단도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 브레인스토밍, 델파이조사 및 예비조사를 실시한다. 연구 결과 독서역량 진단도구 구성요인은 크게 2개 영역(정의적 영역, 환경적 영역), 4개 범주(독서동기, 독서태도, 인적 환경, 물적 환경), 4개 범주별 총 13개 구성요인(독서 흥미, 독서가치, 독서인정, 독서기대, 독서습관, 독서효능감, 독서몰입, 독서불안(회피), 가정/가족, 학교/교사, 또래, 독서환경, 매체환경)을 도출하고, 그에 따른 문항을 개발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장애 아동·청소년 독서역량 진단도구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

영재아와 일반아의 독서성향과 진로태도성숙 및 자기주도적학습 특성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Disposition,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Self-leading Learning Trait of Gifted and General Students)

  • 박경빈;권혁민
    • 영재교육연구
    • /
    • 제21권1호
    • /
    • pp.1-17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아와 일반 초등학교 학생의 독서성향과 진로태도 성숙 및 자기주도적학습 특성을 비교해보고 그 관계를 살펴보는 데에 있다. 영재아와 일반아의 독서성향을 비교하였을 때, 영재아는 일반아보다 독서흥미, 독서경험이 유의미하게 높은 결과를 나타냈으며 이는 독서수준이 높다는 결과와 일치하였다. 또한 영재아와 일반아의 진로태도성숙을 비교한 결과 진로태도성숙 하위 요인 중에서 결정성, 목적성, 확신성은 영재아가 일반아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영재아와 일반아의 자기주도적학습 특성을 비교한 결과 모든 항목에서 영재아는 일반아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독서 성향과 진로태도성숙, 또 독서성향과 자기 주도적 학습 특성 사이에는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청소년의 지속적 독서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중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Adolescents' Sustainable Reading Attitude: Focus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 김지숙;김기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59-186
    • /
    • 2020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지속적 독서태도를 강화하기 위한 독서교육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지속적 독서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검토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중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을 통해 지속적 독서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탐색하고, 이를 기반으로 개발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서울 소재 중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교의 환경요인, 학생 개인 특성 및 흥미, 그리고 독서교육에 대한 인식이 지속적 독서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의 환경개선과 긍정적인 독서태도를 형성하기 위한 흥미 중심 독서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였으며, 성별과 학년에 따른 독서교육방법의 차별화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지속적 독서태도 강화를 위한 학교도서관 독서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저학년 외국인 가정 다문화 학생을 위한 그림책 읽어주기 수업에 관한 실행연구 - A초등학교 학교도서관 협력수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 (Action Research on Reading Picture Books for Lower-Grade Multicultural Students from Foreign Backgrounds: A Case of Collaborative Lessons with A Elementary School Library)

  • 위현미;조미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59-87
    • /
    • 2023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외국인 가정 다문화 학생의 언어능력 향상과 정서적 안정감을 촉진시키기 위한 학교도서관을 활용한 그림책 읽어주기 수업의 운영 사례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문화 학생을 대상으로 한 그림책 읽어주기 수업을 계획하고 실제 수업을 진행하며 얻은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과정에서는 다문화교육 및 언어능력 향상을 위한 그림책 활용과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고찰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수업의 주요 요소들을 도출하여 수업 절차를 구체적으로 설계하였다. 실제로 경기도의 A초등학교에서 1학년과 2학년 다문화 학생 5개 반 43명을 대상으로 20주 동안 반별로 각각 3회의 시범수업과 17회의 본 수업, 총 100회의 그림책 읽어주기 수업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그림책 읽어주기 수업이 다문화 학생들의 한국어 이해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하였다. 학생들의 한국어 표현력과 발표 태도가 개선되었으며, 도서관 이용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림책 읽어주기 수업은 학급생활 태도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학교도서관 활용 그림책 읽어주기 수업의 절차는 실제 학교교육 현장의 수업 운영과정에서 구상되고 발전된 것으로, 다문화 학생들의 증가에 따른 수업 환경 개선의 필요성을 반영한 실행연구이다. 이 연구를 통해 초등학교 저학년 다문화 가정의 학생들을 위한 그림책 읽어주기 수업이 어떻게 수업 환경을 개선하고 학습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7차와 2007 개정 과학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읽기자료 분석 (Analysis of the Reading Material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7th and the 2007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a)

  • 강석진;고한중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3권3호
    • /
    • pp.479-490
    • /
    • 2014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ading materials in the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in order to obtain implications for the effective use of them. The reading materials in the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7th and the 2007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a were analyzed. The criteria for classifying the reading materials were the type of theme, purpose, students' activity, the type of presentation, the type of images, the role of images, and readabili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reading materials in the 2007 revised science textbooks are more systematic than those in the 7th science textbooks in terms of their length and their distribution among energy, matter, life, and earth areas. It was also found that various types of reading materials are presented in the 2007 revised science textbooks covering new themes such as frontier science, job opportunity and career, and environment. In addition, the reading materials in the 2007 revised science textbooks introduce more visual images and the readability of them are also better than their counterpart. However, several limitations were still found to exist in the reading materials of the 2007 revised textbooks; most of them are non-inquiry and explanatory; most of the visual images are illustration and/or pictures.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독서교육의 발전 방향 모색 - 교과서 수록 읽기자료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Reading Education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최영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429-448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으로 개발된 고등학교 교과서의 읽기자료 특성을 조사하여 향후 독서교육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어, 수학, 영어, 통합과학, 통합사회 주요 교과를 대상으로 고등학교 교과서의 읽기자료를 분석하였고, 읽기자료의 분석 기준은 주제 유형, 목적, 학생 활동이었다. 연구 결과, 고등학교 통합사회와 통합과학 교과서에는 인간, 자유, 문화, 환경, 지구 등 다양한 주제의 읽기자료가 각 단원의 개념과 연관되어 제시되고 있었다. 특히 국어교과는 한단원에만 '한 학기에 한권의 책 읽기'라는 단원이 신설되어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 읽기자료가 효과적인 독서 전략이나 독서 방향에 대한 안내가 없으며, 읽기자료의 양이 부족하고 확장적 독서를 위한 자료나 정보가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교과서의 읽기자료가 각 단원의 학습 내용을 단순하게 보충하거나 개념 이해를 위한 단편적인 단서로만 제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과의 읽기자료 제시가 나열식으로 단순하게 전개되어 있으며, 읽기자료가 학생들의 독서 흥미, 독서의 내면화 그리고 독서 확장을 위한 도구로는 미흡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은 고등학교 교과서의 확장을 위한 읽기자료의 보조 자료를 제안하고, 교과서 구성 측면과 수업 방법 측면에 대한 제안을 통해 교과서와 독서교육의 발전적 관계를 모색해보았다.

U-러닝 기반 수준별 독서교육지원 시스템 개발 및 효과검증 (Development and Effect Verification of U-learning based Leveled Reading Education Support System)

  • 김정랑;마대성;천경록;최현호;고윤미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41-49
    • /
    • 2009
  • 최근 모바일 기술의 발전으로 웹페이지를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환경이 만들어져 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 개발된 수준별 독서교육지원 시스템을 U-러닝 환경에 맞게 개선하여 모바일 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개선하고 학생들에게 전자책 서비스와의 연계를 통해 오프라인이나 온라인상에서 독서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독서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고조시키고 독서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독서교육지원시스템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해 보았다. U-러닝 기반 수준별 독서교육지원 시스템은 학생들에게 독서와 독후활동에 대한 흥미를 높일 수 있게 해 주었고 이를 통해 학생들의 독서 능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었다.

  • PDF

만 5세 유아의 읽기능력, 어휘력과 개인·환경 변인이 초등학교 1학년 읽기이해능력과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Reading Ability and Vocabulary at Age 5 and Personal Environment Variables of Children on First Grade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and Vocabulary)

  • 이기숙;김순환;정종원
    • 아동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123-139
    • /
    • 2011
  •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the impact of reading ability and vocabulary at age 5, as well as analyzing the impact which children's gender, parental education level and family income level has on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and vocabulary at the first grade level in primary school. The study also sought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ults obtained in Korea and Japan on this particular research topic. For the Korean part of the study, 328 first grade Korean children, who had participated in the initial testing as five-year olds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longitudinal study were tested; whereas in Japan, 215 students were tested.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in the case of Korea,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in the first grade was affected by vocabulary and reading abilities at age 5, gender, as well as the mother's education level, in that order. In Japan, it was affected in the order of vocabulary, gender, and father's education level. In terms of first grade vocabulary, in the case of Korea, it was affected in the order of vocabulary and reading ability at age 5 and father's education level; whereas in Japan, it was affected in the order of vocabulary, gender, and reading ability. In both Korea and Japan, at age 5, vocabulary was shown to have a more significant impact than reading ability on both of language ability and vocabulary in the subsequent primary school period. As such, it can be seen that more interest should be shown not only in the ability to read at age 5 but also in expanding the vocabulary of children at this age through appropriate interaction and support.

MODEL-BASED LIFE CYCLE COST AND ASSESSMENT TOOL FOR SUSTAINABLE BUILDING DESIGN DECISION

  • Iris X. Han;W. Zhou;Llewellyn C.M. Tang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Organized by the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 /
    • pp.311-317
    • /
    • 2011
  • There is a growing concern in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all over the world. The U.K. has set 34% target reduction of emission before 2020 and 80% before 2050 compared to 1990 recently in Post Copenhagen Report on Climate Change. In practise, Life Cycle Cost (LCC) and Life Cycle Assessment (LCA) tools have been introduced to construction industry in order to achieve this such as. However, there is clear a disconnection between costs and environmental impacts over the life cycle of a built asset when using these two tools. Besides, the chang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s) lead to a change in the way information is represented, in particular, information is being fed more easily and distributed more quickly to different stakeholders by the use of tool such as the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BIM), with little consideration on incorporating LCC and LCA and their maximised usage within the BIM environment. The aim of this paper is to propose the development of a model-based LCC and LCA tool in order to provide sustainable building design decisions for clients, architects and quantity surveyors, by then an optimal investment decision can be made by studying the trade-off between costs and environmental impacts. An application framework is also proposed finally as the future work that shows how the proposed model can be incorporated into the BIM environment in practis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