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23초

사례 조사를 통한 한식 음식점의 주방면적 비율과 환기시설의 적정성 조사 (Survey on the Ratio of Kitchen to Total Space and Ventilation System Capacity of Kitchens through Case Studies in Korean Foods Restaurants)

  • 장혜자;최경기;왕태환;곽동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3-40
    • /
    • 2015
  •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restaurants, the kitchens should be equipped with proper ventilation systems and space to keep clean and ensure food safety.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atio of kitchen to total space of restaurant and the suitability of the ventilation systems employed at Korean food restaurants. Data were collected by on-site survey of 12 Korean foods restaurants in Seoul. Length and width of the restaurants were measured with scale. Temperatures and air velocity around the heating equipment, working area, and hood were measured with a thermal imaging camera anemometer and thermometer.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with the SPSS program. The average space of the restaurants was $25.7m^2$. The ratio of kitchen to space was 0.22 for restaurants sized $32m^2$, 0.28 for $33-66m^2$, 0.21 for $66.1-99m^2$, 0.16 for $99.1-148.5m^2$, and 0.35 for those above $148.5m^2$. Average maximum and minimum air velocity around the hood were 0.28 m/sec and 0.22 m/sec, respectively. Under these conditions, the temperature of the working area was $41^{\circ}C$, presenting an uncomfortable indoor temperature for kitchen employees to work. When classifying 3 groups based on the minimum and maximum air velocity, the temperatures near the cooking area and in the hood of the restaura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When the maximum air velocity was over 0.3 m/sec, the temperature of the cooking area was as $30.1^{\circ}C$, showing a significantly lower temperature (p<0.01). Based on these results, the kitchen space rate of 0.25 to the total space and a ventilation system maintaining a maximum air velocity over 0.3 m/sec were recommended for ensuring the food safety of Korean foods restaurants sized 66 to $99m^2$.

대구.경북지역 단체급식에서 생선류의 기호도 조사 (Preference Survey on Fishes in Daegu.Gyeongbuk Area Institutional Food Service)

  • 정광열;박은정;최미애;김미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421-431
    • /
    • 2014
  • In this study, preferences and eating frequency of fish were surveyed in 390 foodservice employees in the Gyeongbuk and Daegu areas. The most common response to degree of fish intake was 'half eaten'. In the home, 'fish intake 1~2 times per a week' was chosen as the most common respons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p<.05) in the frequency of fish consumption based on gender. 'Fish intake 3~5 times per a week' was most commonly chosen by subjects under 20 and over 60 years, whereas the most common response in those 41~60 and 21~40 years old was 'fish intake 1~2 times per a week'. The most preferred method of fish cooking was 'roast', 'frozen pollack' Tang was chosen as the favorite Tang(soup) dish and 'Hairtail' was chosen as the favorite boiled and grilled fish dish. Reasons for avoiding or preferring fish were related to 'tastes and recipes'. 'Mackerel' was the favorite dish for both men and women. 'Flatfish' and 'mackerel pike' were disliked by men and women, respectively. Cooked meat was eaten more often than fish regardless of gender. Besides, preference for meat was higher than that for fish in all age groups, except those over 60 years old. 'fish has good nutrition and health' was the most common response When subjects were asked to compare fish with cooked meat.

대구.경북지역 학교급식 식재료 납품업체 생산직원의 위생관리 실태조사 (A Survey of Sanitation Management Practices of School Food Ingredients Manufacturing Company Workers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 김윤화;이연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74-282
    • /
    • 2011
  • 본 연구는 학교급식 식재료의 위생관리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식재료 생산 가공업체의 생산직원 221명을 대상으로 위생지식을 조사하고, 위생관리 수행수준, 위생관리 현황을 5점 척도로 평가하였다. 생산직원의 위생관리 수행수준의 평균은 4.63/5.0점으로 높은 편이었으나, 위생 지식수준은 4.63/9.0점으로 낮았다. HACCP 인증업체 직원의 위생교육 횟수, 만족도, 위생관리 태도 등이 비인증업체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p<0.05), HACCP 비인증업체에서의 시설설비에 대한 관리가 요구되었다. 또한 위생관리 수행영역에서 작업대와 작업장의 매일 청소 및 철저한 소독, 냉장고와 냉동실의 청결유지, 작업장의 온도확인, 작업 중 교차오염 방지, 작업 중 작업도구의 철저한 소독, 작업장 출입 시 신발소독 및 에어샤워, 작업복의 매일 세척의 항목은 HACCP 비인 증업체에서 유의하게 잘 지켜지지 않아 위생교육 및 평상시 작업관리 시 철저한 관리가 요구되는 항목이었다. 생산직원들이 학교급식 식재료를 생산하면서 가장 어려운 점은 위생관리와 납품시간 맞추기였고, 위생교육의 불만족한 이유는 일방적인 강의 때문이 가장 높았다. 따라서 생산 가공업체 에서는 교육대상자의 요구에 맞추어 위생교육 내용을 선정하고, 일방적인 강의형식의 교육보다는 활동자료나 교육매체를 활용한 보다 능동적이고 흥미로운 위생교육을 실시하여 교육효과를 최대한 높일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대구ㆍ경북지역 초등학교 급식소의 급식생산성 분석 (Assessing Productivity of Elementary School Lunch Foodservices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Area)

  • 박영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86-294
    • /
    • 2003
  • 대구ㆍ경북지역 학교급식소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현재 수행되고 있는 운영현황 및 관리현황, 급식 생산성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도시형 18개교, 농어촌형 13개교와 도서벽지형 18개교 총 49개교의 영양사와 조리종사원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체조사대상의 급식종사원수는 도시형 학교에 근무하는 종사원이 109명, 농어촌형 학교에 근무하는 종사원이 71명, 도서벽지형에 근무하는 종사원이 70명으로 총 250명이었으며 학교 유형별 급식인원수는 도시형 학교가 894.6으로 농어촌형 학교의 446.2명과 도서벽지형 학교의 170.6명보다 유의하게(p$\leq$0.001) 많았다. 제공한 부식 수는 평균 2.82개이며 농촌형 학교에서 3.23개의 부식을 제공하여 도시형과 도서벽지형 학교보다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또한 급식종사원 1인당 급식수는 도시형 학교가 152.91명, 농어촌형 학교가 73.6명, 그리고 도서벽지형 학교가 40.4명으로 학교유형간에 유의한(p$\leq$0.001) 차이가 있었다. 급식비 1인당 1식 단가는 평균 1180.98원으로 도서벽지형 학교가 1231.19원, 농어촌형 학교가 1160.93원, 그리고 도시형 학교가 1092.99원으로 학교유형간에 유의한(p$\leq$0.001) 차이가 있었다. 급식 1식당 인건비는 평균 452.94원으로 도서벽지형 학교가 682.52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도시형학교가 267.71원으로 가장 낮았다. 2. 도시형 학교에 근무하는 급식종사원의 직무만족도는 123.41으로 농어촌형 학교에 근무하는 급식종사원의 직무만족도 147.49와 도서벽지형 학교에 근무하는 급식종사원의 직무만족도 140.39보다 유의하게(p$\leq$0.01) 낮게 나타났고 급여만족도는 도시형 학교에 근무하는 급식종사원이 6.39로 농어촌형 학교에 근무하는 급식종사원의 급여만족도 9.46과 도서벽지형 학교에 근무하는 급식종사원의 급여만족도 9.21보다 유의하게(p$\leq$0.001)낮게 나타났다. 3. 급식생산성 지수는 도시형 학교가 21.36으로 가장 높았고 농어촌형 학교가 9.07 그리고 도서벽지형 학교가 5.97로 학교 유형간에 유의한(p$\leq$0.001) 차이가 있었다. 4. 급식생산성 지수는 급식수와 총 식재료비와 양의 상관관계를, 제공된 부식수와 1식당 식재료비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여 초등학교 급식소의 생산성은 급식의 규모가 커질수록 급식생산성이 증가하였고 부식수가 많을수록, 1식당 식재료비가 높을수록 급식생산성은 감소한다고 볼 수 있다. 5. 인적 관련 변수 중 급식종사원의 연령, 근무기간 및 조리원 1인당 급식수는 급식생산성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1식당 인건비, 급식종사원의 만족도 그리고 급식종사원의 급여에 대한 만족도는 급식생산성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학교급식의 생산성을 높이고 급식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급식의 규모가 작은 경우 특히 농어촌형과 도서벽지형 학교 급식소에 있어서 단독교 조리방식으로 분산시키지 말고 인근의 급식학교들을 한데 묶어 함께 조리하는 공동조리장 조리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되며 또한 급식생산성과 유의적인 관계를 지닌 변수들에 대한 다각적인 측면, 특히 급식종사원의 직무만족요인 및 작업관리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소비자의 만족도에 대한 연구가 함께 이루어져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