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larly communication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28초

해외 학술지의 수입국가형 개발전략 (II) (Strategies for Import and Development of Foreign Scholarly Journals in Korea (II))

  • 윤희윤
    • 정보관리연구
    • /
    • 제37권3호
    • /
    • pp.25-59
    • /
    • 2006
  • 본 연구는 '연구인프라(학술연구정보), 연구산출물(논문, 특허 등), 응용연구 기술개발, 제품(서비스)의 생산과 수출(제품 및 지적 재산권), GNP 증가, 국가경쟁력제고'로 이어지는 시계열적 순차성과 인과관계에 주목하여 그 시발점인 해외 학술지의 전략적 개발모형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지식강국화의 요체로 지목되는 선진국의 학술지를 중심으로 국제적 동향과 후광효과를 논급한 다음에 수집규모의 경제성과 공유기능의 극대화를 위한 다양한 전략(수입국가형 개발모형, 핵심 학술지 전략적 확보모형, 하이브리드형 구축모형, 인터넷 학술지의 개발모형)을 제시하였다.

해외 학술지의 수입국가형 개발전략 (I) (Strategies for Import and Development of Foreign Scholarly Journals in Korea (I))

  • 윤희윤
    • 정보관리연구
    • /
    • 제37권2호
    • /
    • pp.51-74
    • /
    • 2006
  • 본 연구는 '연구인프라(학술연구정보), 연구산출물(논문, 특허 등), 응용연구 기술개발, 제품(서비스)의 생산과 수출(제품 및 지적 재산권), GNP 증가, 국가경쟁력제고'로 이어지는 시계열적 순차성과 인과관계에 주목하여 그 시발점인 해외 학술지의 전략적 개발모형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지식강국화의 요체로 지목되는 선진국의 학술지를 중심으로 국제적 동향과 후광효과를 논급한 다음에 수집규모의 경제성과 공유기능의 극대화를 위한 다양한 전략(수입국가형 개발모형, 핵심 학술지 전략적 확보모형, 하이브리드형 구축모형, 인터넷 학술지의 개발모형)을 제시하였다.

국내 학술지 논문의 오픈 액세스와 아카이빙을 위한 저작권 귀속 연구 - 한국학술진흥재단 등재 학술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opyright Possession for Open Access and Archiving of Scholarly Journal Paper Registered in Korean Research Foundation)

  • 홍재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431-463
    • /
    • 2008
  • 학술지는 학술 정보의 핵심매체로서, 개방과 공유를 지향하는 대표적인 비영리성 저작물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들어 학술지의 오픈 액세스 운동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저작권 문제가 학술지 논문의 오픈 액세스와 아카이빙에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국내 학술지 논문의 저작권 분쟁 사례를 검토하였고, 한국학술진흥재단의 등재 학술지 906종을 대상으로 학술지 논문의 저작권 귀속 현황을 총체적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그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 국내 학술지 논문의 오픈 액세스와 아카이빙 활성화를 위한 저작권 대응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 PDF

정보공유적 모델 기반의 학술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연구: 저작권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Open Access Model for Scholarly Communication)

  • 정경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84-399
    • /
    • 2002
  • 저널을 중심으로 한 학술커뮤니케이션의 문제는 저작권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영리적 기관이 논문의 저작권을 배타적으로 양도받아, 원문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경우 가격상승으로 인한 이용의 제한과 보존의 문제가 발생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정보공유적 학술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개념적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 모델은 저자가 저작권을 가지되, 학술적이고 비영리적인 이용일 경우 해당 저작물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는 공유적 라이센스를 채택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서관이 학술논문의 원문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자유롭게 이용시킬 수 있으며, 학술정보의 보존문제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일본의 과학기술 분야 웹 공간을 통한 학술커뮤니케이션 연구 (A Webometric Study on Scholarly Communication Between the Science and Technology Web Spaces of Korea and Japan)

  • 김자의;정영미
    • 정보관리연구
    • /
    • 제40권2호
    • /
    • pp.1-24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국내 기관들 간의 웹을 통한 학술커뮤니케이션 분석에서 더 나아가 국가 차원에서 한국과 일본 과학기술 분야 웹 공간에서의 학술적 교류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웹계량학적 방법론과 사회연결망 기법을 적용하여 양 국가의 웹 공간을 분석하였다. 전체적으로 한국이 일본의 과학기술 분야 웹 학술정보를 더 많이 이용하고 있었으며, 한 일 국가간 학술커뮤니케이션을 이끄는 주체는 대학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두 나라 모두 대학을 중심으로 많은 링크를 보내거나 받고 있었다. 링크기반 분석에서 한국과 일본이 상대 국가에 대해 의존적인 학문 분야는 서로 다르게 나타났으며, 학문분야별로 상대 국가에 의해 많이 이용되고 있는 학술정보를 생산하는 한국과 일본의 대학 및 연구기관들을 파악할 수 있었다.

Implementing Open Science Technology in Educational Activities of the UNESCO Centre, "Junior Academy of Science of Ukraine"

  • Kuzmenko, Halyna;Bratus, Ivan;Kovalova, Oksana;Halchenko, Maksym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1호
    • /
    • pp.183-188
    • /
    • 2022
  • This paper explores the opportunities for scholarly publishing as part of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the system of extracurricular research and experimental education, UNESCO Category 2 Centre, "Junior Academy of Sciences of Ukrain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JASU), using Open Journal Systems (hereinafter referred to as OJS) publishing platform.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and select a publishing model and substantiate the procedures for the launch of an OJS-based open-access student scholarly e-journal with a view of improving scholarly communication between gifted children from Ukraine and other countries.

학술 디지털 아카이브의 영향력 측정에 관한 연구 : PMC 학술지의 인용지수 분석을 중심으로 (Measuring Impact of Scholarly Digital Archives : Analyses on Citation Indicators of PMC Journals)

  • 신은자
    • 정보관리연구
    • /
    • 제36권3호
    • /
    • pp.51-70
    • /
    • 2005
  • 학술 디지털 아카이브의 구축은 학계에 이미 전파된 연구성과를 디지털 형태로 보존하여 연구자로 하여금 활발한 연구를 수행하는 정보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는 면에서 중요하다. 이 연구는 생명과학 학술 디지털 아카이브인 PMC가 실제 생명과학 분야 학술 커뮤니케이션에 어느 정도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학술 디지털 아카이브 등장을 계기로 영향력지표, 즉시성지수, 반감기 등 세 인용지수의 추이가 변화하지는 않았다. 반면에 주제별로 학술지의 인용지수를 산출하여 학술지의 순위를 평가한 결과에서는 학술 디지털 아카이브의 등장 이후 학술지의 인용지수 순위가 향상되는 경우가 하락하는 경우보다 많았다.

내용 분석을 통한 한국의 학술적 웹 공간 구조 분석 (Ascertaining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a National Scholarly Web Space Based on Content Analysis)

  • 정영미;유소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7-24
    • /
    • 2009
  • 학술적 웹 공간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페이지와 링크의 역동성 때문에 정량적인 방법과 함께 내용 분석 등의 정성적인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내용 분석의 한 방법으로 한국 학술적 웹 공간 내에서 외부 링크로 연결된 페이지 및 링크의 유형을 분류한 후 이를 네트워크 구조 분석에 반영하여 한국 학술적 웹 공간의 특성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데이터의 수집 시점을 나타내는 기본 네트워크와 내용 분석 시점을 나타내는 활성 네트워크 사이에 구조적으로 큰 차이가 없었으나, 기관 유형별로 다른 기관들을 링크하는 목적이 다르게 나타났다. 그리고 한국 학술적 웹 공간은 여러 중앙성 지수들과 결속계수 간의 설명력이 유사하게 나타나는 형태의 네트워크임을 확인하였다.

학술지 평가정책에 관한 고찰 -학술진흥재단의 학술지정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Journal Evaluation Policy of Korea Research Foundation)

  • 장덕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359-376
    • /
    • 2004
  • 학술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의 학술지의 중요성은 재론의 여지가 없으며, 학문연구의 전반적 수준을 높이기 위한 방편으로 학술지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고 이를 합리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필요성은 매우 높다. 그러나 평가는 단순히 학술지의 우열을 가리는 것에 머물러서는 안되며 평가대상의 효율, 장점과 단점을 보여주고, 단점을 보완하여 질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여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글에서는 학술진흥재단의 학술지평가 정책에 대한 논란을 재조명하고, 이 정책이 학술담론의 생산과 유통에 개입함으로써 학문 연구의 창조성과 자율성을 억압하는 면은 없는지, 구체적으로 등재 학술지와 이를 생산하는 학회 그리고 평가의 주체 기관의 권력화가 정보의 자유로운 흐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 등의 문제들을 살펴본다.

  • PDF

학술 환경 속에서 하이퍼링크와 인용 결정을 내리는 과정들 사이에 인식의 차이점들에 관한 연구 (The Cognitive Differences between the Processes Making Hyperlinking and Citing Decisions in Scholarly Environments: A Qualitative Study)

  • Kim, Hak-Joon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17-136
    • /
    • 1999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술 환경 속에서 하이퍼링크와 인용 결정을 내리는 과정들 사이에 인식의 차이점들을 조사하는 것이었다. 적어도 하나의 외부 하이퍼링크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전자 학술논문을 출판한 15명의 인디애나 대학 교수들과 박사과정 학생들이 인터뷰되어졌다. 네 가지 다른 형태의 하이퍼링크 행위들이 그 인터뷰 자료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해 확인되어 졌다. 비록 대다수의 저자들의 하이퍼링크 행위가 관습적인 인용 행태의 함축적인 규범들을 따르는 경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술 환경 속에서 하이퍼링크들의 사용에 대한 어떤 일치된 관례들이 존재하지 않고 있음이 본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