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cene graph

Search Result 71,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Estimation of the Medium Transmission Using Graph-based Image Segmentation and Visibility Restoration (그래프 기반 영역 분할 방법을 이용한 매체 전달량 계산과 가시성 복원)

  • Kim, Sang-Kyoon;Park, Jong-Hyun;Park, Soon-Young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v.50 no.4
    • /
    • pp.163-170
    • /
    • 2013
  • In general, images of outdoor scenes often contain degradation due to dust, water drop, haze, fog, smoke and so on, as a result they cause the contrast reduction and color fading. Haze removal is not easier problem due to the inherent ambiguity between the haze and the underlying scene. So, we propose a novel method to solve single scene dehazing problem using the region segmentation based on graph algorithm that has used a gradient value as a cost function. We segment the scene into different regions according to depth-related information and then estimate the global atmospheric light. The medium transmission can be directly estimated by the threshold function of graph-based segmentation algorithm. After estimating the medium transmission, we can restore the haze-free scene. We evaluated the degree of the visibility restoration between the proposed method and the existing methods by calculating the gradient of the edge between the restored scene and the original scene. Results on a variety of outdoor haze scene demonstrated the powerful haze removal and enhanced image quality of the proposed method.

The Integration Stategy for the Multiple Sensory Systems based on the Visual Display System (시각 제시에 근거를 둔 다중 감각 제시 통합 방법론)

  • 진종욱;고희동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185-188
    • /
    • 2000
  • 현재의 3차원 시각 정보 제시기는 Scene Graph 기반의 3차원 그래픽스 API에 기반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각 정보 제시에 더불어 다양한 감각을 제시하기 위한 통합 제시 능력을 가지는 시스템으로 시각화 시스템을 확장하였다. 이 확장된 시스템은 다양한 감각 정보를 제시하기 위한 추가적인 정보를 가지는 확장된 Scene Graph을 가지고 운영되며, 통합된 Script System으로 각 감각 제시 시스템들간의 동기화 및 통합 관리와 제시 시스템의 확장에 유리한 장점을 가진다.

  • PDF

An Accurate Object Selection Technique Using Scene Graph Traversal (Scene Graph 순회를 통한 정교한 객체선택기법)

  • 임윤호;한덕수;임순범;최윤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514-516
    • /
    • 2002
  • 3D 가상공간 사용자의 몰입감과 임장감에 결정적인 영창을 미치는 상호작용기법은 공간 네비게이션과 객체조작기법으로 나눌 수 있다. 그중 정교한 객체조작이 요구되는 특정분야에서는 보다 효과적인 객체조작기법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객체를 구성하는 장면 그래프 구조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내부적으로 분할하여 재구성한 선택트리의 순회를 통해 객체의 세부 단위요소를 선택하고 이를 조작하며 선택을 해제를 할 수 있는 일련의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정교한 객체의 조작을 필요로 하는 분야의 3D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축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Method of Representing Sensors in 3D Virtual Environments (3D 가상공간에서의 센서 표현 방법)

  • Im, Chang Hyuk;Lee, Myeong Won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24 no.4
    • /
    • pp.11-20
    • /
    • 2018
  • Applications about systems integration of sensors and virtual environments have been developed increasingly.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the ability to represent, control, and manage physical sensors directly in a 3D virtual environment. In this research, a method of representing physical sensor devices in a 3D virtual environment has been defined using mixed and augmented reality, including virtual and real worlds, where sensors and virtual objects co-exist. The research is intended to control and manage various physical sensors through data sharing and interchange between heterogeneous computing environments. In order to achieve this, general sensor types have been classified, and a sensor based 3D scene graph for representing the functions of sensors has been defined. In addition, a sensor data model has been defined using the scene graph. Finally, a sensor 3D viewer has been implemented based on the scene graph and the data model so as to simulate the functions of sensors in indoor and outdoor 3D environments.

Geometric and Semantic Improvement for Unbiased Scene Graph Generation

  • Ruhui Zhang;Pengcheng Xu;Kang Kang;You Ya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v.17 no.10
    • /
    • pp.2643-2657
    • /
    • 2023
  • Scene graphs are structured representations that can clearly convey object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m, but are often heavily biased due to the highly skewed, long-tailed relational labeling in the dataset. Indeed, the visual world itself and its descriptions are biased. Therefore, Unbiased Scene Graph Generation (USGG) prefers to train models to eliminate long-tail effects as much as possible, rather than altering the dataset directly. To this end, we propose Geometric and Semantic Improvement (GSI) for USGG to mitigate this issue. First, to fully exploit the feature information in the images, geometric dimension and semantic dimension enhancement modules are designed. The geometric module is designed from the perspective that the position information between neighboring object pairs will affect each other, which can improve the recall rate of the overall relationship in the dataset. The semantic module further processes the embedded word vector, which can enhance the acquisition of semantic information. Then, to improve the recall rate of the tail data, the Class Balanced Seesaw Loss (CBSLoss) is designed for the tail data. The recall rate of the prediction is improved by penalizing the body or tail relations that are judged incorrectly in the dataset. The experimental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GSI method performs better than mainstream models in terms of the mean Recall@K (mR@K) metric in three tasks. The long-tailed imbalance in the Visual Genome 150 (VG150) dataset is addressed better using the GSI method than by most of the existing methods.

Design of Real-Time Rendering System for HMD Simulation of Aircraft (항공기 HMD 시뮬레이션을 위한 실시간 렌더링 시스템 설계)

  • Im, Ju-Ho;Lee, Chung-Jae;Ha, Ok-Gyun;Kim, Gi-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7a
    • /
    • pp.27-28
    • /
    • 2016
  • 실시간 렌더링 시스템에서 시야를 변경하는 속도가 증가할수록 FPS(Frame Per Second)가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시야 변경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FPS를 향상하기 위한 렌더링 최적화 기술이 요구되며, 본 논문에서는 동적 LOD(Level of Detail)와 컬링 기술을 적용하여 실시간 렌더링 과정에서 렌더링 데이터를 감소함으로써 저하되는 FPS를 증가시키기 위한 렌더링 최적화 기법과 HMD(Helmet Mounted Display)의 움직임에 따라 변경된 시야각을 적용한 OSG(Open Scene Graph) 기반 실시간 렌더링 시스템을 제시한다.

  • PDF

3D User Interface for Object Manipulation using Scene Graph Traversal (Scene Graph 순회를 이용한 3D 객체 조작 사용자 인터페이스)

  • 한덕수;임윤호;최윤철;임순범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585-589
    • /
    • 2001
  • 최근 그래픽 하드웨어의 성능향상과 인터넷의 발전으로 이를 기반으로 하는 인터렉티브 3D 그래픽스와 데스크탑 가상환경 분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데스크탑 가상환경에서 객체의 조작과 관련된 3D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성공적인 연구사례는 찾아보기 힘들다. 그 이유는 하드웨어적인 제약과 더불어 3D 공간상의 객체를 2D상에서 조작함으로써 발생하는 인지적인 문제해결이 어렵기 때문이다. 이의 해결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객체를 구성하는 장면 그래프를 내부적으로 분할하여 생성된 서브트리의 순회를 통해 객체의 세부 단위요소를 쉽게 선택하고 해제하는 일련의 객체조작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각 조작단계에서 사용자의 의사결정을 돕는 다양한 시각 피드백 기능을 함께 지원한다. 제안된 기법은 정교한 객체의 조작을 필요로 하는 분야의 3D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축에 매우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Block Erection Simulation in Shipbuilding Using the Open Dynamics Module and Graphics Module (범용 동역학 모듈과 가시화 모듈을 이용한 조선 블록 탑재 시뮬레이션)

  • Cha, Ju-Hwan;Roh, Myung-Il;Lee, Kyu-Yeul
    • Korean Journal of Computational Design and Engineering
    • /
    • v.14 no.2
    • /
    • pp.69-76
    • /
    • 2009
  • The development of a simulation system requires many sub modules such as a dynamic module, a visualization module, etc. If a different freeware is used for each sub modules, it is hard to develop the simulation system by incorporating them because they use their own data structures. To solve this problem, a high-level data structure, called Dynamics Scene Graph Data structure (DSGD) is proposed, by wrapping data structures of two freeware; an Open Dynamics Engine (ODE) for the dynamic module and an Open Scene Graph (OSG) for the visualization module. Finally,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data structure, it is applied to the block erection simulation in shipbuilding. The result shows that it can be used for developing the simulation system.

Visualization of Scene Graph for Representation of Story (스토리 표현을 위한 장면 그래프의 시각화)

  • Im, Hong Gab;Baek, YeongTae;Park, Seung-B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1a
    • /
    • pp.347-348
    • /
    • 2016
  • 스토리에 의해서 콘텐츠 산업의 경쟁력이 결정되고 콘텐츠에 대한 흥행과 보급에 핵심 요소가 된다. 현재까지의 스토리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인문학의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인문학에서는 스토리를 창작하는 방법과 스토리에 대한 해석에 주로 초점이 맞추어져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콘텐츠 산업의 핵심요소인 스토리를 창작하거나 해석하기 위해서는 스토리를 한눈에 보고 이해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해석 방법과 시각화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스토리의 무대가 되는 공간 정보와 인물 정보가 함게 고려된 장면 그래프에 대한 연구를 제시하고 설명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