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alar interpretation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4초

Semantics of exceptives oyey and pakkey in Korean

  • Yeom, Jae-Il
    • 한국언어정보학회지:언어와정보
    • /
    • 제19권2호
    • /
    • pp.55-80
    • /
    • 2015
  • In this paper, I show how oyey 'except' and pakkey 'but' in Korean are semantically different from but/except in English. The exceptive oyey is attached only to a definite NP and shows no restriction on the NP that it is associated with. The referent of the NP is removed from either the restrictor, or nuclear scope, of the associated NP, also giving rise to two different inferences about the exception phrase. The inferences are based on the condition that an expression should make a non-trivial meaning contribution in a sentence. The complement of oyey is really taken to be an exception in one interpretation, but not in the other. The exceptive pakkey is assumed to be a NPI. It does not require a phrase that a pakkey-phrase is associated with. It can be attached to any type of phrases, including a NP. Attached to a full phrase, it is interpreted as a scalar item. Its core meaning contribution is to remove weaker alternatives from the scalar set locally. For a general interpretation, the other meanings are captured globally. A pakkey-phrase with a demonstrative has a conjunctive meaning, and it can be analyzed like oyey in one of the two interpretations.

  • PDF

한국형 건강 관련 삶의 질 측정도구(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strument with 8-Items)의 심리계량적 내적구조 평가: 국민건강영양조사 8기 1차년도 자료 적용 (Internal Structure of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strument with 8-Items in a Nationally Representative Population)

  • 이은현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359-369
    • /
    • 2023
  •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internal structure (structural validity, internal consistency, and measurement invariance) of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strument with Eight Items (HINT-8), developed to measure Korean people'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Methods: A secondary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volving 6,167 adults aged over 18 years. The structural validity of the HINT-8 was assessed using exploratory graph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ternal consistency and measurement invariance were analyzed using McDonald's omega (ω) and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pectively. Results: The HINT-8 had a single dimension and good internal consistency (ω =.804). The one-dimension HINT-8 exhibited matric invariance but not scalar invariance across sociodemographic groups (sex, age, education, and marital status). Further, it exhibited scalar or partial scalar invariance across medical condition groups (hypertension, diabetes, depressive symptoms, and cancer). Conclusion: The study finds that the HINT-8 demonstrated satisfactory structural validity and internal consistency, indicating its suitability for practice and research. However, the HINT-8 scores cannot be compared across different groups regarding sex, age, education, and marital status, as the interpretation varies within each sociodemographic category. Conversely, interpretation of the HINT-8 is consistent for individuals with and without hypertension, diabetes, depressive symptom, and cancer.

Numerals and Pragmatic Interpretations

  • Yeom, Jae-Il
    • 한국언어정보학회지:언어와정보
    • /
    • 제10권2호
    • /
    • pp.47-65
    • /
    • 2006
  • In this paper I address the problems of defining the semantics of numerals and accounting for how pragmatic inferences are made. I basically assume that a numeral n simply means '${\lambda}P{\lambda}x[#(x)n\;&\;P(x)]$', as commonly assumed. Even when a numeral n has 'at least' interpretation, a sentence with the number does not entail a sentence with n replaced with n-1. But when a sentence with n-1 holds, it is possible that a sentence with n or a larger number holds too. This is not based on a semantic relation, but on pragmatic informativeness. In addition to pragmatic strength, the actual reading of a numeral is affected by some background knowledge of generalizations about the world, but the ordering of pragmatic strength among numbers always plays a role in determining unilateral interpretations. In such a case, we can assume that a set of numbers relevant in the context forms a scale. Forming a scale does not necessarily lead to a unilateral interpretation. The bilateral interpretation of a number is possible in the context where it is known whether or not alternative sentences with contextually salient alternative numbers are true.

  • PDF

Contrastive Topic In Vietnamese

  • Ba, Nguyen Hoai Thu;Lee, Chung-Min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04년도 제16회 한글.언어.인지 한술대회
    • /
    • pp.323-328
    • /
    • 2004
  • The main concern of the paper is to establish a hypothesis in which the form thi is treated as a particular Contrastive Topic marker in Vietnamese sentence structure. We have investigated that the form thican be placed after a topical nominal or verbal to compose a Contrastive Topic phrase. Not only the subjects or objects but predicates in Vietnamese can have a CT interpretation with the marker thi. The thi-phrase not only refers to an entity or event the speaker wants to talk about, but also indicates that there exist contrastive alternatives the speaker wants to talk about. The nature of the contrastive topic decides the nature the alternative set and the choice of the topic of the implicated proposition. When the set of alternatives does not have the characteristic of scale, we have a descriptive opposite implicature. Again, if the contrastive set is a scalar set, we gat a denial-of expectation implicature.

  • PDF

라틴아메리카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양보 접속사구 todavía que의 특성 (The Concessive Conjunctive Phrase todavía que in Some Areas of Latin America)

  • 곽재용
    • 비교문화연구
    • /
    • 제46권
    • /
    • pp.143-171
    • /
    • 2017
  • 본 연구는 라틴아메리카의 일부 지역인 안데스와 리버플레이트 지역에서 양보접속사구로 기능하는 [todavía que]에 대한 형태-통사적 그리고 의미적 특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Real Academia $Espa{\tilde{n}}ola$(2009)에 따르면 부사 todavía는 초점과 관련된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되며 특히 안데스와 리버플레이트 지역에서는 [todavía que]가 양보구문을 형성하며 첨가적 해석을 갖는다고 한다. 케추아어의 접미사 '-raq'과 아이마라어의 접미사 '-raki '는 스페인어의 부사 todavía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이 두 원주민 언어에서는 상기의 접미사가 첨가 초점사의 기능을 수행하지만 스페인어에서는 첨가 초점사로 쓰이는 접미사는 없으므로 이러한 범주적 불일치로 인해 [todavía que]구조에서는 todavía가 부사의 형태로 접속사 que와 함께 첨가 초점사로 사용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형태-통사적 그리고 의미적 특성은 두 원주민어들과 스페인어의 언어접촉 현상에서 비롯된 것으로 주장한다. 또한 이러한 주장에 기초하여 스페인어의 부사 todavía가 어원적으로 전칭양화사와 관련되는 사실과 척도와 관련된 자질을 내포하는 특성에 기인하여 [todavía que]는 척도 첨가의 의미를 갖는 양보의 접속사로 기능한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글로컬라이제이션과 지역발전을 위한 창조적 장소만들기 (Creative Place-making for Regional Development in the Era of Glocalization)

  • 이병민;남기범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421-439
    • /
    • 2016
  • 세계의 경제가 글로컬라이제이션(glocalization)이라는 조건 속에서 변화하면서, 국가의 역할은 축소되고, 도시 및 지역의 공간적 역할이 상대적으로 중요해지고 있으며, 관련하여 장소의 역할에 대해 장소마케팅이나 장소브랜딩 등을 통해 지금까지 많은 논의가 이루어져왔다. 하지만, 결과로서의 마케팅전략보다는 과정과 참여를 중요시하는 광의적 의미의 종합적인 '장소만들기'가 중요하다는 의미에서 본 논문은 문화를 기반으로 하는 지역발전이라는 부분에 집중하여 창조적 장소만들기의 전략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재조명하려고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문화콘텐츠산업을 통한 창조적 장소만들기의 한국과 일본사례의 검증을 통하여, 글로컬라이제이션 시대 장소마케팅과 장소브랜딩, 장소만들기의 융합모델을 제시하고, 가치사슬적 특성을 고려하여 자원의 투입과 과정, 산출 등 각 과정의 특성에 집중할 필요가 있음을 밝혔다. 특히, 문화를 기반으로 장소를 해석하고, 지역공동체에서 삶의 질을 개선시키는 목표를 위해 어떻게 선순환구조를 만들것인가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 PDF

노동아카이브의 형성과 발전방향 모색 성공회대 노동사연구소의 '참여형 아카이브' 시도를 중심으로 (The Establishment of Labor Archive and Its New Development Strategy : An Attempt to Build Participatory Archive of the Institute of Labor History in SKHU)

  • 이종구;이재성
    • 기록학연구
    • /
    • 제41호
    • /
    • pp.175-212
    • /
    • 2014
  • 성공회대 노동사연구소는 2001년 당시 전태일노동자료실의 소장 기록물이 성공회대에 기탁되는 것을 계기로 출범하게 되었다. 이후 문헌자료를 바탕으로 대규모 구술조사 연구사업을 진행하면서 노동아카이브와 노동연구의 바람직한 관계를 형성해 왔다. 하지만 노동기록이 축적되어감에 따라 새롭게 해결되어야 하는 문제들이 발생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노동기록의 생산자(구술증언자)들의 불만족이었다. 기록의 이용자(연구자)들 측면에서도 연구자들이 기록을 고정된 해석의 프레임에 맞추거나, 자신의 해석에 따라 선별적으로 이용한다는 비판이 제기되어 왔다. 인천지역의 동일방직, 반도상사, 대한마이크로 등 노동조합 사례와 구로동맹파업의 사례 등을 통해 살펴보았을 때 기록의 생산과 활용 사이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은 분명하게 드러났다. 70년대 민주노조운동의 당사자들 사이에서도 역사적 기록에 '승리자'로 남는 그룹이 있는 반면에, 부당하게 '실패자'로 낙인찍히는 '중층적 주변화' 현상이 발생해 왔다. 연구자들의 적극적인 개입은 매우 제한적일 뿐이고, 시민과 노동자들 사이에서 이런 '기억투쟁'이 원활하게 해결되어 나갈 방법은 보이지 않는다. 이는 노동아카이브가 지역 속에 뿌리내리지 못하는 하나의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논문은 참여형 노동아카이브의 구축을 통해서 기록 생산과 활용에 대한 대안적인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더 나아가 참여의 이론적인 부분을 보완하여 '로컬리티 기록화' 전략의 구체적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로컬과 로컬리티 연구는 비단 물리적 공간의 문제만이 아니다. 그것은 기억과 정체성, 그리고 사회적 관계를 구성해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중적 스케일'(multi-scalar) 접근 방법을 요청한다. 대안적인 '로컬리티 기록화' 전략은 기존의 노동아카이브가 해결해야 하는 기록 생산과 활용 사이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