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wdust board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1초

합판(合板) 대용(代用) 박판상(薄板狀) 복합재(複閤材) 제조(製造)에 관(關)한 연구(硏究) (II) -최상제조조건(最適製造條件)을 적용(適用)한 구성형태별(構成形態別) 박판상(薄板狀) 복합재(複閤材) 개발(開發)- (Studies on Manufacture of Thin Composite Panel for Substitute Use of Plywood (II) - Development of Thin Composite by Composition Type Applied to Optimum Manufacturing Condition -)

  • 이필우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3권4호
    • /
    • pp.74-84
    • /
    • 1995
  • Eight types of thin composite panels were manufactured by press-lam and mat-forming process applied to optimum manufacturing condition, studied in former first research by author (1995). They were tested and compared with control boards on dimensional stability, internal bond strength, tensile strength, Screw withdrawal strength, and bending properties. These thin composite panels manufactured by mat-forming process were generally superior to those by press-lam in dimensional st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In the dimensional st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in composite panels manufactured by mat-forming process, the thin composite panels (A and E type) composed of particle or sawdust core and veneer face with polyethylene film, were as good as those of common plywood (control board). Internal bond strength showed highest value in the thin composite panel(D type) which composed of particle core and polypropylene screen face with polyethylene film. The thin composite panels(G and H type) composed of sawdust or particle core and polypropylene screen face with polyethylene film by press-lam and mat-forming process, showed most highest value in dimensional stability and water absorption.

  • PDF

톱밥과 왕겨 혼합보드로 제조된 세라믹의 표면 온도 변화 - 수지함침율 및 탄화온도의 영향 - (A Change in Surface Temperature of Ceramics Made from Board Mixed with Sawdust and Rice Husk - Effect of Resin Impregnation Rate and Carbonization Temperature -)

  • 오승원;박희준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8권1호
    • /
    • pp.43-48
    • /
    • 2010
  • 톱밥과 왕겨로 제조된 혼합보드로 세라믹을 제조한 후 수지함침율 및 소성온도에 따른 세라믹의 표면온도를 조사하였다. 경과시간 초기에 표면온도가 급상승 하였으며 수지함침율 60~70%와 소성온도 $1200^{\circ}C$로 제조된 세라믹의 표면온도가 가장 높았다. 히터의 표면온도보다 혼합세라믹의 표면온도 하강속도가 느려 혼합세라믹의 열 보존력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톱밥과 왕겨 및 숯을 이용하여 제조한 보드의 성질 (Properties of Board Manufactured from Sawdust, Ricehusk and Charcoal)

  • HWANG, Jung-Woo;OH, Seung-Wo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1호
    • /
    • pp.61-7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농업부산물인 왕겨와 제재과정에서 발생되는 톱밥에 환경 친화적인 소재인 숯을 첨가하여 왕겨와 숯의 혼합비율 및 밀도별로 보드를 제조한 후 용도개발을 위하여 물리적 성질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왕겨 및 숯의 첨가율 별로 제조된 혼합보드의 수분흡수율과 두께팽윤율은 숯의 첨가율이 증가할수록 완만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또한 혼합보드의 밀도가 증가할수록 수분흡수율은 감소하고 두께팽윤율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혼합보드의 박리강도는 밀도가 0.7g/㎤일 때 0.49N/㎟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KSF 3104 파티클 보드의 품질기준을 만족시켰다. 왕겨 및 숯의 첨가율별로 제조된 혼합보드의 박리강도는 왕겨의 첨가율이 감소하고 숯의 첨가율이 증가할수록 박리강도가 완만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KSF 3104 파티클 보드의 품질기준 왕겨와 숯의 비율이 35:5와 30:10일 때는 15.0형, 25:15와 20:20일 때 13.0형의 품질기준을 만족시켰다. 혼합보드의 밀도가 증가할수록 경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왕겨의 첨가율이 감소하고 숯의 첨가율이 증가할수록 경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플라스틱칩 결체(結締) 톱밥보드의 기계적(機械的) 및 물리적(物理的) 성질(性質)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Mechan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Sawdustboard combined with Plastic Chip)

  • 이필우;서진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5권3호
    • /
    • pp.44-55
    • /
    • 1987
  • In order to study the effect of sawdustboard combined with plastic chips, 0.5mm($T_1$), 1mm($T_2$), 1.4mm($T_3$) thick nylon fiber. polypropylene rope fiber(RP), and 0.23mm thick moth-proof polypropylene net fiber(NP) were cut into 0.5, 1, 2cm long plastic chips. Thereafter, sawdustboard combined with plastic chips prepared as the above and plastic non-combined sawdustboard(control) were manufactured into 3 types of one-, two-, and three layer with 5 or 10% combination level. By the discussions and results at this study, the significant conclusions of mechanical and physical propertie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ORs were shown in the order of 3 layer> 2 layer> 1 layer among plastic non-combined boards, and $T_3$ < $T_2$ < $T_1$ < RP (NP(5%) < NP(l0%) among plastic combined boards. In 2cm long plastic chip in 1 layer board, the highest strength through all the composition was recognized. 1 layer board showing the lower strength with 0.5cm plastic chip rendered to the bending strength improvement by 2 or 3 layer board composition. On the other hand, 2 or 3 layer combined with 1, 2cm long polypropylene net fiber chips incurred MOR's conspicuous decrease requiring optimum plastic chip combined level and consideration to combined type. 2. MOE in plastic non-combined 3 layer board exhibited sandwich construction effect by higher resin content application to surface layer in the order of 3layer>1layer>2layer with the highest stiffness of the board combined with polypropylene chip, while nylon chip-combined board had little difference from plastic non-combined board. In relevant to length and layer effect, 3 layer board combined with the 0.5cm long polypropylene net fiber chip in 5% and 10% combined level presented 34-43% and 44-76% stiffness increase against plastic non-combined board(control), respectively. Moreover, in 1 layer board, 30% stiffness increase with 10% against 5% combined level in the 1 and 2cm long polypropylene net fiber chip was obtained. 3. Stress at proportional limit(Spl) showing the fiber relationship (r: 0.81-0.97) between MOR presented in the order of 1 layer<2 layer<3 layer in plastic non-combined board. Correspondingly, combined effect by layer and plastic chip length was similar to MOR's. 4. Differently from previous properties(MOR, MOE, Spl). work to maximum load(Wml) of 2 layer board approached to that of 3 layer board. Conforming the above phenomenon. 2 layer combined with 0.5cm long polypropylene net fiber chip kept the greater work than 1 layer. The polypropylene combined board superior to nylon -and plastic non - combined board seemed to have greater anti - failing capacity. 5. Internal bond strength(IB), in contrast to MOR's tendency. showed in the order of T1

  • PDF

Formaldehyde Deodorization Effect and Far-Infrared Emission Characteristics of Ceramics Prepared with Sawdust, Risk Husk, and Charcoal: Effect of Material Mixing Ratio

  • HWANG, Jung-Woo;OH, Seung-Wo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2호
    • /
    • pp.104-112
    • /
    • 2022
  • Indoor air quality is a very important environmental factor in modern society. However, air pollutants generated from various interior construction materials significantly affect the human body, including formaldehyde (HCHO)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that threaten public health by deteriorating indoor air quality. Effective in removing these harmful substances are porous materials, such as woodceramics. In this study, charcoal, a porous material, was added to rice husk, an agricultural by-product, and sawdust generated during the sawing process to prepare boards and ceramics at different mixing ratios, and the HCHO deodorization performance and far-infrared emission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As the mixing ratio of charcoal increased, the deodorization rate of the boards and ceramics tended to increase. Overall, the deodorization rate was measured to be 80% to 90%, indicating that the boards and ceramics prepared with charcoal are suitable to be used for the purpose of deodorization. The effect of the material mixing ratio on far-infrared emissivity and emission power was insignificant.

목질(木質)플레이크와 폴리프로필렌망(網)플레이크 구성(構成)이 톱밥보오드의 팽창성(膨脹性)과 휨성질(性質)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Combining Wood Flakes and Polypropylene-net Flakes on Thickness Swelling and Bending Properties of Sawdust Board)

  • 이필우;엄영근;오세창;정인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7권2호
    • /
    • pp.252-257
    • /
    • 1988
  • 목질(木質)플레이크 및 P.P망(網)플레이크를 톱밥보오드에 혼합하여 그 효과를 보고자 크기를 $1{\times}1cm^2$, $1.5{\times}1.5cm^2$, $1{\times}2cm^2$로 절단하고, 혼합량을 1%, 2%, 3%, 4%로하여 보오드를 제조(製造)하여 그 물리적(物理的) 및 기계적(機械的) 특성(特性)을 조사고찰(調査考察)한 바, 그 결론(結論)을 간단히 지으면 다음과 같다. 1) 플레이크를 혼합한 톱밥보오드의 두께 팽창율(膨脹率)은 혼합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減少)하였고 P.P망(網)플레이크를 혼합한 경우에도 같은 양상을 보여주었다. 2) 휨파괴계수(破壞係數)는 플레이크 및 P.P망(網)플레이크의 혼합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플레이크 크기가 $1{\times}2cm^2$인 경우 모두 대조보오드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P.P망(網)플레이크의 경우에는 $1.5{\times}1.5cm^2$ 크기일때 대조보오드보다 모두 높은 휨파괴계수치(破壞係數値)를 보였다. 3) 플레이크 혼합비가 증가함에 따라 휨탄성계수(彈性係數)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으며, 이러한 경향은 P.P망(網)플레이크를 혼합한 경우에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P.P망(網)플레이크의 경우 망(網)플레이크의 면적이 커짐에 따라 휨탄성계수(彈性係數)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4) 플레이크를 혼합한 보오드의 경우, 그 물리적(物理的), 기계적(機械的) 성질(性質)에 관여하는 주인자는 형상(形狀)으로 나타났으며, aspect ratio가 커짐에 따라 보오드의 성질(性質)이 향상되었다. P.P망(網)플레이크를 혼합한 보오드의 경우 주인자는 망(網)플레이크의 단면적으로, 단면적이 클수록 보오드의 성질(性質)을 개선(改善)시킬 수 있었다.

  • PDF

톱밥-귤박 파티클보드의 역학적 성능에 미치는 밀도와 귤박첨가율의 영향 (Effect of Density and Mixing Ratio of Mandarin Peels on The Bending Performance of Sawdust-Mandarin Peels Particleboards)

  • ;강춘원;오승원;황정우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3호
    • /
    • pp.364-373
    • /
    • 2015
  • 본 연구는 밀도와 귤박첨가율이 다른 톱밥-귤박 파티클보드의 동적 정적탄성계수와 휨강도를 측정, 비교하여 밀도와 귤박의 첨가율이 파티클보드의 역학적 성능에 주는 영향과 동적탄성계수와 정적 휨강도 성능사이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톱밥-귤박 파티클보드의 밀도가 0.4에서 $0.6g/cm^3$로 증가할수록 휨성능은 증가하여, 밀도가 휨성능에 크게 영향하였으며, 밀도 $0.4g/cm^3$$0.5g/cm^3$의 톱밥-귤박 파티클보드에서 귤박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휨성능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톱밥-귤박 파티클보드의 동적탄성계수, 정적탄성계수 그리고 휨강도 사이에 높은 상관관계가 확인되었으며 양단 자유 휨진동시험에 의한 동적탄성계수로부터 비파괴적으로 정적 휨강도 성능의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목재(木材)파이티클과 플라스틱(폴리프로필렌) 망(網)의 결체(結締) 보오드의 물리(物理) 및 기술적(機械的) 성질(性質)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Combining Wood Particles and Plastic(Polypropylene) Screen on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Board)

  • 이필우;박헌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6권1호
    • /
    • pp.21-44
    • /
    • 1988
  • 팔만칩 및 톱밥을 보오드에 활용(活用)하기 위한 방안(方案)의 하나로, 이들의 취약한 처리(物理) 및 기계적(機械的) 성질(性質)을 개선(改善)시키기 위하여 비목질재료(非木質材料)인 폴리프로필렌망(網)을 결체(結締)하여 보오드를 제조(製造)하였다. 보오드의 제조조건(製造條件)은 비중(比重)을 0.40, 0.55, 0.70 및 0.85의 4수준으로 하고 수지첨가율(樹脂添加率)을 8%, 10%, 12% 및 14%의 4수준으로 하였으며, 망수(網數)는 1장에서 4장으로 하여 보오드를 각각 제조(製造)하였다. 이들 보오드의 물리(物理) 및 기계적(機械的) 성질(性質)은 두께팽창율(膨脹率), 휨파괴계수(破壞係數), 휨탄성계수(彈性係數), 인장강도(引張强度), 박리저항(剝離抵抗) 및 나사못보지력(保持力) 등을 측정조사(測定調査)하고 고찰(考察)하였는데 본연구(本硏究)에서 얻은 중요한 결론(結論)은 다음과 같다. 1) 지수첨가율(指數添加率)이 증가함에 따라 두께팽창율(膨脹率)은 감소(減少)하였고, press-lam 보오드는 일반성형(一般成形)보오드 보다 낮은 값을 보여 주었다. 2) 보오드의 휨파괴계수(破壞係數) 및 탄성계수(彈性系數)는 비중(比重)이 증가하였으며 press-lam 보오 드는 일반적형(一般的形)보오드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망수(網數)가 증가함에 따라 휨파괴계수(破壞係數)는 증가하였고, 수지첨가율(樹脂添加率)이 증가함에 따라서도 같은 양상이 나타났으나 휨탄성계수(彈性係數)의 경우 망수(網數)에 따른 효과(效果)는 나타나지 아니하였다. 3) 비중(比重)이 증가함에 따라 보오드의 인장강도(引張强度)는 증가하였으며, 망구성(網構成)보오드는 대조보오드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또 망수(網數)가 증가함에 따라서도 인장강도(引張强度)는 증가하였으며, press-lam 보오드는 일반적형(一般的形)보오드보다 높은 인장강도치(引張强度値)를 보여 주었다. 4) 보오드의 박리저항(剝離抵抗)은 비중(比重)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망(網)을 결체(結締)한 보오드는 대조보오드 보다 모두 낮은 값을 보여 주었다. 기수매구성(奇數枚構成)보오드는 우수매구성(偶數枚構成)보오드보다 낮은 박리저항치(剝離抵抗値)를 보였다. 5) 수지첨가율(樹脂添加率) 및 비중(比重)이 증가함에 따라 나사못 보지력(保持力)은 증가하였으나, 망구성(網構成)보오드와 대조보오드사이에서의 차이는 크지 아니하였다. presslam 보오드에서 팔만칩보오드의 경우 고비중(高比重)보오드가, 톱밥보오드의 경우 저비중(低比重)보오드가 각각 대조보오드보다 높은 값을 보여 주었다.

  • PDF

톱밥과 왕겨로 제조된 세라믹의 전기적 성질과 원적외선 방사특성 (Electrical Properties and Far-infrared Ray Emission of Ceramics Manufactured with Sawdust and Rice Husk)

  • 오승원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1호
    • /
    • pp.106-112
    • /
    • 2016
  • 농림 부산물인 톱밥과 왕겨를 이용하여 세라믹을 제조하고 페놀수지 함침율과 탄화 온도에 따른 전기적 성질 및 원적외선 방사특성을 조사하였다. 원적외선 방사율과 방사 에너지 값은 탄화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수지함침율 60%, 탄화온도 $600^{\circ}C$일 때 원적외선 방사율은 0.930, 방사에너지는 $4.32{\times}10w/m^2$로 가장 높았다. 전기저항 값은 탄화온도가 증가함에 띠라 감소하여 $1200^{\circ}C$ 이상에서는 거의 도체에 가까운 성질을 보였다. 소비전력은 수지함침율이 높을수록 전기저항의 감소와 전류의 증가로 함께 증가하였다.

합판대용(合板代用) 박판상(薄板狀) 복합재(複合材) 제조(製造)에 관(關)한 연구(硏究) (I) - 복합재(複合材) 제조(製造)의 최적조건(最適條件)에 관(關)하여 - (Studies on Manufacture of Thin Composite Panel for Substitute Use of Plywood (I) - On the Optimum Manufacturing Condition of Composites -)

  • 이필우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3권2호
    • /
    • pp.55-69
    • /
    • 1995
  •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optimum manufacturing condition of thin composite panels composed of sawdust, polyethylene film and polypropylene net. At the study the experiment was designed to make thin board in which sawdust offers effectiveness as core composing material, polyethylene as adhesive with added urea resin, and polypropylene as stiffness and flexibility in the composition panel. 100 types of thin composite panels were manufactured according to press-lam and mat-forming process of various hot pressing conditions(pressure, temperature and time). They were tested and compared with control boards on bending properties(MOR, MOE, SPL, WML), internal bond strength, thickness swelling, linear expansion and water absorption. At the same time the visual inspections of each types of panels were accomplished.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composite types passed by visual inspection were analyzed by Tukey's studentized range test. From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optimum manufacturing condition of thin composite panels were selected. Compared with two manufacturing processes, mat-forming process performed better than press-lam process in all tested properties. The optimum manufacturing conditions resulted from the experiment and statistical analysis were able to determine as following: the press temperature was shown the most good result at 130$^{\circ}C$ in mat forming process and 140$^{\circ}C$ press lam process, the press time 4 min in both processes, but the press pressure was 25-10kg/$cm^2$ in mat forming and 15k/$cm^2$ press lam proces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