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w dust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3초

Aspergillus phoenicis 및 candida utilis의 혼합배양에 의한 섬유소로부터의 단백질 생산 (Protein Production from Cellulosic Wastes by Mixed Culture of A. phoenices and C. utilis)

  • 이영녹;박경량;이주실;배광성;백대홍
    • 미생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4-22
    • /
    • 1981
  • Protein content of cellulosic wastes, such as spent grain, hop bark, spent rye, rice straw, rice hull, saw dust and used newspaper, was increased by a mixed culture of C. utilis wastes having 66-75% moisture. Among the fungal strains tested. A.phoenicis KU175 was the most powerful to increase the protein content of A. phoenicis during the mixed culture with C. utilis in the CMC medium reached at the peak for one day culture after inoculation of the both strains at the same time, while it reached at peark from the beginning of the mixed culture, when A. phoenicis was inocultated for 12-24hours prior to the inoculation of C.utilis. To increase the protein content of the cellulosic wastes by the mixed culture of C.utilis and A.phoenicis, the inoculation of both strains at the same time was more effective than the preinoculation of A. phoenicis for 6-24 hours. Content of crude cellulose in the used newspaper, saw dust and spent grain was high relatively, and the lignin content of spent grain, spent rye, and rice strew was reduced more than half by the treatment of 2% NaOH. However, effect of alkali treatment of increase the protein content of the cellulosic wastes was not prominent in the case of mixed culture. Protein content of the cellulosic wastes was increased prominently by the mixed culture of C.utilis and A.phoenicis in semi-solid substrate, compared with the single culture of C. utilis, although the latter increased the protein content of cellulosic wastes considerably. The effect of mixed culture of C. utilis and A. phoenicis increased 4-fold the protein content of spent grain, and more than doubled crude protein in hop bark and rice straw.

  • PDF

한국석면운동의 지식 정치: 먼지 분석법과 석면오염 측정 논란을 중심으로 (Politics of Knowledge of Asbestos Activism in South Korea: Settled Dust Analysis and the Controversies over Asbestos Pollution Measurement)

  • 강연실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8권1호
    • /
    • pp.129-175
    • /
    • 2018
  • 이 논문은 한국석면운동의 지식 정치적 측면을 검토한다. 2008년 본격적으로 시작된 석면운동은 석면오염을 한국 사회의 중요한 안전보건의제로 만드는 데 앞장서 왔다. 석면오염 측정은 특히 석면오염이 광범위하고 심각한 환경보건문제라는 주요 주장을 펼치는 데 매우 중요했다. 이 활동의 특징은 공정시험방법이 아닌 '먼지 분석법'을 활용했다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석면운동가들의 오염 조사 보고서와 삼성 본관 주변 석면오염 논란을 통해 먼지 분석법이 대항 지식으로서 권력을 획득하는 과정을 분석한다. 석면운동가들은 먼지 분석으로 얻은 측정 데이터를 활용해 그들의 주장에 언론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정책적 변화에 필요한 자원을 동원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규제기관을 중심으로 한 전문가 집단은 먼지 분석법이 신뢰할 수 있는 석면오염 측정방법이라는 석면운동가들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론을 내리는 데 측정 과정에서 표준적 방법의 사용 여부와 측정 데이터의 해석적 맥락이 중요한 기준으로 작용하였다. 먼지 분석법의 권위는 부분적으로 획득되었다. 그러나 먼지 분석법은 규제과학이 내포하는 가정들을 드러내고 사회적 토론의 대상으로 전환시켰다는 점에서, 사회 운동과 과학을 결합하여 규제기관과 전문가 집단의 측정에 도전한 석면운동의 특성을 잘 보여준다.

Study on Rate-Limiting Factors with a Heavy Loaded Biofilter

  • Son, Hyun-Ke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23권E2호
    • /
    • pp.74-81
    • /
    • 2007
  • Feasibility test for a biofilter was performed to treat VOCs. The applied loading rate to the biofilter was calculated between 60 to $3,700\;kg\;COD/m^3$. Trimethyl-pentene and trimethyl-hexene were the two most dominant compounds and they occupy about 85 percent. During the acclimation period, it is desirable for a biofilter to receive relatively lower VOCs concentration and flow rate, until it can adjust to new substrate and operational environment. Temperature at various points inside the biofilter reactor was observed with more than 23 temperature sensors. With steam heating, temperatures of the top sections of the media were greater than those of bottom sections. Without steam heating, intermediate stages generally had higher temperature measurement than those of bottom and top stages. Because the pH values for different biofilter materials vary significantly, measurement of the pH for the mixture of different combinations of biofilter materials is necessary. Based on the types and brands of media, the measured pH ranged from 5.38 to 9.10. The range of measured pH of different mixtures with perlite, compost, saw dust, peat moss, limestone, vermiculite was 7.05 to 8.62.

Acceleration of Mounting in Self Mounting Method and Its Effect on Cocooning, Cocoon Characters and Reeling Parameters in Silkworm Bombyx mori L.

  • Himantharaj, M.T.;Das, Kakali;Kumari, K.M.Vijaya;Rajan, R.K.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4권1호
    • /
    • pp.19-22
    • /
    • 2002
  • Rotary mountages are the best mountages among all the mountages that are used in sericultural areas. But to use this mountage more space, separate mounting hall & requires more labour to pickup the matured worms. to over come these problems, self mounting method is adopted to save the time Er labour, But the mounting rate is generally less. To accelerate the mounting rate different repellents viz; saw dust, phytoecdysone, 1% cresol with paddy husk, lime, kaolin, gormalin chaff were used in the present study. The results indicated that highest number of larvae climbed the mountage in 1% cresol with paddy husk, followed by phytoecdysone and lime. It is observed that the use of repellents at wandering stage accilerates mounting rate and did not affect the quality of the cocoons and reeling characters.

Maturity Evaluation of Pig Manure Compost by Constituents of Organic Matter Influenced by Microbial Activity

  • Shin, Wan-Sik;Chung, Doug-Young;Chang, Ki-woon;Lee, Kyu-Seung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3권3호
    • /
    • pp.165-169
    • /
    • 2000
  • Regarding to maturity evaluation of pig manure compost mixed with saw dust, change of constituents of organic matter influenced by microbial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Throughout the two stages of active composting period, we obtained a lot of data related to compost stabilization. However, we found out that only a couple of parameters could be used for adequate evaluation of compost. We, therefore, decided that total sugar and reducing sugar could be used for the reasonable standard criteria of maturity during composting process, even though some enzyme activities by phosphates and cellulase reactions were obtained and compared. Because the other parameters such as contents of lignin, cellulose, and organic acids were difficult to be used for maturity evaluation of pig manure compost.

  • PDF

고온 단열벽돌의 열전도성에 미치는 미세구조의 영향 (Microstructural Effects Influencing the Thermal Conductivity of High-Temeprature Insulation Firebricks)

  • 장복기;임재봉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729-734
    • /
    • 1990
  • The microstructural dependence of thermal conductivity of a high-alumina (ca. 70%) heat-insulating frebricks(ca. 75%porosity) was investigated under special consideration of the tailored-pore shape effects. Pores different shape could be incorporated into the insulators through pore formers : Styrofoam produces spherical pores while saw dust results in parallel plate pores. Concerning the pore-shape effectiveness of thermal insulation, the specimen with irregular plate pores showed much lower values of heat conductivity than those with spherical pores, the values being 0.31 to 0.38 at $600^{\circ}C$ and 0.35 to 0.47 at 100$0^{\circ}C$, respectively. On the contrary, however, other material properties such as strength and softening temeprature under load were turned out to be better in the case of the spherical pores.

  • PDF

전분박을 이용한 돈분발효퇴비의 시용이 감자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ig Manure Composting Using Starch Pulp Treating on Growth and Yield Characteristics of Potato Cropping)

  • 강봉균;현해남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75-86
    • /
    • 2002
  • 농산폐기물인 전분박을 톱밥대용 부자재로 사용하여 제조된 전분박을 이용한 퇴비를 감자재배에 적용시켜 지상부생육 및 괴경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전분박 발효퇴비는 돈분과 톱밥 및 탈수 전분박(수분 65%내외)을 일정한 비율로 배합하여 퇴적송풍식으로 조제된 것으로 전분박 발효퇴비의 처리내용은 대조구(퇴비 무비구), 1 : 1 : 0 처리구(돈분 : 톱밥 : 전분박의 혼합비), 1 : 0,75 : 0.25 처리구 및 1 : 0.5 : 0.5 처리구 4수준으로 수행하였다. 초장은 생육초기에는 톱밥혼합 돈분발효퇴비와 전분박혼합 돈분발효퇴비가 화학비료 단용처리구에 비해 컸으나, 생육중반이후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경직경 및 지상부건물중은 퇴비시용구가 무비구에 비해 양호한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총괄괴경수는 1 : 0.5 : 0.5 처리구가 가장 많았으며, 1 : 1 : 0 처리구, 1 : 0.75 : 0.25 처리구는 비슷하였다. 80g 미만의 괴경수량은 각 처리간에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으나 81-120g 및 120g이상의 괴경수량은 무비구에 비해 퇴비처리구가 현저히 높았다. 상서율도 전분박 1 : 0.75 : 0.25 및 1 : 0.5 : 0.5 처리구에서 86%내외로 높게 나타났다. 더뎅이병 이병율 및 발병도는 전분박이 많이 혼합된 1 : 0.5 : 0.5 처리구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그러나 앞으로 전분박을 흔합하여 돈분발효퇴비를 제조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으로 더뎅이병 이병을 및 발병도를 가장 고려해야 될 것으로 생각된다. 엽중 N, P, K, Ca 등의 함량은 무처리에 비해 퇴비처리구가 많았으며 처리구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 결과적으로 전분박을 혼합하여 제조한 퇴비가 감자 생육에 미치는 영향은 톱밥혼합퇴비에 비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 PDF

젖소분뇨로부터 최대 바이오가스 생산과 유기물 제거효율을 달성하기 위한 반건식 간헐주입 연속혼합 혐기성반응조의 최적 수리학적 체류시간 도출을 위한 연구 (Assessment of Optimum Hydraulic Retention Time (HRT) for Maximum Biogas Production and Total Volatile Solid (TVS) Removal Efficiency of Semi-Continuously Fed and Mixed Reactor (SCFMR) Fed with Dairy Cow Manure)

  • 강호;김선우;정지현;안희권;정광화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7권12호
    • /
    • pp.696-704
    • /
    • 2015
  • 본 논문은 톱밥 깔개 젖소분뇨 TS 13%를 반건식 간헐주입 연속혼합 반응조(Semi-Continuously Fed and Mixed Reactor, SCFMR)에 주입하여 신재생에너지인 바이오가스의 생산성과 TVS 제거효율을 비교 평가하여 최적 운전조건을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톱밥 깔개 젖소분뇨 주입 TS 13%의 반건식 SCFMR의 운전결과 HRT 25일(OLR $4.40{\sim}4.50kg\;VS/m^3-day$)에서 최대 바이오가스 발생량 1.44 v/v-d와 $CH_4$ 발생량 1.12 v/v-d를 달성하였으며, 이 때 TVS 제거효율은 바이오가스 발생량 기준 37%이었다. 이는 톱밥 깔개 젖소분뇨 1일 100 kg 주입 시 $3.60m^3$의 바이오가스를 생산하는 결과이다. 높은 유기물 부하율인 OLR $4.45kg\;VS/m^3-day$(HRT 25일)에서 SCFMR의 운전이 안정적인 이유는 주입시료인 톱밥 깔개 젖소분뇨가 갖고 있는 높은 Alkalinity 농도 때문이다. 그 결과 반응조의 Alkalinity는 14,500~15,600 mg/L as $CaCO_3$ 범위이었으며, 반응조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V/A 비는 평균 0.11, P/A 비는 평균 0.43을 유지하였다.

우분뇨 유래 젖소 유방염 저감을 위한 자외선 조사 살균의 효과 규명 (Bacteriocidal Effects of Ultraviolet Irradiation for Reducing Bovine Mastitis Derived from Environmental Contamination)

  • 김동혁;임정주;이진주;장홍희;장동일;이승주;이후장;민원기;권순홍;김상훈;오권영;김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35-440
    • /
    • 2008
  • E. coli, S. agalactiae, S. aureus는 젖소의 유방염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균들이다. 이 균들은 분변 혹은 우유에 존재하며, 감염되지 않은 다른 개체로의 감염을 유발한다. 자외선은 소독제로서 이미 산업계 및 의료계에서 쓰레기 및 물의 살균에 사용되고 있으므로, 자외선을 이용하여 젖소의 유방염 확산을 방지하는 것의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분변의 함수율은 젖소 유방염 유발균의 증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144시간 이상의 장시간 생존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자외선의 조사 시, 조사하는 동안 우분뇨 및 톱밥을 교반하는 것이 교반하지 않는 것보다 균의 증식을 억압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자외선의 살균력은 함수율이 낮을수록, 조사시간이 길수록, 조사거리가 짧을수록 더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실험을 통해 얻은 함수율, 조사시간, 조사거리, 교반 여부에 대한 결과는 환경 유래, 특히 우분뇨 유래 젖소 유방염의 감염을 예방하고자 할 때 자외선 살균기의 적용이 가능할 것이며, 현장에 적용할 살균기의 제작에 중요한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것이다.

우분(牛糞)의 유기질비료화(有機質肥料化) 연구(硏究) -II. 속성부숙방법(速成腐熟方法) (Development of Organic Fertilizer based on the Cow Dung -II. Studies on Rapid Fermentation)

  • 임동규;문윤호;신제성;우기대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92-199
    • /
    • 1991
  • 우분(牛糞)을 양질(良質)의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로 제조(製造) 하는데 필수적(必須的)인 속성퇴비제조기술(速成堆肥製造技術)을 개발(開發)하기 위해 3년간(年間)('88~'90년(年)) 우분단독(牛糞單獨)과 우분(牛糞)에 충진제(充嗔劑)(볏짚, 나무껍질, 나무껍질, 톱밥)를 각각(各各) 1:2 부피비로 혼합(混合)한 처리구(處理區)들을 야외(野外)에 퇴적(堆積)한 후(後) 공기흡입장치(空氣吸入裝置)를 이용(利用) 호기적(好氣的) 발효조건(醱酵條件)으로 부숙(腐熟) 시킨후(後) 비닐하우스내(內)에서 후숙시험(後熟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부숙기간중(腐熟其間中)(20일간(日間)) 부숙온도(腐熟溫度)는 퇴적후(堆積後) 7~9일(日)에 최고(最高)에 이르렀고 온도상승(溫度上昇) 효과면에서는 '88~'89년(年) 우분(牛糞)+나무껍질구(區) 혹은 우분(牛糞)+나무조각구(區) 및 우분(牛糞)+볏짚구(區)가 우분단독구(牛糞單獨區) 또는 우분(牛糞)+톱밥구(區)에 비해 높았다. 2. 후숙기간중(後熟其間中)(20일간(日間)) 퇴적내(堆積內) 온도(溫度)는 '90년도(年度) 우분구(牛糞區)를 제외(除外)한 각(各) 처리구(處理구)에서 $40^{\circ}C$ 이상(以上) 유지(維持)되었다. 3. 부숙기간중(腐熟其間中) 시료(試料)의 T-C 및 C/N율(率)은 중기(中期)에 높았다가 후기(後期)로 갈수록 낮아졌다. 4. 후숙기간중(後熟其間中) 시료(試料)의 T-N은 전반적(全般的)으로 일정(一定)한 경향(傾向)이 없었으나 T-C 및 C/N율(率)은 부숙기간(腐熟其間)과 동일(同一)한 경향(傾向)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