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turated faty acid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초

유통되고 있는 삶은 고래고기의 안정성 연구 (A Study on Lipids Oxidation Boiled Whale Meat’s in Process of Circulation Market)

  • 최민경;김경옥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3-41
    • /
    • 2004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in process of circulation market boiled whale meat's rancidity. oxidative rancidity is oil or fat food depend on oxygen in air oxidative change in quality. boiled whale meat faty come to oxidative rancidity food stability and hygiene reasons for people health poisonous point out, however it is not indication study of support. Accordingly confirm lead into circulation process boiled whale meat's rancidity examination and microorganism examination boiled whale meat's stability whether or not. The result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Proximate percentage of boiled whale meat(pectoral, pelvic, fin, flank) of moisture and crude lipid and crude protein from samples shown to be : moisture was pectoral 16.4%, pelvic 36.2%, fin 46.2%, flank 19.2%, crude lipid was pectoral 54.1%, pelvic 42.8%, fin 15.8%, flank 40.6%,crude protein was pectoral 29.4%, pelvic 20.5%, fin 29.5%, flank 28.6%. 2.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total lipid were composed of pectoral 27.2%, pelvic 28.9%, fin 33.3%, flank 23.4% of oleic acid and pectoral 12.7%, pelvic 11.1%, fin 11.3%, flank 14.0% of palmitic acid pectoral 10.8%, pelvic 7.9%, fin 7.6%, flank 2.1% of docosahexaenoic acid, pectoral 14.2%, pelvic 7.5%, fin 1.9%, flank 7.2% of eicosenoic acid, pectoral 5.1%, pelvic 5.7%, fin 4.4%, flank 5.7% of myristic acid, 16: 0 11∼14 % of high saturated fatty acid. generally most of 18: 1ω9 of boiled whale meat's each portion, 22:6 7∼12%, 20:5 1∼14% of polyenoic fatty acid. 18:3 showen to be 1% make an expection of pectoral and fin portion the total lipid were most of netural lipid's about 90%, monoenic fatty acid were most of 19∼22% of saturated fatty acid, 77∼80% of monoenic fatty acid level of 47∼56% of 18:1 16:1 was markelly high to those of total lipid. 3. The storage number days variation of oxidation were shown to be by stages process favorably the past days of boiled whale meat's acid value for 5days. pectoral the day 0.1, five days 1.3, pelvic the day 0.1, five days 1.6, fin the day 0.3, five days 0.7, flank the day 0.2, five days 0.4. 4. The sealer and wrapper the storage number days variation of boiled whale meat oxidation for 7days were shown to be a stage of sealing, the temperature of a room, pectoral the day 0.1 seven days 0.6, pelvic the day 0.1, seven days 1.3, fin.

  • PDF

메밀의 생리활성 물질에 대한 여러 가지 비료의 효과 (The Effect of Several Fertilizers on Physiological Active Compounds of Buckwheat(Fagopyrum esculentum Moench))

  • 박인진;황태익;김희권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40-445
    • /
    • 1999
  • 메밀의 지방산 및 페놀화합물 생합성과 tyrosinase 저해 활성에 대한 몇가지 비료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 메밀 식물체중의 지방산 함량은 곡류중의 지방산 함량 보다 작으며 메밀 식물체와 곡류중의 지방산은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불포화지방산이 포화지방산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메밀중의 페놀화합물은 $682.6{\sim}1822.0mg\;kg^{-1}$이며 석회 시용구의 메밀중 페놀화합물이 $1822.0mg\;kg^{-1}$로 다른 비료 시용구보다 높았다. 한편 석회가 시용된 메밀 곡류중의 sediment c의 tyrosinase 저해활성은 92.8%로 같은 처리내의 sediment c의 compound A, B, C 보다 높았다. 그러나 붕사가 처리된 메밀 곡류중의 compound C의 tyrosinase의 저해활성은 80.9%로 같은 처리구 내의 sediment나 다른 compound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벼의 관수기간 및 수질이 단백질, 지방산조성 및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verhead Flooding Stress on Protein Profiles, Fatty Acid Composition, and Lipid Peroxidation in Rice)

  • 이상각;이병모;강병화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15-220
    • /
    • 2001
  • 본 연구는 혀의 분얼최성기의 관수스트레스 시 탁도(청수, 반탁수, 탁수) 및 관수시간에 따라 반응하는 단백질, 지방산 조성 및 지질과산화(malodialdehyde)를 정량하여 관수에 따른 생육장해 및 그 작용기작을 구명하여, 관수에 따른 생화학적 대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관수스트레스에 의해 가용성단백질은 약 20%가 감소하였다. 특히 탁도가 높고 관수시간이 경과할수록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관수 36시간부터 감소량이 크게 나타났다. 단백질 전기영 동패턴은 관수스트레스에 따라 생성이나 소멸한 펩타이드는 없었으나 약 53Kd부위의 폴리펩타이드는 관수초기부터 함량이 증가하였고, 약 28Kd는 48시간, 54시간에서만 함량이 증가하였다. 관수스트레스에 의한 지질의 과산화정도는 약 150%가 증가하였고, 탁도처리에서 청수와 반탁수간의 차이는 작은 경향이었지만, 관수 60시간에서 약 160-180%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탁수에서는 관수초기부터 malondialdehyde함량이 높았고, 36시간이후부터는 약 190-200%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Catalase는 탁도가 높고 처리시간이 경과할수록 활성은 급격히 증가하였다. 관수 48시간을 기준으로 catalase 활성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지방산조성의 변화는 포화지방산의 조성비율은 증가하고 불포화지방산은 감소하였다. 특히 불포화지방산 중 monounsaturated은 증가하였고 polyunsaturated의 상대적인 조성비율은 감소하였다. Double bond index는 탁도가 높을수록 관수기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폭은 커서 불포화정도가 떨어짐을 나타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