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turated fatty acid content

검색결과 518건 처리시간 0.035초

저장중(貯藏中) 참깨의 결합형태별(結合形態別) 지질(脂質)의 지방산(脂肪酸) 조성변화(組成變化) (Changes in Fatty Acid Compositions of Sesame Seed Lipid Fractions during Storage)

  • 최상도;조무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6권4호
    • /
    • pp.261-265
    • /
    • 1983
  • steryl ester구성지방산(構成脂肪酸)으로서 plamitic acid와 stearic acid는 모든 저장조건(貯藏條件)에서 감소(減少)하였고 linoleic acid는 증가(增加)하였다. 또한 $C_{18}$/$C_{16}$지방산비(脂肪酸比)는 통기저장(通氣貯藏)이 밀봉저장(密封貯藏)보다 전(全) 저장기간(貯藏期間)에서 높았다. triglyceride의 구성지방산(構成脂肪酸)으로서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는 모든 저장조건(貯藏條件)에서 저장(貯藏) 9개월(個月)까지는 감소(減少)하였다가 9개월(個月) 이후(以後)에는 증가(增加)하였다. oleic acid와 linoleic acid는 저장(貯藏) 9개월(個月)까지는 증가(增加)하였다가 그 이후(以後)에는 다시 감소(減少)하였다. 또한 $C_{18}$/$C_{16}$지방산비(脂肪酸比)와 불포화도비(不飽和度比)는 통기저장(通氣貯藏) 밀봉저장(密封貯藏)보다 높은 경향(傾向)이었다. free fatty acid 구성지방산(構成脂肪酸)으로서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는 저장(貯藏) 9개월(個月)까지는 감소(減少)하였다가 그 이후(以後)부터는 증가(增加))하였다. 그러나 oleci acid와 linoleic acid는 저장(貯藏) 9개월(個月)까지는 감소(減少)하였다가 그 이후(以後)부터는 다시증가(增加))하였다. 한편 불포화도비(不飽和度比)는 통기저장(通氣貯藏)이 밀봉저장(密封貯藏)보다 높았다.

  • PDF

전남 여수 돌산지역에서 재배되는 천년초의 부위별 식품성분 분석 (Food Components of Different Parts of Cheonnyuncho (Opuntia humifusa) Harvested from Yeosu, Jeonnam in Korea)

  • 정복미;한경아;신태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9호
    • /
    • pp.1271-1278
    • /
    • 2011
  • 천년초의 부위별 영양성분을 알아보고자 전남 여수시 돌산읍의 라파엘 농장에서 재배되고 있는 천년초의 열매, 줄기, 꽃을 동결건조한 후 분석하였다. 일반성분 중 조 단백함량은 꽃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조 지방 함량은 열매, 조 회분은 줄기, 조 섬유는 열매와 줄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무기질 함량 중 칼슘, 칼륨, 마그네슘, 나트륨, 망간은 줄기, 철분과 아연은 열매와 꽃, 구리는 꽃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구성 아미노산의 경우 열매는 prolin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eucine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줄기는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eucine, lysine 순으로 높았고, 꽃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eucine, lysine 순으로 높았으며, 아미노산의 총 함량은 꽃, 줄기, 열매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천년초의 주된 포화지방산은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 단일 불포화지방산은 oleic acid와 palmitoleic acid, 다 불포화지방산은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로 나타났다. 유리당의 주된 성분은 sucrose, fructose, glucose였으며, 당 함량은 열매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꽃, 줄기 순으로 나타났다. 천년초의 주된 유기산으로는 malic acid와 citric acid로 나타났으며, 유기산 총 함량은 열매, 꽃, 줄기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비타민 A의 함량은 꽃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비타민 C의 함량은 열매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지금까지 천년초의 가공제품은 주로 열매를 이용하였으나 줄기와 꽃에도 영양성분이 풍부하므로 앞으로는 줄기와 꽃을 이용하여 가공제품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굴비의 지방산 조성과 지방산화에 마늘과 양파즙이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rlic and Onion Juice on Fatty Acid Compositions and Lipid Oxidation in Gulbi (salted and semi-dried Yellow croaker))

  • 신미진;김정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8호
    • /
    • pp.1337-1342
    • /
    • 2004
  • 현재 대부분의 굴비는 마른간법을 이용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마른간법은 제조 과정인 섞기에 있어서 조기의 상처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품질이 균일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물간법을 이용하여 굴비를 가공할 때 상승효과를 위해서 10% 양파즙, 10% 마늘즙, 또는 양파즙과 마늘즙을 동량혼합한 것을 10% 첨가하고 12일간 상온에서 저장하면서 TVB-N, TBARS, TMA, 총균수변화를 관찰하였다. 분석 결과 마늘과 양파 혼합즙액으로 처리한 제품에서의 TVB-N 값은 88.2 mg/100 g, TMA와 TBARS는 각각 14.13 mg/100 g과 3.1$\mu$mol/kg으로 여러 처리구 중 가장 낮은 값을 보여주었다. 굴비의 지방산 조성은 30일간 저 장하면서 생조기, 염장조기, 마늘과 양파 혼합즙액을 처리한 염장조기에 대하여 지방산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생조기와 굴비 모두 포화지방산의 비율은 32∼35%로 나타났으며, 포화지방산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palmitic acid로 21∼23%였다. 불포화지방산 중 이중결합이 1개인 monoenes의 비율은 39∼45%범위로 oleic acid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다가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생조기는 14%였으나 5일 건조한 것은 15∼19%로 나타났다. 저장 30일째 $\omega$-3계 지방산인 docosahexaenoic acid, eicosapentaenoic acid에 있어서 염장 않은 굴비는 7.37%와 3.71%를 보여 주었으나, 물간법에 의한 굴비는 9.46%와4.08%, 마늘 양파 혼합즙액이 함유된 물간법으로 제조된 굴비에서는 9.91%와 4.25%로 높게 나타났다.

중년여성의 평상 식이 지방산이 체지방 함량 및 혈중 지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gular Dietary Fatty Acids on Body Fat Content and Blood Lipid Concentration in Middle-aged Korean Women)

  • 주은정;손희숙;차연수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59-68
    • /
    • 1996
  • The present study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interrelationship among their regular dietary fatty acid intake, body fat content(BFC), and plasma lipid fractions(PLF) of middle-aged Korean women. Forty-nine women (age 30 to 49)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which the aim was to determine their total nutrient intake per day, BFC and PLF, and to analyse the intercorrelations of these. Strong correlation was seen among their body mass index, mid-upper-arm-circumference, and BFC which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lasma total lipids(TL) and triglycerides(TG). Dietary myristic acid and lauric acid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both total cholesterol(TC) and LDL-cholesterol (LDL-C) in plasma.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and total monounsaturated fatty acid(MUFA)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HDL-cholesterol(HDL-C). Although dietary total saturated fatty acid (SFA) was not correlated with TC and LDL-C, i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L and TG in plasma. However, dieary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PUFA) in regular Korean diet was not correlated with any of lipid fractions in plasma which might be due to the high ratio of n-6/n-3 in their diet.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plasma lipid fractions were modulated by their dietary nutrients, especially the types of the fatty acids. Dietary SFA and MUFA intake not PUFA are strongly correlated with LDL-C and HDL-C in the Korean diet This may relate to the frequency of coronary heart disease in the age group.

  • PDF

Nutritional Analysis of Purple Com Husk Extract

  • Ki Yeon Lee;Song Mun Kim;Kyung Dae Kim;Jae Hee Lee;Eun Ha Jang;Jin Gwan Ham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17-317
    • /
    • 2022
  • Seakso 5, a maize hybrid, was applied for variety in 2021 by Gangwon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in Korea. This variety was bred to produce a purple extract of com husk. It shows purple color in the husk and cob and contains abundant anthocyanins. In this study, to obtain basic data on purple com 'Seakso 5' husk extract (PCHE), a husk extract was prepared and the contents of vitamins, amino acids and fatty acids were analyzed. The Seakso 5 husks were extracted with 30% alcohol and concentrated, after adding dextrin to the concentrate, it was spray-dried to prepare an extract. The PCHE were analyzed for vitamins, amino acids, and fatty acids by referring to the Food Code. As a result, three types of vitamins were detected, and their contents were vitamin B1 0.14 mg/100g, vitamin B2 2.30 mg/100g, and vitamin C 11.32 mg/100g. A total of 15 amino acids were detected in the PCHE, including aspartic acid and glutamic acid, and the content of aspartic acid was the highest at 3.02 mg/g. Simultaneous analysis of fatty acids Among 37 types, saturated fatty acids were palmitic acid (C16:0), stearic acid (C18:0), monounsaturated fatty acids were oleic acid (C18:1(n-9)), polyunsaturated fatty acids were linoleic acid(C18:2(n-6)c) and a-Linolenic Acid (C18:3(n-3)) were detected. Among the detected fatty acids, the content of palmitic acid was the highest at 40.75 mg/100g. In the future, These analysis results will be used as reference data for temporary food ingredient applications b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 PDF

아주까리(비마자) 수집종의 조지방 및 지방산 분석 (Analysis of Crude Fat and Fatty Acid in Collections of Ricinus communis L.)

  • 김인재;남상영;김민자;노창우;윤태;김홍식;송항림;정헌상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301-305
    • /
    • 2008
  • 수집종 아주까리 40종의 유전자원을 농촌진흥청 농업생명공학연구원 유전자원과로부터 분양받아 바이오디젤 가능 작물로서 조지방 및 지방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집종 아주까리 종자의 gas chromatogram은 6개의 피크를 보였고, ricinoleic acid의 retention time은 12.7분대이었다. 아주까리 수집종의 평균 기름 함량은 $44.6{\sim}49.4%$이었으며, 최저 41.4%와 최고 52.2%로 10.8%의 차이가 있었다. 지방산 조성은 불포화지방산이 97.6%로 대부분이었으며, 포화지방산은 2.4% 정도로 낮은 함량을 보였다. 지방산 조성은 87.3%가 ricinoleic acid이었으며, oleic acid와 linoleic acid가 각각 4.6%, 5.2%이었다.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의 함량은 1% 내외로 차이가 미미하였고, linolenic acid의 함량은 0.6% 정도로 가장 낮았다.

참깨 품질 개량에 관한 연구 제1보 참깨 유질평가와 지방산조성의 품질간 차이 (Breeding of Sesame (Sesamum indicum L.) for Oil Quality Improvement 1. Study on the evaluation of oil quality and the differences of fatty acid composition between varieties in sesame)

  • 이정일;강철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4-65
    • /
    • 1980
  • 참깨의 유질을 개량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참깨유구성지방산 종류별 함량의 품종간 차리와 조성의 특성을 밝히고자 시험을 하였는 바 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불포화지방산인 Olieic acid는 평균 39% 함유 되어 있으며 최저함량은 32.6%에서 최고함량은47.3%까지 14.7%의 변이복을 가지적 주지방산인 Linoleic acid의 함량은 평균적으로 45.8%이며 최w저 31.1%에서 최고 54.9%까지 무려 23.8%의 품종간 차를 보였다. 2. 포화지방산인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의 함량에서는 Palmitic acid의 평균함량은 9.5% 최저 4.6%, 최고 18%로서 13.4%의 품종간 차이가 있으며 Stearic acid 평균함량 4.8%, 최저 1%에서 최고 9%까지 8%의 품종간 변이를 보였다. 3. 품종 유래에 따른 지방산 조성 차이를 보면 한국품종과 미국품종들이 Palmitic, Stearic acid 함량이 가장 낮고 필수지방산인 Linoleic acid 함량이 가장 높았는데 특히 한국품종은 가장 양질유 품종들이었다. 대체로 재배기간의 온도가 높을수록 포화 지방산 함량이 높은 경향이었다. 4. 특히 한국재래종은 불포화양질유지방산 함량이 세계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재래종인 만성종은 Linoleic acid 함량이 54.9%이며 Oleic + Linoleic acid 함량이 92%에 이르러 참깨 지방산 개량육종에 중요한 유전자원이라 할 수 있다. 5. 참깨 종피색별 지방산조성 차이에서는 양질지방산인 Linoleic acid 함량과 Oleic acid함량이 가장 높았던 것은 황색 종피종(47.5%)이었으며 그다음이 갈색 종피종이었다. 6. 지방산 조성의 숙기별 차를 보면 포화지방산에서는 숙기별 차이가 거의 없으나 불포화지방산중 Oleic acid는 조숙에서 만숙으로 갈수록 함량이 감소하는데 반해서 Linoleic acid는 만숙일수록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특히 조숙종에서는 Oleic acid 함량이 Linoleic acid 함량보다 약간 더 높아서 중ㆍ만숙종과 조성 패턴이 다름을 보여 주었다. 7 착과습성에 따른 지방산조성 차이에서는 1과성은 포화지방산이 높고 3과성은 불포화지방산중 Linoleic acid 함량이 1과성보다 월등히 높았으나 Oleic acid 함량은 1과성보다 약관 낮은 편이었다. 8. 실방수 차이에서는 3과성 2실4수이 불포화지방산이 가장 높았고 포화지방산에서는 1과성 2실4수이 가장 높았다. 4실8수에서는 일정한 영향이 보이지 않았다. 9. 지방산 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불포화지방산과 포화지방산 간에는 r =-0.955**의 높은 부의 상관을 보여 지방산 개량육종의 전망을 밝게 해주며 O1eic과 Linoleic acid간에도 에우 높은 부상관을 나타내고 있어 필수지방산 함량을 높이는 개량 육종도 가능하다.

  • PDF

한국 재래흑우 및 한우의 지방산 조성 및 영양성분 비교 (Comparison of Fatty Acid and Nutritional Composition of Korean Native Black Cattle and Hanwoo)

  • 박경숙;박현숙;최영준;이재상;박성숙;정인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556-563
    • /
    • 2014
  • The nutritional composition of Korean native black cattle (KNBC) and Hanwoo beef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isture, protein, ash, calorie and collagen content, but the fat content of KNBC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Hanwoo (p<0.05). The P, Na and Cu content of KNBC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Hanwoo (p<0.05). The KNBC and Hanwoo had total mineral amounts of 4,052.34 and 3,214.44 ppm, respectively, with the KNBC being significantly higher than Hanwoo (p<0.05). The vitamin B1 content of KNBC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Hanwoo (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2 content between the samples. The total structural amino acid content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KNBC (12.35%) and Hanwoo (12.58%). The KNBC and Hanwoo had total free amino acid amounts of 752.698 and 661.795 ppm, respectively, with the KNBC being significantly higher than Hanwoo (p<0.05). The stearic acid (10.631%), linoleic acid (2.271%), linolenic acid (0.065%) and tricosanoic acid (0.038%) contents of KNBC were lower than those of Hanwoo (p<0.05). However, their palmitoleic acid (5.292%), oleic acid (48.815%), ${\gamma}-linolenic$ acid (0.094%), eicosenoic acid (0.042%) and docosadienoic acid (0.099%) cont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Hanwoo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KNBC and Hanwoo in the saturated fatty acid : unsaturated fatty acid ratio.

저장 중 양식 뱀장어뼈튀김의 산화 안정성 및 지방산 조성의 변화 (The Change in Fatty Acid and Oxidative Stability of Frying Cultured Eel Bone during the Storage)

  • 홍선표;김선영;정은정;신동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89-97
    • /
    • 2005
  • 본 연구는 양식 뱀장어뼈튀김의 저장 중 저장온도 및 포장방법에 따른 지질의 산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뱀장어뼈튀김은 $40^{\circ}C$$20^{\circ}C$에서 60일 동안 저장하면서 산가, 과산화물가,지방산 조성 등을 조사하였는데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지질의 산패는 빠르게 진행되었으며 산가와 과산화물가는 저장기간 중 $20^{\circ}C$보다 $40^{\circ}C$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20^{\circ}C$$40^{\circ}C$에서 저장한 뱀장어뼈튀김의 산화억제에는 탈산소제 처리구가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그 다음이 질소가스, BHA, 토코페를 순이었다. 뱀장어뼈튀김의 지방산 조성은 단일불포화지방산,포화지방산, 고도불포화지방산 순으로 많았으며 주요 구성지방산은 oleic acid, palmitic acid, linoleic acid 등이었다. 저장 중 저장온도가 높고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포화지방산은 증가하고 단일불포화지방산과 고도불포화지방산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여러 처리구중 탈산소제를 동봉하여 포장한 뱀장어뼈튀김의 지방산 조성은 대조구, 토코페롤, BHA, 질소가스 처리구에 비하여 변화가 가장 적었다. 관능검사에서 색상, 향, 맛,조직,전반적이 기호도 등은 탈산소제 처리구가 가장 선호도가 높았으며 그 다음이 BHA, 질소가스, 토코페롤 대조구 순으로 나타났다.

Evaluation of Fatty Acid Composition in Korean Native Chicken Breast Meat

  • Jean Pierre Munyaneza;Eunjin Cho;Minjun Kim;Aera Jang;Hyo Jun Choo;Jun Heon Lee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21-26
    • /
    • 202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mposition of the fatty acids in the breast meat of Red-brown Korean native chickens (KNC-R). This study used a total sample of three hundred eighty-two KNC-R (males: 190, females: 192). We used the fatty acid methyl ester (FAME) method to extract the fatty acids. A 2-way ANOVA of the R program was used to assess the effects of batch and sex on each fatty acid trait. Analysis of the fatty acid in the sampled population showed that the predominant fatty acid was oleic acid (C18:1; 28.252%) which is monounsaturated fatty acid (MUFA), followed by palmitic acid (C16:0; 20.895%), saturated fatty acid (SFA), and two omega-6 polyunsaturated fatty acid (PUFAs): linoleic (C18:2; 15.975%), and arachidonic (C20:4; 10.541%). Indices used to evaluate the nutritional quality of fat in the diet: ratio between PUFAs and SFAs (P/S), thrombogenicity index (TI), and atherogenicity index (AI) were calculated and were 0.959, 0.814, and 0.355, respectively. Currently, meat consumers need healthier fatty acids. Therefore, information on the content of fatty acid in chicken meat is very important for meat consumers in choosing the type of the meat to be consum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