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tellite constellation design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31초

Constellation Multi-Objective Optimization Design Based on QoS and Network Stability in LEO Satellite Broadband Networks

  • Yan, Dawei;You, Peng;Liu, Cong;Yong, Shaowei;Guan, Dongfa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3권3호
    • /
    • pp.1260-1283
    • /
    • 2019
  • Low earth orbit (LEO) satellite broadband network is a crucial part of the space information network. LEO satellite constellation design is a top-level design, which plays a decisive role in the overall performance of the LEO satellite network. However, the existing works on constellation design mainly focus on the coverage criterion and rarely take network performance into the design process. In this article, we develop a unified framework for constellation optimization design in LEO satellite broadband networks. Several design criteria including network performance and coverage capability are combined into the design process. Firstly, the quality of service (QoS) metrics is present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LEO satellite broadband network. Also, we propose a network stability model for the rapid change of the satellite network topology. Besides, a mathematical model of constellation optimization design is formulated by considering the network cost-efficiency and stability. Then, an optimization algorithm based on non-dominated sorting genetic algorithm-II (NSGA-II) is provided for the problem of constellation design. Finally, the proposed method is further evaluated through numerical simulations. Simulation results validate the proposed method and show that it is an efficient and effective approach for solving the problem of constellation design in LEO satellite broadband networks.

Optimum Design of an SAR Satellite Constellation Considering the Revisit Time Using a Genetic Algorithm

  • Kim, Yunjoong;Kim, Mingu;Han, Bumku;Kim, Youdan;Shin, Hoh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 /
    • 제18권2호
    • /
    • pp.334-343
    • /
    • 2017
  • The optimum design of an SAR (Synthetic Aperture Radar) satellite constellation is developed herein using a genetic algorithm. The performance of Earth observations using a satellite constellation can be improved by minimizing the maximum revisit time. Classical orbit design using analytic methods has limitations when addressing orbit dynamics due to various disturbances. To overcome this issue, an optimization technique based on a genetic algorithm is used. STK (Systems Tool Kit) is utilized to propagate the satellite orbit when considering external disturbances, and the maximum revisit time on the earth observation area is calculated. By minimizing the performance index using a genetic algorithm, the optimum orbit of the satellite constellation is designed. Numerical results are provided to demonstr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태양동기-지상반복 궤도를 활용한 군 정찰용 초소형 위성군 설계 (Space Mission Design For Reconnaissance Micro-Satellite Constellation Using Sun Synchronous-Ground Repeating Orbit)

  • 조성민;조남석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25-138
    • /
    • 2020
  • One of the most important steps to consider in utilizing micro-satellites for surveillance or reconnaissance operations is the design of the satellite constellation. The Walker-Delta constellation which is commonly used in designing satellite constellations is not ideal for this operation in which military satellites are required to monitor specific regions continuously in a stable manner.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methodology for designing a satellite constellation that is capable of monitoring the fixed region at the fixed time each day by using the Sun synchronous Orbit. The BB(Beach Ball) constellation that we propose outperforms the Walker-Delta constellation in terms of robustness and it holds the merit of being simple in its design, thereby making future expansions more convenient. We expect the BB constellation will have a high applicability as the operational concept of military surveillance satellites is established in the near future.

Design of Regional Coverage Low Earth Orbit (LEO) Constellation with Optimal Inclination

  • Shin, Jinyoung;Park, Sang-Young;Son, Jihae;Song, Sung-Chan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38권4호
    • /
    • pp.217-227
    • /
    • 2021
  • In this study, we describe an analytical process for designing a low Earth orbit constellation for discontinuous regional coverage, to be used for a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space miss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nfigure a satellite constellation that targeted multiple areas near the Korean Peninsula. The constellation design forms part of a discontinuous regional coverage problem with a minimum revisit time. We first introduced an optimal inclination search algorithm to calculate the orbital inclination that maximizes the geometrical coverage of single or multiple ground targets. The common ground track (CGT) constellation pattern with a repeating period of one nodal day was then used to construct the rest of the orbital elements of the constellation. Combining these results, we present an analytical design process that users can directly apply to their own situation. For Seoul, for example, 39.0° was determined as the optimal orbital inclination, and the maximum and average revisit times were 58.1 min and 27.9 min for a 20-satellite constellation, and 42.5 min and 19.7 min for a 30-satellite CGT constellation, respectively. This study also compares the revisit times of the proposed method with those of a traditional Walker-Delta constellation under three inclination conditions: optimal inclination, restricted inclination by launch trajectories from the Korean Peninsula, and inclination for the sun-synchronous orbit. A comparison showed that the CGT constellation had the shortest revisit times with a non-optimal inclination conditi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can serve as a reference for determining the appropriate constellation pattern for a given inclination condition.

한반도 감시·정찰을 위한 초소형 위성군 설계 (Design of Micro-Satellite Constellation for Reconnaissance of Korean Peninsula)

  • 신진영;황영민;박상영;전수빈;이은지;송성찬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401-41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에 대해 준 실시간 감시정찰을 수행하기 위한 여러 종류의 위성군 설계 기법들의 장단점을 조사하였다. 또한 지상 궤적 반복궤도 위성군과 워커 위성군을 이용하여 가용한 위성의 수, 궤도면 수 및 위상차에 대해 조합 가능한 모든 경우에서 위성군을 설계하고, 광학 위성과 합성개구레이더(SAR) 위성의 탑재체 제한조건을 반영하여 성능을 분석하였다. 평균 재방문 주기가 30분 이내로 준 실시간 한반도 감시정찰에 적합한 위성군의 특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한반도 지역을 감시·정찰하기 위한 위성군 설계에 대한 전략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며, 나아가 초소형 위성군 운용을 위한 우주전력 구축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ISR 임무를 위한 SAR 위성의 군집궤도 배치형상 설계 (Design of SAR Satellite Constellation Configuration for ISR Mission)

  • 김홍래;송수아;장영근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54-62
    • /
    • 2017
  • ISR(Intelligence,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임무를 위한 관측위성의 경우 임무운용개념이 요구되는 동시에 특정 관심영역을 주기적으로 탐지 가능한지에 대한 임무 효용성 분석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군집궤도 형상에 대한 최적설계가 수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위성군집 형성방법으로 Walker-Delta 방식을 적용하여 특정 관심영역을 탐지하기 위한 군집형상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임무수행의 효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재방문주기 성능을 핵심 요구조건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4기 SAR(Synthetic Aperture Radar) 위성군집을 적용한 임무분석 과정을 보여주고, 요구조건을 만족시키는 궤도배치 형상결과를 제시하였다. 군집궤도의 성능지수 분석은 개발된 분석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수행하였으며, ISR 임무를 위한 군집궤도 형상은 한 궤도면에 한 기의 위성이 배치되는 4개 궤도면의 형상이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저궤도 위성시스템과 지상시스템의 간섭 계산 기법 (Calculation Scheme of Interference between Low Earth Orbit Satellite System and Terrestrial System)

  • 감혜미;오대섭;안도섭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46-51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저궤도 위성망(LEO satellite network)과 지상망간의 간섭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되는 간섭 계산 요소 및 기법들을 정리하였다. 저궤도 위성의 궤도 및 위치정보를 시간에 따라 계산하는 요소들을 도출하고 두 시스템간의 실제 간섭량 계산에 적용되는 간섭 계산 기법을 서술하였다. 도출된 간섭 계산 기법은 저궤도 위성망과 지상망이 상호 간섭 영향 없이 운용될 수 있는 공유 조건을 설정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 PDF

저궤도 군집위성의 재방문 성능 최적화를 위한 위성궤도 설계 (Orbit Design to Optimize Revisit Performance of Low Earth Orbit Satellite Constellation)

  • 이성섭;김종필;유응노;윤재혁;신호현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7권5호
    • /
    • pp.502-509
    • /
    • 2023
  • 본 논문는 유전자 알고리즘의 최적화 기법을 활용하여 최적의 재방문 성능을 달성하는 위성배치 방법을 제시한다. 보편적인 위성배치 기법인 Walker 방법은 글로벌 커버리지 개념으로 한반도의 전략적 환경을 고려한 표적 중심의 위성배치에는 제한사항이 존재한다. 이러한 제한사항을 극복하기 위하여, 북한의 주요 관심지역의 표적을 설정하고 표적별 최적의 재방문 성능을 갖는 궤도 요소를 탐색하여 이를 기반으로 각 표적에 대해 유전자 알고리즘으로 최적화된 위성수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지상반복궤적의 위성배치 규칙을 적용하여 최적화된 위성군이 표적별 원하는 재방문 성능을 달성함으로써 그 성능이 입증된다.

저궤도 위성망과 FS 시스템의 주파수 공유 방안 연구 (Analysis on Frequency Sharing between LEO Satellite Network and FS System in Space-to-Earth Direction)

  • 감혜미;오대섭;안도섭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1279-1286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저궤도 위성망(LEO satellite network)과 FS 시스템(Fixed Service system) 동일한 하향 링크 주파수를 사용하는 통신 환경에서 두 시스템이 간섭 영향 없이 운용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저궤도 위성망에 의한 FS 시스템으로의 간섭 시나리오의 경우 동시에 운용되는 저궤도 위성 빔의 수에 따라 FS 시스템의 영역을 정의하여 각 영역에서의 간섭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FS 시스템에 의한 지구국으로의 간섭 시나리오에서는 지구국의 보호 영역을 정의하여 보호 영역의 반경에 따른 간섭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두 스템이 간섭 영향 없이 운용될 수 있는 공유 조건으로 FS 시스템의 설계 단계에 활용될 수 있다.

한반도 지역의 효율적인 관측을 위한 최적의 위성군 설계 (Optimal Design of Satellite Constellation Korean Peninsula Regions)

  • 김남균;박상영;김영록;최규홍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5권2호
    • /
    • pp.181-198
    • /
    • 2008
  • 최근 들어 소형의 저궤도 위성들을 이용해서 특정 지역을 관측하기 위한 위성군의 궤도를 설계하는 것의 중요성이 점점 부각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Walker 위성군 설계 방법은 전 지구영역 관측에는 적당하지만 부분적인 지역 관측에는 효율성이 떨어진다. 이 논문에서는 한반도를 효율적으로 관측하기 위한 최적의 위성군 궤도 설계 방법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원궤도 중 지표면 반복궤도를 이용하여 위성군을 이루고 있는 위성들의 궤도요소를 직접 조절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관측 목표 지역에 대해 최소한의 위성을 이용하여 관측 공백시간을 최소화하고 관측시간은 최대화하는 궤도요소를 산출하여 위성군 궤도를 설계하였다. 위성군 설계 결과, 저궤도 위성을 이용하였을 경우, 관측 가능한 최소 고도각을 12도로 가정하였을 때 한반도 지역의 관측을 효율적(관측 공백시간은 1시간 이내로 하면서 최대의 관측시간을 보장)으로 하려면 최소한 4대의 위성이 필요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그리고 이 연구에서 제시된 방법이 Walker 방법보다 더 효율적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서 개발된 알고리즘은 향후 우리나라가 실제로 위성군을 운영하고자 할 때 사전 임무 설계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